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 속 숨겨진 이야기

조회수 2021. 4. 15. 15:10 수정
음성재생 설정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재생시
별도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밤하늘의 별이 인상적인 작품 '별이 빛나는 밤'. 한 번쯤 보신 적 있으시죠? 이 작품은 고흐가 생레미 정신병원에서 그린 작품인데요. 우울증과 공황장애로 힘든 시기를 보냈던 때 불후의 명작을 완성한 거라고 해요. 고흐가 자신의 감정을 어떻게 예술로 승화시켰는지, 그의 작품을 박인권 문화칼럼니스트와 함께 만나보세요.


1853년 네덜란드 남부 노르트브라반트주의 작은 도시 쥔더르트에서 태어난 빈센트 반 고흐는 6남매 중 맏이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한 살 위의 형이 있었어요. 불행히도 그 형은 태어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병으로 목숨을 잃고 말았죠.


고흐는 1880년부터 10년 동안 그림의 세계에 파묻혀 불꽃같은 삶을 살았어요. 고흐 미술인생의 절정기는 1888년 2월에서 1890년 7월까지 2년 6개월 사이에 펼쳐졌는데요. 이른바 아를~생레미~오베르쉬즈우아르 시기에요. 오늘날 널리 알려진 고흐 작품의 대다수가 이때 탄생했죠. 특히 아를과 생레미 시절 고흐는 거의 이틀 걸러 한 점씩 그렸을 정도로 그림에 파묻혀 살았어요.




1886년 파리로 거처를 옮긴 고흐는 팍팍한 대도시의 삶에서 오는 중압감을 견디지 못하고 남프랑스에 위치한 태양의 도시 아를로 떠났어요. 1888년 2월이었죠. 이듬해 5월 생레미의 정신병원에 입원할 때까지 아를에 머문 기간은 1년 3개월가량입니다. 살아 꿈틀거리는 듯 독창적이고 격정적인 붓 터치와 마법 같은 색채의 향연은 그곳에서 잉태되고 무르익었어요.


이어진 생레미 시절 고흐 특유의 붓질과 내면의 감정과 영혼이 투사된 채색 기법은 절정에 달해요. 홀로, 처절하게, 광기를 내뿜으며 캔버스와 사투를 벌인 그는 그만의 방식으로 세상의 무관심을 조롱했습니다. 그 중심에 있는 작품이 바로 ‘별이 빛나는 밤’인데요. 1889년 6월 생레미의 정신병원에서 요양하던 중 고향의 밤 풍경을 그리워하며 그린 그림이에요.




밤 풍경 그림 중에서 가장 유명


1888년 5월 고흐의 초청으로 폴 고갱이 ‘노란 집’으로 불리는 아를의 작업실에 합류했어요. 그러나 현실주의적인 고갱과 이상주의적인 고흐는 자주 부딪혔죠. 결국 2개월을 넘기지 못하고 고갱은 고흐 곁을 떠났습니다. 고갱의 부재는 고흐의 발작 증세를 부추겼는데요. 급기야 크리스마스 무렵 고흐는 자신의 왼쪽 귀 일부를 잘라 아를의 한 매춘부에게 건네는 기행을 저지르고 말아요.


주민들의 민원이 쇄도하고 설상가상으로 1889년 4월 평생의 동반자로 여겨온 동생 테오의 결혼 소식은 고흐의 우울증과 공황장애에 결정타를 가하고 마는데요. 결국 한 달 후 고흐는 생레미의 생폴 요양원에 입원하게 되고 이곳에서 불후의 명작 ‘별이 빛나는 밤’을 완성했으니 반전도 이런 반전이 있을까요?


뉴욕현대미술관에서 상설 전시 중인 작품으로 밤 풍경 그림 중에서 가장 유명합니다. 고질적인 정신질환이 손짓하는 광기와 지독한 고독, 자신의 그림을 몰라주는 세상에 대한 원망을 폭발적인 표현주의풍의 예술로 승화시킨 세기의 걸작이에요. 아를 시대 때 정립한 고흐 화풍이 원숙한 경지에 올랐음을 입증하는 물증이 다 들어 있죠.


출처: wikipedia commons, public domain
▶빈센트 반 고흐, ‘별이 빛나는 밤’, 캔버스에 유화, 73.7×92.1cm, 1889, 뉴욕현대미술관소장



우선 색. 밤하늘을 상징하는 짙은 푸른색이 화면 전체를 강하게 지배하고 있어요. 하늘에는 11개의 노란 별이 주위를 둘러싼 뿌연 흰 무리와 어우러져 터질 듯한 존재감을 뽐내고 있죠. 맨 오른쪽 위 별빛과 같은 노란색 옷을 두껍게 입은 오렌지빛 그믐달은 마치 태양처럼 이글거리는데요. 하늘과 별과 달을 표현한 파랑과 노랑은 섞으면 무채색이 되는 보색 관계예요. 이 때문에 130여 년 전에 고흐가 그린 밤하늘을 보는 우리의 시신경은 어질어질 현기증의 세계로 빠져들죠.


하늘 가운데에는 푸른색의 거대한 나선형 형상이 꿈틀꿈틀 용솟음치며 압도적인 힘을 과시하는 구름 띠가 보입니다. 별과 달, 하늘과 구름은 눈에 보이는 그대로의 색이 아니에요. 그것은 고흐의 마음속에 내재한 감정의 색, 상상의 색이죠. 고흐에게 색채의 본질은 망막에 포착되는 날것이 아니라 자신의 몸과 마음을 휘감고 있는 분위기였던 것이에요.




우울함과 쓸쓸함의 중의적 상징



다음은 붓 터치와 형상을 살펴볼까요? 고흐는 밤하늘을 수놓은 모든 것을 원형과 나선형, 물결 모양의 배열로 디자인했습니다. 그 모습을 굵고 짧고 역동적인 붓 터치의 연속으로 표현했죠. 팔레트에서 물감을 섞지 않고 원색의 물감을 두텁게 칠하거나 아예 튜브에서 물감을 바로 짜내 캔버스에 바르는 방식으로 붓 터치를 했는데요. 대상과 형식의 단순화에도 불구하고 풍성한 물감의 질감이 자아내는 입체감이 느껴지는 이유예요. 그림 속 물체들이 살아 움직이는 것처럼 에너지와 율동미가 넘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또 하나, 색이 빚어내는 아우라를 느껴봐요. 코발트색 하늘은 밤하늘의 고흐식 표현이면서 고흐가 평생 맞닥트린 우울함과 쓸쓸함의 중의적 상징입니다. 별과 달이 간직한 노란색은 고흐의 광기와 분노의 미술적 변형이죠.



출처: wikipedia commons, public domain
▶빈센트 반 고흐, ‘론강의 별이 빛나는 밤’, 캔버스에 유화, 72×92cm, 1888, 오르세미술관 소장



시선을 압도하는 것이 또 있습니다. 화면 왼쪽 아래에서 하늘 끝까지 불꽃 모양으로 곧게 뻗어 있는 기이한 형체가 보여요. 사이프러스 나무입니다. 편백나무과의 침엽수인 사이프러스는 지중해 연안의 공동묘지에 흔한데 서양문화권에서 죽음의 상징으로 여겨져요. 살아서는 별에 다가갈 수 없는 현실을 안타까워한 고흐가 저승의 세계에서 별과의 만남을 기대하는 증표가 아닐까요?


이승에서의 삶의 종말이 임박했음을 알고 있었는지 고향에 대한 사무치는 그리움을 나타낸 도상도 눈에 띄어요. 화면 아래 중앙에 작지만 높이 솟은 모습이 선명한 교회 첨탑이 그것인데요. 당시 프랑스 교회의 첨탑은 높지 않았어요. 그림처럼 높은 첨탑은 고흐의 모국인 네덜란드풍이에요. 화가가 되기 전 목사의 꿈을 꾸었고 전도사로 활동했던 고흐의 신앙적 표현입니다.


폭발적인 에너지로 충만한 하늘 풍경과 달리 화면 아래 마을은 차분하고 고즈넉해요. 똑같은 밤 풍경이지만 하늘과 마을을 대하는 고흐의 마음은 극과 극이에요. 아를 시절에 그린 ‘론강의 별이 빛나는 밤’(1888)과 비교하면 1년 사이에 붓 터치의 격렬함과 에너지의 충만함이 지구를 떠나 우주에 도착한 느낌입니다.


ⓒ 박인권 문화칼럼니스트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