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SNS 맞춤법'으로 신용 평가를 한다고?

조회수 2018. 11. 23. 17:3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금융위 정책에 상상력 보태(?) 비판한 뉴데일리

11월 22일 소셜미디어 일각에선 ‘SNS 맞춤법으로 개인신용 평가… 황당한 선진화’라는 제목의 기사가 화제가 됐습니다. 앞서 매일경제 같은 내용을 ‘SNS·쇼핑내역도 신용평가에 반영’라는 제목으로 기사화했습니다.  


이는 뉴데일리 기사로 “민간 신용평가회사가 내년부터 고객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보고 게시글의 맞춤법이나 관심사를 파악해 대출에 반영할 수 있도록 했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었습니다.


특히, 뉴데일리는 부제로 ‘文 정부, 비금융정보 전문 신용평가사 허용… 개인 정보 사찰, 마구잡이 대출 우려’라 적었습니다. 결국 정부가 추진하는 신용평가 방안이 개인 정보를 사찰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었습니다. 


정부의 신용평가 정책이 과연 뉴데일리의 기사처럼 ‘SNS 맞춤법으로 개인신용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개인정보까지 사찰’하는 의도였을까요? 알아봤습니다.

SNS 맞춤법으로 개인신용 평가?

▲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신용정보산업 선진화 방안' 보고서

뉴데일리 기사는 21일 열린 ‘개인정보 보호 및 활용 당정협의’와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신용정보산업 선진화 방안’을 기초로 작성됐습니다.


그런데 당정 협의에서 SNS 맞춤법으로 개인 신용을 평가한다는 말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자료를 봐도 SNS 맞춤법이라는 내용은 없었습니다.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신용정보산업 선진화 방안’ 자료의 핵심은 데이터 경제 전환을 위한 규제 혁신입니다. 현재 대형 신용평가 회사와 공공기관에 집중된 신용정보를 확대해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정확한 신용 평가를 시행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다.


단순한 금융 거래 이용뿐만 아니라 비금융 개인신용정보 - 통신·전기·가스 요금납부, 온라인 쇼핑 내역, SNS정보 등을 활용해 개인 신용을 평가하는 전문CB사 도입을 검토한다는 내용은 포함돼 있었습니다. 이 내용에 SNS 정보가 포함돼 있지만, 개인의 맞춤법 사용 방식을 가지고 신용평가를 하겠다는 내용은 그 어디에도 없었습니다. 

개인신용평가, 해외에선 SNS로 

▲ SNS를 통한 신용평가는 그리 낯선 일이 아니다. 해외에선 일부 도입을 하고 있으며 데이터 경제 측면에서도 필요한 방식이다.

뉴데일리는 정부가 SNS 맞춤법으로 신용을 평가하려 한다며 그 방식이 황당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위와 같이 맞춤법 얘기 자체가 섣부른 판단이긴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SNS 맞춤법까지는 아니더라도 맞춤법을 신용평가에 반영하는 곳도 있습니다.


미국 신용평가회사들은 맞춤법을 신용평가의 변수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맞춤법이 신용평가의 잣대가 된 배경에는 하버드대학 아심 크와자(Asim Khwaja) 교수의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는 가정 아래 맞춤법을 틀리지 않는 대출자는 틀리는 대출자에 비해 평균 15%가량 덜 연체한다’는 연구결과 때문입니다. (관련 기사


이는 단순히 SNS 맞춤법이 아니라 대출 신청서상의 맞춤법이나 문장 특성, 대출 약관을 얼마나 꼼꼼히 읽었나, 주기적으로 온라인 쇼핑을 했나 등을 대출 심사에 활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SNS를 통한 신용평가는 해외에서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가령 독일의 핀테크 기업 크레디테크(Kreditech)는 평가 대상자에게 주기적으로 택배 기사가 방문한 기록 등이 있으면 일정한 수입이 있다고 분석, 신용평가 점수를 높게 줍니다. 


미국의 렌도(Lenddo)는 SNS 친구 중 연체자가 있거나 개인 게시 글에 사고, 실직 같은 부정적인 단어가 많이 나오면 신용점수를 낮춰 평가합니다. 그 방식의 호불호를 떠나 SNS를 통해 신용등급을 평가하는 방식은 점차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SNS 신용평가 방식은 개인정보 사찰?

▲ 뉴데일리가 보도한 기사 제목과 일부 본문. 기자는 미국에서도 도입 초기에는 황당하다는 비판을 받았다고 적었다.

정부가 도입하려는 ‘비금융정보를 통한 개인 신용도 평가’는 SNS 사용자가 늘어난 한국에서도 고려할 수 있는 데이터 경제입니다.


물론, 정보 수집과 평가 방식에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한 건 사실입니다. 그러나 세부적인 방식에 논의가 필요하다는 주장과 ‘황당’, ’개인 정보 사찰’ 등 단어의 사용은 다른 느낌입니다. 


뉴데일리의 기사 본문을 보면 이 기사 또한 해외 사례를 거론합니다. 기자 본인도 무조건 황당한 방식은 아니라는 점을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첫 문장과 부제는 비약된 워딩으로 작성됐습니다.  


이것이 데이터경제 활성화 정책 전체를 부정적으로 묘사하려는 의도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사실 기사가 언급한 SNS 신용평가는 데이터경제 활성화의 일부 내용에 불과합니다. 

* 외부 필진 아이엠피터 님의 기고 글입니다.

<직썰 추천기사>

애견샵 강아지의 엄마는 어디 있을까?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