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너무 심한거 아니냐" 한국인 재산의 75% 소유형태는 이렇습니다

조회수 2019. 7. 24. 18:22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출처: 매일경제

일본인들을 비롯한 선진 국가의 국민들의 자산은 금융자산 비율이 더 높다. 예를 들어 일본은 자산 중 절반도 되지 않는 비금융자산을 보유한다. 반면에 한국인들의 재산 소유 방식은 다르다. 일본뿐만 아니라 선진국가들 중 유일한 자산구조를 가지고 있다. 과연 한국인들은 어떤 방식으로 자산을 보유하고 있을까?


출처: 한국경제
비금융자산이란? 금융자산과 비금융자산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8년 국민대차대조표에 따르면 가계와 비영리단체가 보유한 자산은 증가했다. 가구당 평균 자산은 4억 1596만 원으로 1년 전보다 4.1%의 증가율을 보였다. 비금융자산의 대폭 증가로 인한 결과이다. 한국인들의 자산에서 비금융자산이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인데, 그렇다면 과연 비금융자산이 무엇일까?


출처: 연합뉴스, shutterstock

비금융자산은 순자산의 하위개념이다. 순자산은 순금융자산과 비금융자산으로 나뉜다. 순금융자산은 예금, 현금, 유가증권, 대출금, 보험, 신탁 등의 자산에 해당한다. 반면 비금융자산은 토지자산 지하자원과 같은 비생산자산과 고정된 자산인 생산자산을 가리킨다. 즉, 토지나 부동산과 같은 실물 자산 또한 비금융자산에 해당한다.


출처: shutterstock
한국인 재산의 75%가 부동산, 비금융자산 쏠림 현상

한국인의 재산은 금융자산보다 비금융자산이 월등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2016년부터 동결되어있던 집값이 상승하면서 더욱 비율이 높아졌다. 2018년을 기준으로 75.4%의 비금융자산이 가계 순자산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작년 집값 상승으로 인해 토시 자산 가치가 전국적으로 상승했기 때문이다.


출처: 연합뉴스

타국과 비교했을 때, 이러한 자산 구조를 가진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 미국의 경우 비금융자산의 비율은 34.8%에 불과하다. 선진국 중 가장 비금융자산의 비율이 높은 프랑스도 70%를 넘지 않는 68.5%이다. 특히 일본은 비금융자산 비율이 43.3%로 금융자산을 더 많이 보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고령화의 진행으로 금융자산에 해당하는 보험과 연금에 투자를 한 것으로 해석된다.


출처: sbs뉴스
부동산에 집중된 자산, 왜 문제일까

비교의 결과로, 한국인들의 자산은 부동산 쏠림 현상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비금융자산 비율이 낮아야만 선진국으로서의 면모를 갖추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부동산에 자산을 집중 투자하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출처: 중앙일보, shutterstock

우선 사회 전체적인 문제에 초점을 맞춰보자. 국민 자산 증가는 경제를 활성화시킬 것이라는 기대를 낳는다. 그러나 비금융자산의 집중 증가는 부동산과 같은 실물 자산의 증가이며, 이는 소비 여력을 증가시키지 못한다. 그러나 물가는 상승한다. 지난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1.5%였다. 즉, 물가 상승률에 비해 국민 재산이 부동산에 쏠리면서 실질적인 소비 여력이 더 정체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출처: 한겨레, shutterstock

또한 개인적인 자산 관리에서도 문제가 발생한다. 가계의 부채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2018년에는 가계부채가 1468조 원을 초과했다. 그런데 2017년 6월 기준 국내 가계부채 내용, 정세균 국회의장실 조사에 따르면, 이중 65%가 주택 담보대출에 해당한다. 즉 많은 빚을 떠안은 허울 좋은 자산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출처: 이데일리, shutterstock

또한 재산 투자가 실물 자산에만 집중이 되면 변동적인 상황에 대한 대처가 어렵다. 예를 들어 국제금리 변동, 대출 환경의 변화, 부동산 시장의 냉각 등의 상황은 자산 관리에 큰 충격을 전달한다. 이러한 충격에 아주 취약하기 때문에 실물자산, 즉 비금융자산이 결코 안정적인 자산이라고 평가할 수 없다.


출처: shutterstock

그렇지만 한국인들이 이러한 사실을 모르고 부동산에 집중투자를 고집하지는 않을 것이다. 불안정한 부동산 시장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실수요자들은 실물 자산을 더욱 사들인다. 주식 시장의 부진과 저금리로 인해 금융자산에 투자할 가치를 못 느끼기 때문이다. 정부의 정책적 노력과 금융사들의 금융투자 상품개발 활성화가 동반되어야만 현재의 국민자산구조를 바꿀 수 있을 것이다.


'연예계의 백종원’이라 불린

임창정의 부동산 재산

▼아래 사진 클릭해서 알아보기▼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