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창업가는 꼭 금수저여야 하나요?

조회수 2019. 10. 30. 20:05 수정
음성재생 설정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재생시
별도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편견댓글 읽어봤다’ 코너는 <위클리 공감>과 온라인 뉴스 매체 <허프포스트코리아>가 함께 만드는 영상 콘텐츠로 우리 사회 편견에 관해 이야기해요. 전병훈 교수와 2명의 청년 대표가 이야기한 청년창업 이야기! 함께 들어볼까요? 


위클리 공감 홈페이지 원문 보러 가기

대한민국의 청년창업은 2016년 기준 22만 6000개로, 전체 창업의 22.9%로 나타났어요. 


대박을 꿈꾸며 사업에 뛰어든 청년이 많다는 얘기죠. 하지만 창업 후 ‘정부지원금을 받기 위해 브로커를 썼다’거나 ‘금수저’라며 비난을 받는 등 편견에 시달리고 있어요. 


사업을 꾸려나가는 것도 힘에 부치는데 수모까지 받는 청년창업자들. 창업을 생각해보는 이들을 위해 실제 사업을 시작한 2명의 청년 대표와 ‘청년기업가센터’ 원장이 한자리에 모여 청년창업과 관련한 인터넷 ‘편견댓글’을 이야기했어요.

댓글① 금수저인 사람들이나 실패할 걱정 없이 창업한다?

전병훈 교수(이하 전 교수): 염 대표와 이 대표는 금수저인가요?

염규리 대표(이하 염 대표), 이신일 대표(이하 이 대표): 아니죠.

염 대표: ‘학생이 돈이 어딨어?’라고 생각하실 수 있어요. 창업 동아리 선배들 얘기 들어보면 ‘그래도 500만 원 정도는 알바를 하든 여행을 안 가든 모아놓아’라고 말해요. 자금을 들고 지원사업을 시도하는 게 순서죠.

▶다양한 정부지원 정책을 찾아보고 자금을 지원받는다.

염 대표는 사업에서 종잣돈 마련은 필수라고 말했어요. 학생 창업이라 해도 교통비, 식비, 회의비 등 돈 들어갈 곳이 매우 많아요. 그렇다면 종잣돈은 어떻게 구할 것인가? 


전 교수에 따르면, 최근 ‘창업진흥원(창업넷)’에서 제공하는 ‘예비 창업자 육성사업’과 ‘청년창업 사관학교’ 프로그램 등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청년창업을 지원하는 사업이 생겨 예전보다 지원받을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어요. 


또 본인의 관심 분야나 사업 특성에 따라 자금 지원사업 외에 대학교 내 창업 공간 대여, 오픈 스페이스, 네트워킹 등을 이용할 수 있다고 해요.

댓글② 정부지원금을 받는다고 해도 문서 작업에 휘둘려서 스트레스가 크다?

염 대표: 스트레스가 있죠. 하지만 ‘정부지원금도 세금이고 예산이니 마땅히 하겠다’ 정도의 스트레스예요.

이 대표: 우스갯소리로 ‘정부지원금 5000만 원 받으면 대표가 5000만 원어치 문서 작업을 해야 한다’고 해요. 하지만 그렇게 해서라도 예산을 따온다면 엄청난 수확이죠.

▶스트레스 때문에 지원금을 포기할 순 없다.

정부지원금은 시민들의 세금으로 만들어진 예산이에요. 지원을 받기 위해 문서 작업은 당연한 절차일 수밖에 없어요. 


작업할 자료가 많아 스트레스받을 수 있으나 본인이 창업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이니 차근차근 준비해나가는 자세가 중요하답니다.


댓글③ 정부지원금을 얻기 위한 브로커가 있다?

이 대표: 브로커처럼 지원사업 심사를 위한 서류 작업을 대행하는 사람이 있어요.

이런 악용 사례가 심심치 않게 들려오다 보니 그걸 막기 위한 안전장치도 생깁니다. 심사가 지금보다 까다로워지는 식으로요.

▶브로커들이 공정하게 평가받으려는 사람에게 불이익을 주고 있다.

정부지원금은 서류 평가, 발표 평가 두 단계의 심사가 있어요. 평가 항목이 많지 않다 보니 문제는 지원금을 노리는 소위 ‘사냥꾼’이나 이를 도와준다는 컨설팅 업체까지 판친다는 것이죠. 


하지만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중 사업계획서 등을 타인이 대신 작성해 제출하는 경우, 작성자(대필자)와 신청자(창업자) 등 관련자 전원이 사기 또는 업무방해죄 등으로 처벌될 수 있어요.

댓글④ 지원사업을 잘하면 사업에 도움이 되지만, 집착하면 본업 집중도가 떨어진다?

이 대표: 정답이에요. 정부 지원을 받았다고 해서 우리 아이템이 성공했다고 볼 수 없죠.

전 교수: 문서 작성에 매달리다 보면 사업을 지속하기 힘들죠. 지원금을 기반으로 자립할 힘을 키워야 해요.

▶외형에만 집착하다 사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다.

정부지원금을 받을 때 가장 난감한 부분이 바로 문서 작성 기술이에요. 잘하면 사업에 큰 도움이 되지만 자칫 잘못하면 독이 될 수 있어요. 


이 대표는 이런 점을 지적하며 ‘정부지원금을 위한 제안서’가 아닌 ‘고객을 위한 제안서’ 만들 것을 당부했어요.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