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의원, "틱톡 인수 조사해달라..콘텐츠 검열 우려"

조회수 2019. 10. 16. 17:0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미국 공화당 마르코 루비오 상원 의원이 중국의 모바일 영상 공유 앱 '틱톡'이 2017년 다른 모바일 앱 '뮤지컬리'를 인수한 건에 대해 조사해달라고 미국 정부에 공식 요청했다.


루비오 의원은 9일(현지시간) 미 재무부 장관에게 외국인투자심의원회(CFIUS)가 국가 안보 차원에서 해당 인수 건을 심리해달라고 공식 요청했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루비오 의원은 "미국을 포함한 서구 시장을 대상으로 한 틱톡의 플랫폼이 중국 정부나 공산당 정책에 반하는 콘텐츠를 검열하고 있다는 증거가 계속 나오고 있다"라고 말했다. 또 틱톡이 천안문 광장, 홍콩, 대만과 같은 중국 정부가 민감하게 생각하는 주제에 대해 언급을 막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틱톡을 운영하는 개발사인 바이트댄스는 "틱톡 미국 버전은 현지화됐으며, 미국 법률을 준수하고 모든 사용자 데이터를 미국에 저장한다"라며 "우리 콘텐츠 및 운영 정책은 미국에 기반을 둔 현지 팀이 주도한다"면서 "중국 정부는 틱톡이 콘텐츠를 검열하도록 요청하지 않으며 관여할 권리도 없다"라고 덧붙였다. 


지난주 가디언은 틱톡 운영자 가이드라인을 입수하고 중국 관련 콘텐츠 검열방식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운영자에게 천안문 광장, 티베트 독립, 파룬궁을 지칭하는 영상을 검열하도록 지시했다. 당시 틱톡 관계자는 해당 가이드라인이 플랫폼 초기 분쟁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며 단계적으로 철회했다고 설명했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법률 전문가들은 CFIUS가 틱톡 인수 건을 심리한다면 이례적이지만, 충분히 가능한 일이라고 봤다. 미국 정부가 중국 기업에 대해 메모리칩이나 무기 같은 첨단 기술 거래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중국 기업이 민감한 개인 데이터를 다룰 경우에도 국가 안보를 이유로 조사나 규제 대상이 될 수 있다.


올해 초 미국 CFIUS는 국가 안보를 이유로 중국 모바일 게임업체 쿤룬이 개발한 성소수자 대상 데이팅 앱 '그라인더'를 매각하라고 했고, 이에 회사는 동의했다. 


그라인더는 중국 본사 엔지니어에게 수백만 명의 이용자 사진, 비디오는 물론이고 에이즈(HIV)와 같은 민감한 개인 정보까지 접근 권한을 부여했다. 당시 월스트리트저널(WSJ)는 중국 정부가 이 정보를 활용해 미국 관료나 보안 관리자를 협박하는 것으로 각종 기밀을 빼내갈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2014년에 처음 출시된 앱 '뮤지컬리'는 바이트댄스가 2016년에 내놓은 '틱톡'과 비슷했다. 사용자가 특수효과 필터를 이용해 노래를 배경으로 춤추는 짧은 영상을 만들어 공유할 수 있다. 바이트 댄스 인수 후에는 글로벌 버전 '틱톡'으로 흡수됐고, 바이트댄스는 중국판 틱톡인 '더우인'과 글로벌 버전을 따로 운영하고 있다.


바이트댄스는 중국에서 가장 빨리 성장한 유니콘 기업이다. 뉴스 앱 '진르터우탸오'와 함께 '틱톡'을 운영하고 있다. 기업가치가 미화 780억달러(한화 92조 6000억원)에 이른다. 틱톡은 미국 내 개인정보 유출 및 콘텐츠 검열 우려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유튜브, 인스타그램에 이어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앱을 차지했다. 특히 청소년과 젊은 층 사이에 폭발적 인기를 누리고 있다.

장이밍 바이트댄스 창립자, 사진: 바이트댄스 웹사이트

외신들은 이번 사건이 미국과 중국의 문제가 기업으로 옮겨가는 최근 경향을 반영했다고 보고 있다.


얼마 전 미국 프로농구(NBA) 휴스턴의 대릴 모레이 단장은 홍콩 시위를 지지하는 글을 올렸다가 중국으로부터 거센 비난을 받았다. NBA 측은 처음에는 "중국의 역사와 문화를 깊이 존중한다"라는 입장을 밝히며 한발 물러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애덤 실버 NBA 총재가 표현의 자유라고 두둔하며 사태는 확산됐다. 


CNBC에 따르면 NBA차이나 웹사이트에 공식 파트너로 등록된 13개 중국 기업 중 11개가 리그 후원을 중단하거나 완전히 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액티비전 블리자드와 애플도 홍콩 시위 이슈에 휘말려 잇달아 홍역을 치르고 있다. 


미국 정부는 앞서 8일 중국이 신장 지역에서 위구르족 등 이슬람 소수민족에 대한 억압에 관여한 중국 관리에 비자 발급 제한 조치를 했다고 밝혔다. 제재 대상에는 감시카메라 제조업체 하이크비전, 센스타임과 알리바바의 지원을 받는 메그비 테크놀로지, 아이플라이텍(IFLYTEK), 이씬(Yixin) 과학기술 등 중국의 대표적 얼굴인식·인공지능 업체도 포함됐다.


테크플러스 에디터 김명희 

tech-plus@naver.com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