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뭉크의 작품 '사춘기' 속 그림자의 정체는?

조회수 2021. 2. 16. 17:0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출처: wikipedia commons, public domain
▶에드바르드 뭉크, '절규'

양손을 부여잡고 비명을 지르는 사람의 모습이 인상적인 작품 '절규'는 화가 뭉크의 대표 작품입니다. 뭉크는 '절규'를 그린 1년 뒤 또 하나의 유명한 그림을 선보였어요. 바로 '사춘기'라는 작품입니다. 


박인권 문화칼럼니스트는 이 그림의 백미가 '사춘기' 소녀 뒤로 보이는 시커먼 그림자라고 했는데요. 과연 그림자의 정체는 무엇일지, 박인권 문화칼럼니스트와 함께 알아볼까요?


인간의 사고와 행동은 성장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유아기와 청소년기는 물론 성인이 되어서도 자신을 둘러싼 주변의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죠. 내면의 의식과 생각이 말을 지배하고, 그 말은 또 일란성 쌍둥이처럼 행동으로 이어져요. 그런 말과 행동이 쌓이고 쌓여 세월이 흐르면서 가치관으로 굳어지고 나아가 삶의 궤적을 결정짓는 중요한 토대가 되는 것입니다. 그런 점에서 의식과 생각은 인간의 사고와 행위 체계의 요람이며 의식과 생각의 잉태와 완성에는 성장환경이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쳐요. 우리가 알고 있는 화가 중 에드바르 뭉크(1863~1944)도 어릴 때 가정환경의 그림자가 평생의 작품세계에 드리워져 있습니다. 뭉크 작품의 키워드라 할 수 있는 ‘삶과 죽음’ ‘고독과 불안’ ‘절망과 고통’은 어린 시절에 겪은 불행한 가족사에 뿌리를 두고 있어요.


뭉크는 1863년 12월 12일 노르웨이 북부지방 로이텐에서 태어났어요. 아버지는 군의관이었으나 주류 의사는 아니었죠. 첫 번째 불행은 뭉크가 다섯 살 때 일어났습니다. 어머니가 서른의 꽃다운 나이로 폐결핵에 걸려 세상을 떠난 것인데요. 5남매 중 둘째이자 장남이었던 코흘리개 뭉크에게는 청천벽력이었어요. 어머니의 빈자리는 뭉크의 아버지에게도 우울증으로 타격을 입혔어요. 5남매의 첫째인 뭉크의 누나 소피도 겨우 여섯 살에 불과해 어린 5남매는 당연히 정서적인 공황에 빠져들었습니다. 우울증에 따른 아버지의 신경발작 증세는 남매를 더욱 불안하게 만들곤 했는데 뭉크 나이 열네 살 되던 해, 또 다른 불행이 찾아왔어요. 한 살 위 누이가 어머니와 같은 폐결핵으로 숨을 거두고 말았죠. 예민한 사춘기 때 들이닥친 누나의 죽음은 가뜩이나 칠흑같이 어두운 뭉크의 자의식에 결정타를 날렸습니다. 유아기 때부터 시달려온 죽음에 대한 공포는 누나의 급사에다 뭉크 자신의 잦은 병치레까지 악재로 작용하면서 임계점을 넘고 말았어요. 이제, ‘죽음’이라는 단어는 뭉크의 자의식 한복판을 지배하는 일생일대의 명제가 됐습니다.


뭉크를 평생 괴롭힌 죽음에 대한 공포

뭉크는 실제로 누나가 세상을 떠난 지 8년 후인 1885년 ‘병든 아이’란 유화를 그렸는데, 죽음을 눈앞에 둔 누나의 모습을 되살린 작품이에요. 이때부터 죽음과 불안, 고독과 절망, 슬픔과 불행은 뭉크의 작품세계 전반을 꿰뚫는 예술적 영감의 원천으로 자리 잡았어요. 훗날 뭉크는 ‘병든 아이’는 자신의 예술세계의 출발점이자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슬픔을 가장 잘 드러낸 그림이라고 여러 차례 고백한 바 있습니다. 뭉크를 괴롭혀온 죽음에 대한 공포는 끈질기다 못해 잔인했어요. ‘병든 아이’를 그린 지 4년 후인 1889년 아버지가 뇌출혈로 사망했으며 오랜 세월 정신병을 앓던 여동생도 뭉크 곁을 떠나간 데 이어 남동생마저 불귀의 객이 되고 말았죠.


뭉크, 하면 떠오르는 그림 ‘절규’(1893)는 뭉크가 얼마나 공포감에 휩싸인 채 고독하고 불안한 삶 속에 놓여 있었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세기의 걸작입니다. 그림에 대한 아무런 지식과 안목이 없는 사람이라도 이 그림을 보는 순간 끝없는 공포심을 느끼게 되는 ‘공포’ 그림의 상징이에요. ‘절규’가 세상에 나온 지 1년 뒤, 뭉크는 또 하나의 유명한 그림을 선보였는데요. 바로 사춘기 소녀의 수줍음과 불안감을 강렬한 표현주의 방식으로 드라마틱하게 화면에 담은 작품 ‘사춘기’(1894~1895)입니다. 이팔청춘 사춘기 소녀의 심리적 특징을 이보다 더 시각적으로 잘 드러낸 작품은 일찍이 없었어요. ‘절규’와 마찬가지로 ‘사춘기’도 보는 순간, 태어나서 처음 겪는 신체적 변화에 어쩔 줄 몰라 하는 앳된 소녀의 이차성징이 확 와닿습니다.


죽음에 대한 공포에서 한시도 벗어날 수 없었던 뭉크는 대인관계에서도 배타적일 수밖에 없었는데요. 그에게 타인과 소통은 먼 나라 얘기였어요. 1944년 1월 23일 뭉크가 사망한 뒤 공개된 그의 집안 풍경은 충격 그 자체였습니다. 엄청난 수의 작품들이 유물처럼 쌓여 있었기 때문이죠. 1,000여 점이 넘는 유화작품과 4,400여 점의 드로잉, 700여 점의 판화작품 외에 상당량의 사진과 친필일기가 발견됐어요. 이 모든 것은 뭉크의 유언에 따라 노르웨이 오슬로시 당국에 기증됐습니다. 뭉크가 죽은 지 19년이 지난 1963년, 마침내 오슬로 뭉크미술관이 문을 열었어요.


출처: wikipedia commons, public domain
▶에드바르드 뭉크, ‘사춘기’, 캔버스에 유화, 151.5×110cm, 1894~1895, 노르웨이 오슬로 국립미술관 소장

무겁고 투박한 붓 터치로 불안감 고조

이 작품의 최초 유화 버전은 따로 있어요. 뭉크는 ‘사춘기’라는 제목의 그림을 원래 1885년에 처음 그렸습니다. 그러나 1890년 이 그림이 불에 타 없어지는 바람에 1894년에 다시 그리기 시작해 1895년에 완성한 것이죠. 그림의 내용만큼이나 이력 또한 극적인데요. 표현주의 화가인 뭉크의 화풍을 대표하는 걸작으로 꼽히는 ‘사춘기’는 소녀에서 여성으로 성장해가는 길목에서 드러나는 신체적 변화의 시작과 그에 따른 심리적인 불안감, 두려움을 가장 실감 나게 표현한 그림입니다.


이 작품이 사춘기 소녀를 모델로 한 그림 중 단연 첫손에 꼽히는 이유는 두 가지예요. 소녀의 자세 및 모습과 화면 오른편으로 길게 드리워진 커다란 검은 그림자 때문입니다. 긴 갈래머리를 한 앳된 모습의 소녀가 알몸의 부끄러움을 감추기 위해 어깨를 웅크린 채 양손을 엑스(X)자로 엇갈리게 포개 침대에 걸터앉아 있어요. 수줍음에 어쩔 줄 몰라 웅크린 어깨와 엇갈리게 포개 방어적인 자세를 나타낸 양손, 아직은 성숙하지 않은 살짝 봉긋한 가슴, 특히 오른손 아래 왼손으로 자칫 드러날지도 모를 가장 은밀한 신체 부위를 결사적으로 감추려는 듯한 결연한 의지가 초롱초롱한 눈망울에서 확연히 드러납니다.



그러나 이 그림의 백미는 소녀 뒤로 커다랗게 보이는 괴상하게 생긴 시커먼 그림자에요. 말이 그림자이지, 빛의 대비가 전혀 없이 칠흑처럼 새까맣게 칠해진 이 형체는 갑작스레 다가온 신체 변화에 놀라 앞날이 불안하고 두려운 소녀의 마음 그 자체가 아닐까요?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깜깜한 어둠 속에서는 누구나 본능적으로 불안한 법, 뭉크는 기이하게 생긴 그림자 모양의 형상으로 사춘기 소녀가 맞닥뜨린 이차성징에서 비롯된 불안하고 초조한 심리상태를 극적으로 시각화한 것이죠.


그림자가 소녀의 왼쪽 허리와 몸통, 겨드랑이와 완전 밀착된 모습이 그녀의 몸속에서 새어 나온 것처럼 보이는데, 이 또한 그림자가 소녀의 불안하고 막막한 현재를 상징하는 뭉크 특유의 표현주의식 장치라 할 수 있어요. 화면 전반을 짓누르고 있는 무겁고 투박한 느낌의 색채와 거친 붓 터치도 불안감을 고조시키는 데 안성맞춤입니다.



ⓒ박인권 문화칼럼니스트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