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인의 핸드폰에서 바람 핀 흔적을 발견했다면?

조회수 2017. 9. 25. 11:0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당신은 어떤 유형의 바람을 더 싫어하시나요?
남자와 여자가 다르다고 하는데요..!


너 이거 뭐야?


어느날 우연히 보게 된
애인의 핸드폰!!

또 하필 풀려있는 잠금패턴!!

“보면 안 되는데.. 안 되는데…”
하면서도 자꾸만 가는 손!!
다음 상황은
저절로 상상이 가지 않나요?(부글부글)

여러분의 애인이 누군가에게 보낸,
혹은 누군가에게 받은
은밀한 메시지를 보게 되었다면
어떤 기분일 것 같나요?




자 일단 침착하시고...


심리학자인 마이클 던 박사는
사람들이 애인의 핸드폰에서
‘바람 피운’ 메시지를 보게 되었을 때
어떻게 반응하는지 궁금했어요.
박사는 현재 연애중인
50여명의 남녀를 모아
두 개의 메시지를 보여줬습니다.

그러곤 그 메시지가
애인의 핸드폰에 남아 있었다고
상상해보라고 했죠.

#1. 육체적인 바람

“자기! 어젯밤은
내 생에 최고의 밤이었어.
정말 그렇게 뜨겁고
환상적인 밤은 다신 없을 거야.”
#2. 정신적인 바람

“우리는 소울메이트가 아닐까?
같이 잔 것도 아닌데
어떻게 이렇게 잘 통하는 느낌이지?
하루라도 빨리 보고 싶어. 얼른 와!”
사람들은 두 메시지에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요?




이거 빡치네!!


사람들의 반응은 제각기 달랐는데요.
특히 성별에 따라 크게 달라졌습니다.
먼저 남자들의 반응을 살펴 볼까요?

남자들은
#1번 육체적인 바람을 알게 되었을 때
더 큰 스트레스를 받았어요.

남자들이 육체적인 바람에
더 스트레스를 받는 이유는
오랜 진화과정에서 갖게된 특성 때문입니다.

오래전부터
남자는 배우자의 육체적인 불륜을
여자보다 훨씬 더 걱정하고
두려워하며 살아왔다고 해요.
바로 자신의 자손을
번성시키고자 하는 욕구
여자보다 훨씬 강했기 때문입니다.

배우자가 육체적 불륜을 저지르면
내 자식을 갖기는 커녕
남의 자식을 키우게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무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는 거죠.

그럼 여자들의 반응은 어땠을까요?

대다수의 여성들은
#2번 정신적인 바람을 알게 되었을 때
훨씬 더 스트레스를 받았어요.

여자들은 일단 남자들과는 달리
‘내 자식’이 ‘진짜 내 자식’이
아닐지 모른다는 걱정이 필요 없어요.
때문에 육체적 관계만큼이나
‘정신적인 사랑’이 지속되어야
가족을 떠날 일이 없다는 무의식적인 생각 때문에
정신적인 바람에 더 스트레스를 받는 거죠.




어떤 바람이든간에!


성별에 따라 반응이 이렇게 다르다니.
정말 신기한 일이죠?

하지만 이 실험의 목적은
‘더 싫어’하는 걸 찾기 위함임을 잊지 마세요!
종류를 불문하고
나를 믿고 사랑하는 사람에게
상처를 주는 일은 하지말아요.

바람을 피워 새 연애를 시작해봤자
행복할 수 없다는 조사 결과도 있으니까요!
(애인 있는 사람 꼬실 때 기억해야 할 것, 클릭!)

혹시 이 글을 읽고
내 애인, 혹은 썸 상대는
바람기가 있지 않을까 걱정되시는 분들!

그럴 땐 상대의 바람기를
직접 테스트해보세요.

연애의 과학이 준비한
<바람기 테스트>가 있거든요!

<바람기 테스트>는
여러 심리학 논문을 기반으로 만든
바람기 성향 테스트입니다.

여섯 가지 성격적 요소들을 분석
당신의 썸남썸녀, 혹은 애인이
바람기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해 드려요.

나중에 상처받지 마시고
미리 확인해보세요!
딱 3분이면 됩니다.

아래 배너를 누르면 직접 해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Dunn, Michael J., and Gemma Billett. "Jealousy Levels in Response to Infidelity-Revealing Facebook Messages Depend on Sex, Type of Message and Message Composer: Support for the Evolutionary Psychological Perspective." Evolutionary Psychological Science (2017): 1-7.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