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최초 사망자가 군인 구타에 저항하기 어려웠던 이유

조회수 2020. 5. 18. 17:3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사인을 타박사로, 맞아서 죽었다고 쓸 정도로 심했다"

박정희 사망 이후 전두환과 신군부는 국가 권력을 장악하기 위해 ‘12·12 군사반란’을 일으켰습니다. 재야인사들과 학생들은 민주화를 요구하며 ‘비상계엄 해제와 전두환 등 유신잔당 퇴진’을 결의하고 거리 시위를 시작했습니다.


1980년 5월 14일 전남대, 전남도청 일대 등 광주에서도 “계엄령 해제하라”, “전두환 물러가라”는 구호를 외치는 시위가 벌어졌습니다. 신군부는 5월 17일 전국으로 계엄령을 확대했고 광주에 공수부대를 투입해 시위를 진압했습니다.

80년 5월 첫 희생자는 청각장애인 김경철

▲ 국립5·18민주묘지에 안장된 김경철 씨

김경철 씨는 어려서 뇌막염을 앓고 청력을 잃었습니다. 김씨는 같은 청각장애인이자 친구였던 황종호, 박인갑 씨와 함께 광주 시내 다방이나 가게를 돌아다니며 구두를 닦거나 수리하며 생계를 이어가던 제화공이었습니다.


1980년 5월 18일 오후에도 세 사람은 광주 시내를 돌아다니며 일감을 찾고 있었습니다. 충장로 부근을 지나던 세 사람은 시민들을 향해 곤봉을 휘두르는 공수부대원들을 목격합니다.


친구들은 도망쳤지만 듣지 못하는 김씨는 공수부대원들에게 잡혀 곤봉으로 구타를 당했습니다. 김씨는 장애인증을 꺼내 보이고 손짓 발짓으로 자신이 청각장애인임을 밝혔지만, 오히려 ‘벙어리 흉내’를 낸다며 더 심하게 구타를 당했습니다.


겁에 질려 몸을 피했던 황종호, 박인갑 씨도 계엄군에게 붙잡혀 폭행당했습니다.


공수부대원들은 머리에 피를 흘리며 쓰러졌던 김경철 씨를 적십자병원으로 옮기면서도 말을 하라며 구타를 멈추지 않았습니다.


결국, 김씨는 병원에 도착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사망했습니다. 그는 국군통합병원으로 옮겨졌다가 다음 날인 19일 새벽 3시 사망 판정을 받았습니다.

검시 보고서에 나온 사망 원인은 구타

출처: ⓒ5·18기념재단
▲ 광주검찰과 군당국이 합동으로 작성한 김경철씨 검시서. 타박상으로 사망했다고 적혀있다.

광주지검과 군 당국이 합동으로 작성한 김씨의 사망자 검시서를 보면 직접적인 사망 원인은 ‘후두부 타박상에 의한 뇌출혈’입니다.


검시 내용을 자세히 보면 ‘후두부 찰과상 및 열상, 좌안상검부 열상, 우측 상지전박부 타박상, 좌견갑부 관절부 타박상, 전경골부, 둔부 및 대퇴부 타박상’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검시 보고서만 봐도 김씨는 뒤통수와 왼쪽 눈, 오른팔과 왼쪽 어깨, 허벅지와 엉덩이가 깨지고 부서지고 으깨지는 등 온몸이 성한 곳이 하나도 없었습니다.


당시 검시에 참여했던 의사는 “사인을 타박사로, 맞아서 죽었다고 쓸 정도로 심했다”라고 밝혔습니다.

5·18 첫 사망자가 경찰? 왜곡된 주장들

출처: ⓒ5·18기념재단
▲ 5월 18일부터 공수부대원들은 곤봉을 휘두르며 학생과 시민들을 진압했고, 분노한 시위대는 20일 버스를 타고 경찰 저지선을 돌진했다. 이 사고로 경찰관 4명이 사망했다.

5·18 민주화운동 당시 북한군이 침투해 소요를 일으켰다고 주장하는 극우 단체들은 첫 사망자가 김경철 씨가 아닌 경찰이라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경찰관 4명은 5월 20일 시대위 버스가 경찰 저지선으로 돌진해 사망했고, 김경철 씨는 19일 새벽 3시 사망 판정을 받았습니다. 하루가량의 시차가 존재합니다.

蔡(채)검사 “공수부대원들이 그날 금남로에서 시위를 해산하며 강경진압을 하다 김경철이 최초로 사망했는데 그 사실을 알고 있나요.”

周(주)피고인 “19일 밤에 들었습니다.”

1996년 12·12와 5·18 관련 7차 공판에서도 주영복 국방부 장관은 김경철 씨가 최초로 사망했다는 사실을 19일 밤에 들었다고 진술했습니다.


극우 단체들이 경찰관들을 광주 첫 사망자라고 주장하는 이유는 계엄군의 발포와 폭력 진압을 정당화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자위권 차원에서 어쩔 수 없다는 명분을 만들기 위해 진실을 왜곡하고 있습니다.


김경철 씨의 국립 5·18민주묘지 묘역번호는 1-1입니다. 김경철씨는 1980년 5월 18일 딸 김혜정 씨의 백일잔치 가족 모임을 끝으로 영영 집에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 외부 필진 아이엠피터 님의 기고 글입니다.

직썰을 앱으로 만나세요.
(안드로이드 버전)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