"28년된 아파트가 평당 280만 원, 이 비용이 말이 됩니까?"

조회수 2020. 12. 28. 11:27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아파트 가격 상승률이 연신 신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말 그대로 불장이다. 서울 경기권에 부동산 규제가 집중되자 이번엔 지방에 불이 붙은 모양새다. 와중에 2030 신혼부부 사이에서는 그나마 가격이 저렴한 구축 아파트를 사는 게 하나의 대안으로 떠올랐다.

3년 만에 4억 치솟은 집값
구축 아파트 찾는 신혼부부들

"3년 만에 4억 원 벌었다" 서울 아파트 이야기다. 2017년 6억 원이던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2020년 현재 10억 원으로 치솟았다. 3년 만에 4억 원이 상승한 셈이다. 강남권을 필두로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면서 노원, 도봉, 강북구 등 그간 집값이 저렴했던 지역의 아파트 가격도 급등하고 있다.


아파트 가격이 나날이 상승하는 만큼 신혼부부의 고민도 깊다. 과거 부부가 모은 돈에 대출을 더하면 3~5년 된 서울 아파트를 사거나 적어도 전세를 들어갈 수 있었다. 그러나 임대차법 개정 후 서울 아파트 전세 수급지수는 지난 11월 131.1까지 치솟았다. 지수가 100을 넘으면 수요가 공급보다 많다는 뜻이다. 전세난이 심화됨에 따라 전세가도 나날이 상승하고 있다. 마포구 거주하는 한 신혼부부는 "집주인이 들어온다 해서 주변 전세를 알아봤다. 그새 3억 올랐더라"라고 토로했다. 

신축 아파트조차 '로또 청약'이라 불리는 상황 속 20~30년 된 구축 아파트를 선택하는 신혼부부가 늘고 있다. 20~30년 된 구축 아파트는 같은 입지라도 신축 아파트와 가격이 수천에서 수억 원까지 차이가 난다. 부동산 관계자는 "저렴한 구축 아파트라도 내부 리모델링만 잘 하면 압구정 현대 아파트처럼 쾌적한 생활이 가능하다"라며 구축 아파트를 추천했다. 그러나 구축 아파트에 입주한 신혼부부들은 최근 리모델링 업체 횡포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3.3㎡당 280만 원 요구
하자 발생 후 추가 보수 비용 요구까지

구축 아파트가 연식이 오래된 만큼 구축 아파트 리모델링은 주방부터 거실, 방, 새시, 화장실까지 내부 전체를 리모델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일부 리모델링 업체는 과도한 리모델링 비용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월, 1992년 준공된 아파트에 입주한 한 신혼부부는 리모델링 업자가 3.3㎡당 280만 원을 요구했다는 글을 올렸다.


3.3㎡당 280만 원이 바가지냐는 물음에 전문가는 "환경과 자재에 따라 다르지만 구축 아파트 리모델링 가격은 3.3㎡당 100만 원에서 150만 원 수준이다"라며 "다소 비싼 것 같다"라고 답했다. 새시 가격이 기본 1000만 원부터 시작한다는 부분에서는 "사실 새시는 아파트 층수나 창호같이 상황에 따라 가격 차이가 클 수밖에 없다. 요즘 가격이 좀 오르긴 했지만 그래도 기준은 보통 600으로 둔다"라고 밝혔다. 

반대로 저렴한 가격에 혹해 피해를 본 사례도 있다. 1040만 원을 들여 아파트 내부 인테리어를 한 경기도 박 모 씨 사연이다. 그는 "공사가 지연돼 한 달이나 늦게 이사했다. 입주 4개월 만에 누수가 발생했다. 마감도 엉망이고 브랜드는 인터넷 검색해도 안 나온다"라고 전했다. 속칭 '깜깜이 계약서' 피해자다.


깜깜이 계약서는 리모델링 초보자가 쉽게 당하는 행위다. 깜깜이 계약서는 제품 브랜드부터 가격은 물론 인건비까지 뭉뚱그려 금액을 적는 방식이다. 리모델링 가격이 저렴한 만큼 값싼 자재를 사용해 하자율이 높다. 일부 업체는 구축 아파트에 시공 후 하자가 발생해도 아파트가 원인이라며 추가 보수 비용을 요구하기도 했다.

피해자 중 보상받은 건 30%
시공자 실력 보장할 수 없어...

지난 3년간 소비자원에 접수된 인테리어, 설비 관련 상담은 1만 1천여 건에 이른다. 피해 구제 신청도 330여 건이 넘었다. 그러나 피해 구제 신청 중 보상까지 이뤄진 건 전체의 30%에 불과했다. 70%는 피해자와 업체가 합의조차 하지 못했다.


이는 시공업체가 '원래 생기는 문제', '주택 자체에서 발생하는 고장'이라며 책임을 회피하기 때문이다. 한 네티즌은 "하자가 너무 많아서 전화로 항의했더니 다음날 찾아와 살피곤 추가 보수 비용을 요구하더라. 보수를 줄 수 없다 하니 내가 관리를 잘못한 탓이라더라"라고 하소연했다. 

업계 관계자는 "리모델링 시장이 커지며 너도나도 뛰어들었다"라며 "현행법상 1500만 원 이하 공사는 자격요건이 없다. 누구나 할 수 있다. 비전문가가 전문가 행세를 하니 하자가 발생하고, 고칠 능력이 안되니 돈만 요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원 계약서 또한 자재의 종류나 규격에 한정되어 시공자의 실력 자체를 보장하는 것은 어렵다고 전했다.


그렇다면 리모델링을 저렴하고 안전하게 하는 법은 없을까. 올해 5번째 주택을 매각했다는 구축 주택 리모델링 투자자는 리모델링에서 절대 하면 안 되는 일로 '한 업체에 맡기는 것'을 꼽았다. 한편 원하는 자재를 직접 구매하는 걸 권했다. 그는 "자재를 직접 사고, 자재 가게 사장님에게 작업자를 소개받는 게 가장 저렴하고 안전한 방법"이라고 전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