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남자친구의 단점, 장점보다 더 크게 보이는 이유는?

조회수 2018. 8. 10. 10:16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왜 단점만 보일까?


단점 >>> 장점


사람들은 연애 상대를 고를 때 
장점 많은 것보다는 단점이 없는 걸 
더 중요하게 여긴대요. 
(Jonason, Peter K., 2015) 

진지한 연애를 원할수록 
더 그렇고요. 

단점이 이렇게 중요하니까 
썸탈 때 제~발 조심하시라고 
“연애를 포기하게 만드는  10가지 단점”도 
강조해드렸습죠. (에헴)  
(그 사람과 절대 연애하기 싫은 
이유 10가지)

하지만 도대체 왜! 
단점이 이토록 중요한 걸까요? 

왜 우리는 상대방에게서 
100가지 장점을 찾아도 
1가지 단점에 쉽게 무너지는 걸까요?   


왠지 기분이 나빠...


부정성 효과”라는 게 있어요. 
(Negativity Effect) 

좋은 정보와 나쁜 정보를  동시에 알았을 때 
사람들이 나쁜 정보에 더 집중하는 현상인데요. 

어떤 사람을 만났을 때도 마찬가지예요. 

우리는 그 사람의 장점보다
단점을 더 빨리 발견하고 
더 중요하게 생각해요. 

  
  

사람은 원래 이기적인 동물이라서? 
아니면 삶에 찌든 나머지 
너무 현실적으로 변해서?!!! 

노노노! 
그런 단순한 이유는 아니래요. 

나쁜 점이 더 커 보이는 이유, 
과연 뭘까요?   


1. 살아남기 위한 본능이다


사냥하고 과일 따 먹던 시절부터 
우리는위험한 신호에 관심이 많았어요. 

비가 얼마나 올지, 
짐승이 다가오지는 않을지, 
늘 신경이 곤두서 있었거든요.

 
  

특히 낯선 사람을 만날 때 더 그랬죠. 
이 사람이 적인지, 
같은 편인지 구별하기 위해서 
행동 하나하나 놓치지 않았어요. 

태도가 조금 어색하고 
나에게 해가 될 것 같은 행동이다 싶으면 
거부감을 느끼고요. 

    
  

물론 시간이 많이 흘렀지만 
우리에게는 아직도 
이런 습관이 남아있습니다. 

어떤 사람을 만날 때 
당연히 그의 좋은 점보다는 
나쁜 점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거예요.   


2. 다른 나쁜 점이 떠오른다


단점은 그 사람의 
다른 나쁜 점들을 연상시켜요.
(Paul Rozin, 2001) 

예를 들어 상대방으로부터 
“제가 잠이 좀 많아요.” 라는 말을 들었다면 
이런 생각이 들 거예요. 

“게으르단 소린가?” 
“데이트할 때도 늦으면 어떡하지?” 
“회사 생활은 성실하게 잘하나?” 
“예전 남친도 자느라 연락 못 한 적 많은데.”  

 
  

 
반면 좋은 점을 발견하면 
“오! 그렇구나. 좋네!” 하고 말죠. 


  
  


나쁜 점 하나가 눈에 띄는 순간!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게 됩니다. 

우리는 그 단점이 
다른 나쁜 상황을 초래하지 않을지 
따져보고 상상해봐요. 

이렇게 더 오래, 
더 진지하게 생각하다 보니 
장점보다는 단점이 기억에 잘 남고요.


장점 어필보다 단점 가리기!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매력을 어필하려고 해요. 
“난 이런 사람이야!” 라고 자랑하면서요.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내 단점을 가리는 겁니다. 

특히 만난 지 얼마 안 된 사이에서 
단점 하나가 눈에 거슬리기 시작하면 
다른 좋은 점은 보이지도 않거든요. 

작은 단점 하나로 
나라는 사람이 판단될 수 있는 거예요.

  
  

물론 나와 완전 다른 사람인 척 
연기할 필요는 없겠죠. 

하지만 한 번쯤 내 단점이 뭔지, 
상대가 싫어하는 점이 무엇일지, 
고민해볼 필요는 있어요. 

또 심각한 단점이 있는 사람처럼 
오해받는 일이 없도록 조심해야 하겠죠! 

P.S 
그런데 딱히 밉보인 것도 없고, 
잘못한 것도 없는데
요즘 들어 그(녀)가 달라진 것 같나요? 

그럴 땐 
<카톡으로 보는 속마음>을 해보세요! 

<카톡으로 보는 속마음>은 
실제 대화형 인공지능 개발에 사용되는 
기계학습 및 자연어 처리기술로
카톡 대화의 미묘한 변화들을 찾아내 
두 사람의 속마음을 정확하게 알려준답니다.  
참고문헌
* Rozin, Paul, and Edward B. Royzman. "Negativity bias, negativity dominance, and contag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5.4 (2001): 296-320. * Jonason, Peter K., et al. "Relationship Dealbreakers Traits People Avoid in Potential Mat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41.12 (2015): 1697-1711.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