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외국 며느리'가 본 한국에서 아들이 필요한(?) 이유

조회수 2019. 2. 25. 10:23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가부장제와 관련 있다.
“한국에서 옛날부터 가족에 아들이 무조건 있어야 된다고 그렇게 생각했었잖아요. 왜냐하면 며느리가 필요해서. 음식 하려면 며느리가 필요하니까. 딸은 어차피 시집가면 안 오니까. 그래서 아들이 무조건 있어야 되는 거 같아.”

제3자의 시선에 깜짝 놀랄 때가 있다. 누구에게나 익숙진 탓에 희미해졌던 문제의 본질을 짚어 낼 때 그렇다. 어느새 내부인이 됐던 우리 자신의 위치를 깨닫게 해준다. MBC <이상한 나라의 며느리>에 출연하고 있는 ‘러시아 며느리’ 고미호의 문제 제기가 바로 그렇다.


지난주 고미호는 설 명절을 맞아 남편 이경택과 함께 시댁을 찾았다. 가족들과 반가운 인사도 잠시, 고미호는 곧바로 명절 노동에 시달리게 됐다. 시어머니는 기다렸다는 듯 며느리에게 편한 옷으로 갈아입으라고 지시했고 이어 주방으로 데려갔다. 한국의 명절 음식들이 낯설기만 한 터라 고미호는 계속 주뼛주뼛했고 그럴 때마다 시어머니의 불호령이 떨어졌다. 

우리는 이 장면에서 고부 갈등을 본다. 음식을 못 한다고 구박당하는 고미호가 안쓰럽고 그런 며느리를 을러메는 시어머니는 공격적으로 느껴진다. 이렇듯 시어머니는 ‘악역’을 담당한다. 그런데 이 상황의 ‘분노유발자’는 따로 있다. 시어머니부터 시누이, 며느리까지 가족 구성원 가운데 여성 대부분이 주방에서 명절 음식을 만드느라 사투를 벌이는 와중에 느긋하게 거실에 앉아서 TV를 바라보고 있는 사람들, 바로 남성들이다. 게다가 그들은 꼭 한마디를 보탠다. “늦었어. 빨리빨리 해야지.” 시대가 바뀌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고미호의 시댁처럼 가부장적인 집안은 흔하게 접할 수 있다.

“제가 저 정도였나.. 싶을 정도로 ‘저거는 좀 아닌데’라는 생각을 했죠.”

이런 구도 하에서 고부간에는 자연스레 갈등이 쌓일 수밖에 없다. 이럴 때 남자들의 반성은 단편적이다. 시대가 변화하는 데 따른 명절의 의의, 명절 속 남녀 간의 불공정한 노동, 가족 내의 불합리한 가부장제에 대해 고민하지 않는다. ‘저거는 좀 아닌데’ 딱 거기까지.


고미호는 처음으로 시댁에서 설 명절을 경험한 후 한국의 가족 문화에 대해 고민했다. 그리고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고미호는 한국 사회에서 아들이 필요했던 이유에 대한 자신의 해석을 내놓았다. 그건 ‘음식(을 비롯한 가사 노동)을 할 며느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외부의 시선으로 바라본 한국의 가족 문화가 이렇게 비합리적으로 느껴진다면 변화를 추구해야 하지 않을까? 어차피 다툼은 주방 안에서 벌어질 테고 누군가는 이번 명절도 즐거웠다고 회상할지 모른다. 생각해보면 씁쓸한 일이다.

* 외부 필진 버락킴너의길을가라 님의 기고 글입니다.

<직썰 추천기사>

“우리 어린이집에 아이를 맡기지 마세요”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