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페이스북, 아마존을 있게 한 '1만 실험의 법칙'

조회수 2020. 1. 27. 13:5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우리는 흔히들 한 분야의 전문가로서 정점을 찍기 위해서는 1만 시간의 법칙을 지키면 된다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요? 에디슨, 제프 베조스, 저커버그 등 누구나 인정하는 성공한 사람들은 1만 시간의 법칙을 실천한 적이 없었습니다. 대신, 그들은 1만 실험의 법칙을 지켰죠.


아마존의 CEO인 제프 베조스와 페이스북을 만든 마크 저커버그는 단순히 시간을 많이 쏟는 것이 성공의 열쇠가 아닌 얼마나 많은 시도를 해보았는지가 성공의 핵심이라고 말했는데요. 여러분이 직업은 물론이고, 모든 생활에서 성공의 가능성을 높이고 싶다면 '1만 실험의 법칙'을 자세히 알아보세요!


1만 시간의 법칙으로는 성공할 수 없다?

모두들 말콤 글래드웰이 <아웃라이어>라는 책을 통해 퍼뜨린 '1만 시간의 법칙'에 대해서는 잘 알고 계실 겁니다. 이 법칙에 의하면 어떤 분야에서든지 1만 시간 동안 의도적으로 연습을 하면 세계적인 수준의 전문가가 될 수 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이후의 연구에 의하면, 이 법칙으로는 성공을 설명하는 것은 너무나도 어렵다고 합니다. 특히 직업적인 분야에서는 말이죠.


2014년에 이와 관련된 88건의 연구들은 보고서에 이렇게 결론을 내렸습니다. '의도적인 연습은 게임 실력을 26% 향상시켰고, 음악에서는 21%, 스포츠에서는 18%, 학습에서는 그 능력을 4% 향상시켰지만, 직업에 있어서는 1%도 되지 않았습니다. 의도적인 연습이 중요하긴 하지만, 그동안 주장되어 온 만큼은 아닙니다.'

출처: Deliberate Practice and Performance in Music, Games, Sports, Education, & Professions: A Meta-Analysis

​스포츠나 음악처럼 시간이 흘러도 변함이 없거나, 변하더라도 아주 천천히 바뀌는 분야에서는 의도적인 연습이 도움이 될 수는 있습니다. 즉, 미래에도 이전과 똑같은 것을 해야 하는 분야라면 1만 시간의 법칙이 도움을 줄 수 있지만, 테크놀로지나 비즈니스처럼 빠르게 변하기 때문에 당장 그 다음을 예측하기도 어려운 분야에서는 소용이 없다는 것입니다.


수십 년간 연구를 통해 밝혀진 1만 실험의 법칙이 성공하는 이유!

출처: Unsplash

심리학자인 딘 키스 사이먼튼은 전 세계적으로 크게 성공을 거둔 사람들에 관해 조사하고, 그들의 커리어에서 어떤 공통적인 패턴이 있는지를 찾아내기 위해 평생을 바쳐 연구해왔습니다.

그의 연구를 보면, 두 가지의 흥미로운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사실
가장 혁신적인 아이디어들은 소수의 슈퍼스타들이 만들어 낸다.

어떤 분야에서든 새로운 아이디어의 50% 이상은 상위 10%의 사람들이 만들어냅니다. 이런 슈퍼스타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왜 그렇게 더 성공할 수 있을까요? 그들의 아이디어가 아예 처음부터 뛰어나기 때문일까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여기서 바로 사이먼튼의 연구에서 배울 수 있는 두 번째 사실을 확인해 볼텐데요.

두 번째 사실
슈퍼스타들도 다른 사람들만큼이나 형편없는 아이디어들을 많이 만들어 낸다.

그러니까 그들은 그저 아이디어를 더 많이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죠. 더 많은 아이디어를 낸다는 것은, 물론 형편없는 아이디어도 더 많겠지만, 그중에서는 히트작도 더 많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창의적인 인물들이 아무리 전문성이나 경험을 갖추었을지라도 자신들의 성공 확률을 높이지는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창의적인 사람들은, 소위 천재라고 하는 사람들조차도 자신들의 지적인 성취나 미학적인 창작품 중에서 과연 어떤 것이 갈채를 받을지 예측할 수 없다.'

사이먼튼 글의 일부입니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성공할 수 있게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더 많은 실험을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1만 실험의 법칙은 모든 분야에서 통한다.

→ 유명한 영화 제작사 중 하나인 픽사(Pixar)는 영화 <월-E>의 최종 시나리오를 만들기까지 10만 개 이상의 스토리보드를 만들었습니다. 스토리보드란 시나리오를 순서대로 그림으로 내려는 것인데요. 이런 것을 10만 개 만드는 노력을 들인 끝에, <월-E>라는 명작이 탄생합니다.
→ 정수론, 그래프 이론 등의 업적을 남긴 헝가리 출신의 수학자, 폴 에르되시는 평생 1,500편 이상의 수학 연구논문을 공동으로 집필합니다. 매년 1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하는 과학자나 수학자가 1%도 되지 않는다는 것을 감안하면 엄청난 양의 논문을 집필한 것인데요. 그가 쓴 논문의 양은 방대하지만 널리 알려진 논문은 손가락에 꼽을 정도로 소수입니다.
→ 역사상 가장 오래 방영되고 있는 TV프로그램 중 하나인 SNL은 프로그램 한 편을 제작하기 위해서 제작진들이 매주 브레인스토밍을 하고, 조사를 하고, 시나리오를 쓰는 고된 실험을 통해서 대본을 만들어냅니다. 이들이 쏟아내는 아이디어 중에서 실제로 방송으로 나가는 비율은 매우 적습니다.
→ 광고계의 전설인 벤 클라크와 존 본드는 패스트 컴퍼니(Fast Company)에 기고한 글을 통해서, 새로운 테크놀로지와 효율적인 비즈니스 전략 덕분에 세계적으로 혁신적인 기업들은 연간 수천 번의 실험을 수행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출처: Forget The 10,000-Hour Rule; Edison, Bezos, & Zuckerberg Follow The 10,000-Experiment Rule
글로벌 기업들이 매년 실험을 진행하는 횟수

실험이라는 단어를 듣게 되면 발명가나 연구가에게만 국한된 일인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에서의 실험은 여러분이 얼마나 시도하고 도전했는가를 뜻합니다. 


즉, 우리가 마주하게 될 모든 일 속에서 어느 정도까지 열정적으로 도전해보았는가를 말하는데요. 당연한 이야기일 수 있지만 충분히 실험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다 보면 성공은 자연스럽게 따라오게 됩니다. 중요한 것은 단순히 시간을 투자하기보다 얼마나 끈기있게 시도하고 부딪히고, 더 많은 인사이트를 얻었는지가 성패를 좌우하는 것이죠.


어떻게 1만 실험의 법칙을 실천해볼 수 있을까?

출처: Unsplash

에디슨은 전구와 같은 위대한 발명품을 만들어내기까지, 수백 번, 때로는 수천 번의 실험을 거쳤습니다. 그의 목표는 10일마다 작게 시작해볼 수 있는 발명 아이디어를 한 가지 내는 것과 6개월마다 크게 혁신적인 아이디어 한 가지를 내는 것이었는데요. 이처럼 일상에서도 1만 실험을 적용해볼 수 있는 자세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우선, 여러분의 삶을 바꿀 수 있는 잭팟과도 같은 실험을 적어도 하나는 찾아내야 합니다. 시간과 비용 면에서 부담이 적으면서도 삶을 가치있게 바꿀 수 있는 것, 그리고 적절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잭팟 실험'이라고 일컫습니다.


그 다음, 매일 세 가지의 실험을 진행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하루가 시작되면, 그날 수행할 세 가지의 실험을 찾아내세요. 그날 하루 동안 실험하면서 데이터를 모으고, 하루가 끝나기 전에 그 결과를 분석한다면 큰 도움이 될 겁니다.


이렇게 한 달만 지속해보세요. 평범하고 똑같이 흘러가는 일상의 굴레 속에서 무언가 달라진 느낌이 들 것입니다.




※이 글은 'Forget The 10,000-Hour Rule; Edison, Bezos, & Zuckerberg Follow The 10,000-Experiment Rule'를 각색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