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거, 초면에 반말 좀 하지 맙시다

조회수 2018. 7. 11. 19:0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청년 세대를 이해하기 위해 진짜로 필요한 것

저도 집에 가면 당신 뻘의 부모님이 계십니다

몇 개월 정도 편의점 심야시간대 아르바이트를 했을 때의 일이다. 새치가 드문드문 나 있는 중년의 남성이 담배를 주문했다. 그는 이런저런 말을 하다 거의 계산을 마칠 때쯤 ‘반말을 해서 미안한데 집에 비슷한 또래 자식이 있어서 그래요’라고 말을 하며 꽤나 머쓱하게 돌아섰다.


심야 시간대 편의점이 으레 그렇다. 손님들 중 대다수는 반말하기 일쑤다. 피곤함이 더 커서 신경도 안 쓰고 있었는데 막상 그렇게 말을 하니 내가 더 당황스러웠다. (만약 내가 여성이었으면 그런 말조차 했을까 싶다.) 


소위 청년이라 불리는 2030들은 어느 장소에서건 한 번 이상은 경험해 봤을 법한 일이다. "집에 가면 너만 한 자식이 있어서"라거나 "내 아들/딸 같아서 그래"라는 말 한번 안 들어본 사람이 있을까. 


나로서는 이해하기 힘들지만, 추측건대 나름대로 공통점을 표현하며 공감대를 형성하려는 방법이지 않을까 싶다. 혹은 그래서 그대들이 하는 행동과 생각을 나는 다 이해한다는 표현이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물론 그럴 때마다 "저도 집에 가면 당신 뻘의 부모님이 계십니다"라는 말이 목구멍까지 올라오지만 번번이 삼킨다.

출처: 웹툰 <연애의 정령>
물론, 저는 절대로 이렇게 하지는 못했습니다.

만리장성보다 높은 세대 간 장벽

일부에서만 쓰이던 은어인 '꼰대'라는 표현이 이제는 표준어나 다를 바 없이 널리 쓰이고 있다. 부장님으로 상징되는 50대 이상 남성에 대한 감정은 불편을 넘어 혐오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 같다. 물론 경험과 배움이 다르고 살아온 시기가 다르기에 세대 간에 차이가 없다면 오히려 그것이 이상할 것이다.


하지만 지금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현실은 세대 간의 차이가 단순 차별을 넘어 구조적 불평등의 수준으로 심각하다는 데에 있다. 취업에서도, 내 집 마련에서도, 결혼과 보육에서도 지금 청년들이 마주한 현실이 부모세대 보다 훨씬 더 암담하다. 문제는 이것을 현실에서 매일매일 체감하는 청년들과 자신이 청년이었을 때를 기준으로 청년을 바라보는 기성세대 사이의 인식차이이다. 


당사자에게는 죽을 만치 압박스러운 고통이 치기 어린 투정으로 보인다면 두 사람 사이에 공감대 형성은 고사하고 대화조차도 어렵지 않을까. 지금 이 순간에도 부모와 자식 간에 벌어지고 있을 수많은 갈등과 언쟁의 큰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출처: 바꿈, 세상을 바꾸는 꿈
청년들이 눈이 높다는 이야기는 지금도 쉽게 들을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이런 목소리를 낮춰야 한다고 생각한다.

안 하는 게 아니고 못하는 겁니다

단지 눈높이가 높은 것이 아니라 급여, 노동시간 등 노동의 질이 낮기 때문인 것이다. 도전의식이 없어서 안정적인 공무원을 찾는 것이 아니라 IMF를 통해 실직의 공포를 체감했기 때문이다.


까다롭고 예민한 것이 아니라 그만큼 인권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졌기 때문인 것이다. 결혼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주거부터 출산, 보육까지 도저히 개인이 감당할 수 없는 부담 때문에 하지 못하는 것이다. 아이를 낳지 않는 것이 아니라 출산 후 다시 나의 일터로 돌아갈 수 없기 때문에 선택할 수가 없는 것이다. 


청년들이 마주한 현실은 가혹하고, 여기에서 살아남고자 하는 노력은 실로 절박하다. 이를 고려하지 않은 채로 발언하고 행동할 때마다 세대 간의 장벽은 한 칸 한 칸 높아질 뿐이다.

출처: 2015 서울청년의회
그리고 그 상처는 고스란히 개인이 감수하게 된다. 과연 그것이 올바른가?

대접받고 싶은 만큼 대접하라

세대 갈등(으로 포장된 불평등)은 부모 자식 사이에서만 나타나는 문제가 아니다. 분야와 영역을 가리지 않고 곳곳에서 벌어지는 현실이다. 참신함은 원하지만 리스크는 회피하고, 과업은 부여하되 지원은 부재하고 권한은 주지 않고 책임만 떠넘기는 사례는 차고 넘치게 볼 수 있다.


과거의 경험은 지금의 문제를 판단하고 미래를 예측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그것이 현실을 지배하고 미래를 제약해서는 곤란하다. 경험이 없기에 미숙하고 시행착오를 겪지만, 그렇기에 과거에 얽매이지 않고 전에 없던 혁신적 해법을 제시할 수 있다. 


청년을 존중한다는 것은 우는 아이 달래듯이 그들을 불쌍히 여기어 어려움을 해결해주려 나서는 것이 아니다. 인식 차이를 인정하고, 당사자의 문제는 당사자가 제일 잘 알고 있다는 관점을 가지고 동등한 입장에서 함께 문제를 풀어나가는 대상으로 서로를 인정하는 것이다. 


아주 간단하게는 초면에 반말을 하지 않고 내 자식을 투사해서 바라보지 않으며 작건 크건 권한과 책임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다. 왠지 불편하고 일방적으로 느껴진다면,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널리 전해지는 이 황금률을 기억하자. "너희가 남에게서 대접받고 싶은 대로 남을 대접하라" 존중은 일방적이지 않다. 존중한 만큼 존중받기 마련이다.

* 외부 필진 서울청년정책 LAB 님의 기고 글입니다.

<직썰 추천기사>

 "그러게 여자가 조심을 했어야지"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