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한강변(마포·용산·성동), 2021년 가장 유망한 지역으로 꼽혀

조회수 2021. 2. 8. 10:44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20~30대는 '한강변', 40대 이상은 '강남권' 선택

2021년도 벌써 한달이 지났다. ㈜직방(대표 안성우)에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를 대상으로 2021년 부동산 매입이 유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과 올해 부동산시장에서 개인적으로 바라는 점, 국내 부동산시장에서 바라는 점에 등에 대해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일반 대중들이 선택한 2021년 부동산 매입이 가장 유망할 것으로 전망되는 지역은 ‘한강변(마포ㆍ용산ㆍ성동)’이었다. 전체 응답자 중 15.5%가 선택했다. 근소한 차이로 △강남권(강남ㆍ강동ㆍ서초ㆍ송파)(15.3%)이 두번째로 선택됐고 이어 △하남ㆍ남양주(11.1%) △수용성(수원ㆍ용인ㆍ성남)(10.2%) △고양ㆍ파주ㆍ김포(10.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21년 매입 유망지역으로 꼽힌 지역은 연령별, 거주지역별로 응답의 차이를 보였다. 20~30대는 가장 유망한 곳을 ‘한강변’으로 선택한 반면, 40대 이상은 전통적으로 가격 강세지역인 ‘강남권’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거주 지역 중심으로 유망한 곳을 선택하는 선호 경향이 나타났다. 서울 거주자는 △한강변 > 강남권 > 노도강 > 하남ㆍ남양주 > 고양ㆍ파주ㆍ김포 순으로 유망 지역을 꼽았고, 경기 거주자는 △수용성 > 고양ㆍ파주ㆍ김포 > 하남ㆍ남양주 > 한강변 > 강남권 순으로 선택했다. 인천 거주자는 △인천 > 강남권 / 고양ㆍ파주ㆍ김포 > 한강변 > 하남ㆍ남양주 / 세종ㆍ대전 순으로 나타났다. 지방 5대광역시 거주자는 △부산을 가장 많이 선택했고 이어 세종ㆍ대전 > 강남권 > 대구 > 한강변 / 울산 순으로 응답했다. 지방 거주자는 △세종ㆍ대전 > 강남권 > 충남ㆍ충북 > 경남 > 한강변 순으로 응답했다.

2021년 매입 유망 지역을 선택한 이유는 ‘GTX, 지하철, 도로 등 교통 호재’가 32.9%로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가격 선도(리드) 지역(17.8%) △재개발, 재건축 개발 호재(15.9%) △저평가 지역(13.0%) △대규모, 브랜드 단지 지역(9.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21년 부동산시장에서 개인적으로 바라는 점은 ‘현 보유주택보다 나은 조건으로 매매 갈아타기’가 26.7%로 1위를 기록했다. 이어 △전, 월세에서 내집마련(24.6%) △청약 당첨(18.1%) △보유 부동산을 통한 자산가치 증대(15.2%) △현 거주지보다 나은 조건으로 전, 월세 이동(9.6%) 순으로 나타났다.

이 질문은 연령별, 부동산 보유여부별로 응답 결과에 차이를 보였다. 20~30대는 올해 개인적인 바람으로 ‘전, 월세에서 내집마련’을 1순위로 꼽았다. 반면 40대 이상은 ‘더 나은 조건으로 매매 갈아타기’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연령대별로 보유한 자산의 차이가 있다 보니 나타난 결과로 분석된다.

부동산 보유자는 1위로 ‘더 나은 조건으로 매매 갈아타기’(54.4%)를 절반 이상 응답했고 이어 △보유 부동산을 통한 자산가치 증대(25.5%) △청약 당첨(10.6%) 순으로 올해 바람을 밝혔다. 반면, 부동산 미보유자는 ‘전, 월세에서 내집마련’(48.3%)을 가장 큰 바람이라고 답했고 그 다음으로는 △청약 당첨(25.5%) △더 나은 조건으로 전, 월세 이동(15.1%) 순으로 응답했다.

2021년 국내 부동산시장에서 바라는 점으로는 ‘부동산 가격 안정’(34.7%)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거래 가능한 풍부한 매물 출시(11.2%) △투자가 아닌 거주 인식 변화(10.8%) △서민을 위한 정책 실현(9.2%) 등이 응답됐다. 모든 계층에서 부동산 가격 안정을 가장 우선으로 꼽았다.

2021년 국내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는 ‘대출 규제’(18.4%)라고 답한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여건(15.8%) △공급정책 및 공급물량(13.3%) △강화된 세금정책(12.0%) △저금리 기조에 따른 자금 유동성(11.9%) △수요자 불안심리(10.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21년도 2월로 접어들었다. 유망지역을 바라보는 시각이나 올해 부동산시장에서 개인적으로 바라는 점은 연령별, 거주지역별, 부동산 보유여부별로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면, 모든 계층에서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2021년 부동산 가격 안정을 바라는 만큼 각종 공급계획과 정책에 힘입어 올해 안정적인 부동산시장을 기대해 본다.

글. 직방 빅데이터랩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