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녀 프레임을 깨고 인권 외치는 김아중 이야기

조회수 2018. 7. 7. 11:1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미녀는 괴로워> 에서 '페미니스타'까지
출처: 동아일보

배우에게 가장 민감한 부분은 무엇일까? 아마도 연기력에 대한 평가 아닐까? 그렇다면 배우에게 가장 듣기 좋은 칭찬은 역시 연기력에 대한 극찬이겠다. 배우는 연기를 하는 사람이고, 연기를 잘해야 배우답기 마련이니까.


연기력을 칭찬하는 말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중에서 가장 와닿을 만한 것을 골라보자면 신뢰와 기대의 말이 아닐까 한다.

OOO의 연기는 믿고 볼 수 있어.
OOO의 연기는 매번 기대가 돼.

배우로서는 각고의 노력이 뒷받침될 때야 들을 수 있는 말이다. 도전정신도 필요하다. 끊임없이 자신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스스로를 발전시켜 나가는 자세는 타인을 감동시키기 마련이다. 자신만의 특화된 분야를 확장해 나가면서도 그 안에 매몰되지 않는 균형감도 중요한 덕목이다. 우리는 그런 배우를 ‘좋은 배우’라고 부른다.

출처: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미녀는 괴로워> 이후 심리적으로 되게 힘들었고 그렇게 멘붕의 시기를 2년 겪었어요. 그러다가 '뭔가를 알고 있어야 내가 똑바로 작품을 선택할 수 있겠구나' 생각하면서 공부를 시작했어요. 작가, 연출가, 배우들은 어떤 마음으로 작품에 임하는지를 공부했죠.


- 김아중, 작품 선택을 잘할 수밖에 없는 이유,

조이뉴스24

이런 조건을 갖춘 여러 배우 가운데 한 명이 바로 김아중이다. 영화 <어깨동무>(2003)로 데뷔했던 김아중은 <미녀는 괴로워>(2006)에서 일약 스타로 떠올랐다. 소위 말하는 출세작이 제법 빨리 찾아온 셈이다.


연예계에선 일약 스타가 반짝스타로 끝나는 경우도 허다하다. 김아중 역시 그런 위기를 겪었다. 대중으로부터 받은 사랑을 되돌려주기 위해 애썼지만, 상황과 여건이 녹록지 않았다. 


미숙함은 실수를 낳았고 실수는 자신감을 갉아먹었다. 좌절할 법도 했지만, 김아중은 무너지길 거부했다. 오히려 공부에 매진했다. 자신이 선택하고 연기할 작품에 대한 공부 말이다. 


김아중은 출세작이 인생작이 되도록 가만히 내버려 두지 않았다. 이제 그는 배우가 아무리 발버둥 쳐도 작품이 좋지 않으면 허사라고 강조하면서 "캐릭터는 작품을 선택하는 기준에서 세 번째 순위다. 첫 번째는 작품 자체다.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짜임새 있게 그리는지를 본다. 그다음에는 함께 하는 사람들이다”라고 말한다.

<미녀는 괴로워>에서 '페미니스타'까지

김아중은 출세작 <미녀는 괴로워>로 얻은 미녀 배우라는 프레임에 자신을 가두지 않았다. 그 프레임이 가져다주는 스타성에 목매지 않고, 배우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꾸준히 탐구해 나갔다. ‘장르퀸(그냥 ‘킹’이라 불러도 된다!)이라는 별명을 그렇게 얻었다. 대중은 김아중이라는 배우에게 신뢰와 기대를 보내기 시작했다.

김아중은 SBS <싸인>(2011)에서 감정적이면서 저돌적인 국과수 신참 법의관 고다경 역을 맡았고, SBS <펀치>(2014-2015)에서는 7살 딸을 키우는 서울지검 강력부 검사 신하경 역을 카리스마 있게 소화했다. SBS <원티드>(2016)에선 아이를 납치당한 톱배우 정혜인 역을 맡아 강렬하면서도 섬세한 연기를 선보였다.


여성의 자리가 점차 위축되고 있는 상황에서 김아중의 존재감은 더욱 빛난다. 관련하여 한 가지 더 덧붙일 이야기가 있다. 김아중이 영화 내, 외부로 자신의 선한 영향력을 발휘할 줄 아는 '좋은 사람'이라는 것이다. 


가령 지난 6월 29일 김아중은 서울 지역의 한부모 가족(한국한부모가족복지시설협회와 서울 모자의 집, 성심모자원, 해오름빌, 애란원 등)에게 옷 1000벌을 선물했다. 김아중은 한부모 가정, 다문화 가정을 위해 꾸준히 기부 활동을 해 왔다.

2009년 12월에는 아동복지기관인 '한국 펄벅 재단'에 1억 원 상당의 의류를 기증했고, 2015년 11월에도 한부모 가정의 엄마들에게 여성으로서의 시간을 선물하고 싶은 마음을 담아 시계를 전달했다.


이와 같은 김아중의 따뜻한 선행은 평소 그가 관심을 갖고 있는 여성 인권과도 연결된다. 지난해 10월 김아중은 <한국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여성 인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해요. 여성을 어떻게 그릴지 충분히 연구해야죠. 성적인 대상화로만 만들지 않고, 극을 전개하는 매개로만 쓰지 않았으면 해요. 여성 영화제를 가보면 여성 캐릭터가 할 수 있는 게 정말 많거든요. 그런 기획이 많이 나온다면 좋겠어요.


- 김아중 "스크린, 여배우 설 자리 정말 없다", 한국일보

그는 ‘세이브더칠드런’에서 진행한 <스쿨미 캠페인>의 대사를 맡아 빈곤과 차별로 인해 제대로 된 교육 기회를 제공받지 못한 아프리카 소녀들이 학교에 다닐 수 있도록 지원하기도 했다. 서울국제여성영화제(SIWFF) 17, 18회에선 페미니스타로 활약했다. 이어진 19, 20회 여성영화제에서도 명예집행위원으로 계속해서 인연을 맺고 있다.

출처: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외모지상주의를 풍자한 <미녀는 괴로워>라는 프리즘을 거쳤던 김아중이, 여전히 성별이 여성인 배우를 ‘여배우’라는 특수한 이름으로 부르는 사회에서 이리저리 부딪치는 선택을 한 건 운명과도 같은 일일지 모르겠다.


여전히 여성을 위한 기회가 부족하고, 차별이 버젓이 존재하는 연예계에서 김아중이라는 배우가 주는 든든함은 생각보다 크고 단단하다. 좋은 배우이자 좋은 사람인 그가 승승장구하길 기대한다.

* 외부 필진 버락킴의너의길을가라 님의 기고 글입니다.

<직썰 추천기사>

직원들을 노예처럼 부리는 방법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