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골목식당' 거제도편도 시련이 예상되는 이유

조회수 2019. 3. 2. 11:0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결코 쉽지 않은 미션이다.

지난 2월 27일 방송된 SBS <백종원의 골목식당>은 경상남도 거제도 지세포항을 찾았다. 대전 중앙시장(청년구단 편)에 이어 두 번째 지방 방문이다. 이른바 ‘지역 상권 살리기’를 이어나간 것이다. <골목식당> 제작진은 2018년 10월 12일 국회에서 열렸던 산업통상자원 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출석했던 백종원의 모습을 보여주며 거제도 편의 포문을 열어젖혔다.

“방송이 주로 서울 지역에 가시더라고요. 그래서 지방에 왔으면 좋겠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사실은 왜 서울만 했냐면 제작비가 별로 없어가지고. (웃음) 서울에서 반응이 좋으면 지방도 하려고 했는데... 가능하면 지방으로 많이 가려고 합니다.”

백종원이 지방으로 간다고 하니 수많은 요청이 쏟아졌던 모양이다. 제천, 천안, 군산, 포항, 나주, 여수 등 여러 후보지가 거론됐으나 최종적으로 낙점받은 곳은 거제도였다. 그런데 <백종원의 골목식당>은 왜 굳이 거제도를 찾았던 걸까? 


거제도는 ‘거제도=조선업’이라는 등식이 성립했을 만큼 조선의 메카와 같은 곳이었다. 워낙 경기가 좋았던 터라 ‘불황의 무풍지대’라 불렸고 실제로 IMF 시절에도 별다른 피해를 입지 않았다. 거제도의 개는 만 원짜리 지폐를 물고 다닌다는 우스개가 있을 정도로 호황을 누렸던 곳이지만, 약 4년 전부터 시작된 조선업의 불황은 거제도를 침체의 늪으로 빠뜨렸다. 그렇게 거제도는 ‘불 꺼진 항구’가 돼버렸다. 

“제 고향 거제와 통영도 조선이 무너지니 지역경제가 공동화되고 황폐화됐다.” (문재인 대통령, 2018년 10월 30일 ‘새만금 재생 에너지 비전 선포식’에서)

솔루션을 받을 첫 번째 식당은 충무김밥집이었다. 친구에게 배운 레시피로 장사를 시작했다는 사장님은 3년 차의 경력자답게 김밥을 마는 솜씨는 수준급이었다. 허나 문제는 맛이었다. 시식한 백종원은 “평범한 맛.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먹는 맛”이라 평가했다. 물론 기본은 한다는 이야기였지만, 충무김밥 단일메뉴만 판매하는 식당에서 ‘평범’, ‘기본’이라는 평가는 결코 만족해선 안 되는 결과였다.


두 번째 식당은 보리밥·코다리찜집이었다. 요식업 14년 차의 베테랑 사장님은 “살면서 내 음식에 대해 맛없다고 한 사람은 없었다”며 자부심을 드러냈다. 그러나 백종원은 된장찌개부터 보리밥에 들어가는 나물에 이르기까지 혹평을 쏟아냈다. 오히려 밑반찬의 경우는 호평을 받았다. 게다가 보리밥이 8,000원, 코다리찜이 소(小) 기준 25,000원으로 상대적으로 비쌌다. 이는 거제도의 높은 물가를 보여주기도 했다.  


마지막 식당은 도시락집이었다. 건설업을 하는 남편이 불황 탓에 쉬는 날이 많아지다 보니 사장님은 경제적인 부담을 오롯이 지고 있는 처지였다. 그러다 보니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가게 문을 열어놓을 수밖에 없었다. 그렇다면 맛은 어떨까? 우선, 속도가 느렸다. 백종원이 “인간적으로 너무 오래 걸린다”고 지적할 정도였다. 게다가 우엉김밥에서는 웬일인지 쓴맛이 느껴졌다. 쉽지 않은 솔루션이 예상됐다. 

<백종원의 골목식당> 거제도 편을 보면서 제작진의 부담감이 얼마나 큰지 확연히 느낄 수 있었다. 프로그램의 성격상 지적하는 백종원과 지적받는 사장님들의 기 싸움은 불가피하다. 갈등이 전혀 없으면 재미와 화제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그렇다고 갈등이 너무 부각되면 프로그램의 본질이 훼손될뿐더러 큰마음 먹고 출연을 결심한 사장님들에게 상처가 될 수 있다. 중간 지점을 찾기가 쉽지 않다. 


당장 거제도 사장님들, 이른바 ‘거벤저스’는 특유의 거친 입담으로 ‘입맛이 다른 걸 어떡하냐’, ‘거제도 사람들의 입맛에 맞춘 것이다’며 항변하고 나섰다. 물론 백종원에겐 씨알도 안 먹힐 말이다. 장사가 잘 안 된다는 건 현지인의 입맛도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뜻이니 말이다. 제작진은 이 갈등 구조를 설정과 편집을 통해 조절했다. 사장님들의 캐릭터를 만들어나가면서 시청자들의 불쾌감을 줄여나가는 방식이었다.  

“첫 회는 백종원 대표님과 사장님이 맞춰가는 과정이어서 부각되어 보인 부분이 있다고 본다. 그러나 걱정을 안 하셔도 될 것 같다.” (윤종호 PD)

또, 방송 다음 날 곧바로 인터뷰 기사를 내보내 불길을 차단하는 모양새를 취했다. ‘거벤저스’에 대해 ‘고집불통’이라는 시청자 반응이 나오자 불필요한 논란을 막기 위해 ‘그들이 백종원의 솔루션을 받아들인다’는 스포를 불사했다.

한편, 이쯤에서 한 가지 더 생각해봐야 할 부분이 있다. <백종원의 골목식당>이 스스로 과도한 짐을 짊어지려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전까지는 골목상권이라는 작은 무대를 누볐다면 이젠 느닷없이 ‘지역경제’라는 거대한 블록을 되살리겠다고 나섰다. 이제 사람들은 ‘과연 백종원이 거제도의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을까?’라고 묻게 됐다. 이 난관을 헤쳐나가는 게 거제도편의 솔루션 포인트가 아닐까 싶다.

* 외부 필진 버락킴너의길을가라 님의 기고 글입니다.

<직썰 추천기사>

‘외국 며느리’가 본 한국에서 아들이 필요한(?) 이유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