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부터 대화법을 바꿔야 사회에서 대우받는 이유

조회수 2019. 12. 4. 14:43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품위 있게 원하는 것을 얻는 9가지 대화의 무기 <우아한 승부사>

마흔, 겉보기에 멀쩡해 보이지만 인생 후반의 사춘기를 앓는 시기다. 대개 자신의 감정을 억누르며 마음을 돌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 지나치거나 모자란 말과 표현으로 직장 혹은 가정에서 마음을 터놓지 못해 고립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말로 분별하고
당당함으로 무장하라!
마음이 안정되어 있지 못하면
그 말이 가볍고 급하다.
《근사록近思錄》

공자는 마흔이 되어 세상의 유혹과 욕심에 흔들리지 않고 마음을 굳게 지킬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 이야기가 《논어》 〈위정〉에 실려 있다. “마흔이 되면 미혹되지 않는다四十而不惑, 사십이불혹.”



맹자도 같은 의미의 말을 했다. 제자인 공손추가 “제나라의 왕이 스승님을 재상으로 삼는다면 패업을 이룰 수 있을 텐데 그러면 마음이 동요되겠습니까?”라고 묻자, 맹자가 말했다. “나는 마흔에 부동심을 이루었다我四十不動心, 아사십부동심.” 이어서 공손추는 “스승님의 강점은 무엇입니까?”라고 물었다. 그처럼 담대한 마음을 가질 수 있었던 힘은 어디서 비롯되었냐는 물음이다. 그러자 맹자는 자신의 두 가지 강점은 ‘지언知言’과 ‘호연지기浩然之氣’라고 말했다.


나는 말을 잘 알고, 호연지기를 잘 기른다
我知言 我善養吾浩然之氣,
아지언 아선양오호연지기.

‘지언’은 말의 이치를 알아서 시비를 가릴 수 있는 능력이다. “편파적인 말을 들으면 가려진 것을 알고, 과장된 말을 들으면 무엇에 빠져 있는지를 알며, 간사한 말에서는 도리에 벗어난 것을 알고, 핑계 대는 말을 들으면 궁지에 몰렸다는 것을 안다”라고 맹자는 지언을 설명해주었다.

절제와 여유가 삶에 넘치는 사람

겸손하고 관대한 사람

엄숙하면서도 온화한 사람.


이들의 모습은 이들의 말과 꼭 닮았다. 특히 사람을 이끄는 지도자의 위치에 있는 사람이라면 더욱 절실한 가르침이다. 지도자의 소임 중의 하나는 아랫사람을 성장시키는 것이다. 아랫사람의 장단점을 잘 살펴서 장점은 키워주고 단점은 고치도록 이끈다. 그렇게 할 때 아래 직원은 크게 성장할 수 있다. 즉 경쟁 상대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성장할 사람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겸손하고 솔직한 상사는 조직에도 좋은 영향을 미친다. 팀원들 역시 상사의 본을 따라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하고 정보를 나눌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된다.



모자람보다는 지나침을 경계하라!

요즘과 같은 감정과 말의 과잉시대에는 모자람보다는 지나침을 조심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특히 말과 관련해서는 더욱 그렇다. 과도한 말로 후회하기보다는 차라리 입을 닫고 침묵하는 것이 지혜롭다. 모자람은 채울 수 있지만 지나친 말을 다시 주워 담을 수 없기 때문이다. 주위에 감정이 격양되거나 슬픔에 빠진 사람을 대할 때는 더욱 지혜로운 처신이 필요하다. 지나치게 많은 말로 감정을 부추기거나 상대를 어지럽혀서는 안 된다.


자신을 드러낼 때도 마찬가지다. 자부심과 겸손함이 적절해야 한다. 겸손함은 모두가 갖춰야 할 좋은 덕목이다. 하지만 지나치면 자신감이 부족해보이고, 넘치면 자칫 비굴해 보인다. 즉 겸손한 가운데 당당한 자신을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자연스레 자신을 높일 수 있는 능력은 중용, 즉 내면의 단단함에서 비롯된다.


좋은 관계를 이룰 수 있는
질문을 공부하라!

널리 배우고, 자세히 묻고, 신중히 생각하고, 분명히 분별하고, 독실하게 행하라
《중용》

질문은 가장 긴요하게 사용되는 의사소통 수단이다. 좋은 질문은 단지 모르는 것을 아는 데 그치지 않고, 관계의 벽을 허물어준다. 특히 상대를 알고 싶은 선의의 호기심으로 인식될 수 있다면 상대 역시 나를 알고 싶게 하며 궁극적인 공감을 이룬다. 즉, 훌륭한 소통자가 되려면 질문을 잘하는 방법을 알고, 이해하며 나아가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먼저 쉬운 것부터 차근히 물어 분위기를 조성한 다음 핵심적인 질문으로 범위를 넓혀가는 것이 좋다. 상대가 부담을 느끼지 않고, 쉽게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먼저 건네는 것이다. 빨리 결론을 내려는 조급함을 버리는 게 중요하다. 이후 핵심 질문은 자세히 물어 명확한 답을 얻는 것이다. 또한 해결책이 필요한 중요한 질문은 제대로 답할 수 있는 전문가를 찾는 것이 마땅하다.


자신만이 정답이라는
자세와 말투는 버려라!

“공자가 태묘에 들어가서 일마다 물었다.”
《논어》

공자가 창시한 유교의 핵심 덕목은 ‘인의예지’다. 공자는 이 모두를 강조하며 특히 사람과의 관계에서 예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공자는 예의 기준을 제시했고, 사람의 도리로써 반드시 예를 지킬 수 있어야 한다고 가르쳤다.


삶을 살아가면 우리는 정답이 없는 상황들을 흔히 마주한다. 때문에 일률적인 정답이 아닌 상황에 맞춰 적용할 수 있는 해답을 찾아야 한다. 이 때 자신만의 아집에 사로잡혀 단순히 지식을 과시하지 않고, 상황을 정확히 인지하고 옳고 그름을 판별할 수 있는 통찰력과 유연함이 필요하다. 오직 자신의 답만이 옳다고 여기는 사람은 고루한 사람, 나이와 상관없이 정형적인 꼰대형 인간으로 평가받게 된다.

말은 돌고 돌아 결국 스스로에게 돌아온다. 타인의 단점을 찌르면 그 말은 단검으로 돌아온다. 누군가의 장점을 말하면 그 말은 향기로 내게 돌아온다. 나를 존중하고 남을 존중하는 것. 이것이 결국 나의 품격이자 공동체의 품위를 이룬다.
<다산의 마지막 공부> 
조윤제 작가의  고전으로 배우는
말공부가 궁금하다면?
▼ ▼ ▼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