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동력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조회수 2019. 8. 4. 07:30 수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By 이웃집과학자
평범한 인간 그리고 초능력

TV를 볼 때 멀리 있는 리모컨을 움직이지 않고 가져올 수 있다면 편리할 겁니다. 허무맹랑한 이야기로 들릴 수 있지만 실제로 연구가 진행 중인 분야입니다. 이렇게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도 물체를 조종할 수 있는 힘을 ‘염동력(Telekinesis)’ 또는 ‘염력’이라고 합니다. 상식적인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는 힘이니 초능력이라고 할 수 있죠.

염동력을 포함한 순간 이동과 초능력에 대한 연구가 있었습니다. 미 공군은 2004년 천체 물리학 박사 에릭 W. 데이비스에게 의뢰해 "순간 이동 물리학 연구(Teleportation Physics Study)”를 발표했습니다.

염동력 군 부대 창설?

미군이 염동력에 관심을 가진 이유는 전쟁 때문입니다. 프린스턴 공대의 명예 학장인 로버트 얀은 1980년대에 미 해군 연구소에서 열린 회의에서 "적군이 염동력을 악용한다면 미군의 항공기는 통제 불능 상태에서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군은 실제 냉전시대 소련에 대항하기 위해 '스타게이트 프로젝트(Stargate Project)'라는 이름의 부대를 운용했습니다. 이 부대는 적의 주요 시설이나 목표물을 초능력을 이용해 원거리에서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했다고 합니다. CIA에 따르면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1995년까지 존재했으며 실효성이 없다는 판단에 의해 해체되었다고 합니다.

물체를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는 힘과 그것을 증폭 시킬 수 있는 장치만 있다면, 전문가의 말처럼 전쟁을 좌지우지 할 수 있을 겁니다. 미국의 과학자인 토마스 히에로니무스가 발명한 ‘히에로니무스 머신’이 염동력을 증폭 시키는 기계라는 주장이 있지만, 특허는 방사능을 검출하는 기계로 냈다고 합니다.

증명불가

염동력에 대한 군사적 접근은 성과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일반인들은 여전히 염동력에 관심이 많습니다. 날아가는 전투기를 제어하는 수준은 아니더라도, 물체를 손대지 않고 움직이거나 공중에 띄워보려는 시도는 계속되어 왔습니다.

초자연적인 현상의 원인을 찾고 재현하려는 오컬트 커뮤니티 같은 곳에서는 염동력 영상이 꾸준히 올라옵니다. 유튜브에 염동력을 뜻하는 ‘Telekinesis’만 검색해봐도 외국의 많은 사례들을 찾아볼 수 있죠.

하지만 이런 영상들은 진위를 판단하기가 힘듭니다. 유리겔라처럼 모두 초능력자를 자칭하지만 결국 강력한 자석이나 바람을 이용한 눈속임으로 밝혀집니다. 대부분의 영상이 가르쳐주는 방법은 따라하면 실패하기 마련이고, 그 원인은 영상이 아니라 실패한 사람에게 있다는 식입니다.

과학이 바라보는 초능력

초능력이 아니라면 물체를 스스로 움직이게 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과학적 원리를 이용해 그렇게 보이게 할 수는 있겠죠.

과학이 염동력을 설명하는 방법은 뇌파입니다. 뇌에서 발생한 생체 전기 신호를 이용해 물체를 조종하는 방법이죠. 하지만 염동력이 움직이는 물체에는 동력이 필요 없는 반면, 과학의 경우 뇌파는 신호일 뿐 물체의 동력이 필요하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실제 포르투갈 연구진이 뇌파를 이용해 드론을 조종하는 실험에 성공했습니다. 드론을 만든 업체인 테케버(Tekever)는 CNN과 인터뷰에서 기술이개발 중에 있지만 핸들을 잡지 못하는 장애인들이 드론을 조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물리학 법칙은 아직 염동력을 완전히 증명하거나 재현할 수 없습니다. 염동력의 존재를 확신하는 사람들은 물리학의 한계를 지적하며 새로운 분야의 과학을 기다립니다. 반대로 염동력을 믿지 않는 측은 지금의 염동력은 과학으로 설명할 수 없기에 속임수에 불과한 현상이라고 비판합니다.

어쨌든 신기하다

사람들이 염동력을 비롯한 초자연적인 현상에 관심이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과학이 아직 모든 현상을 설명할 수 없어서 일지도 모릅니다. 게다가 염동력은 매체에서 연출하기도 쉽고 시각적인 인상도 강하게 남는 편입니다. 명작 영화인 <스타워즈>에서도 염동력은 ‘포스’의 한 모습으로 등장하죠. 영국의 SF 거장 아서 클라크는 "고도로 발달한 과학은 마법과 다름없다"고 말했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마법은 고도로 발달한 과학 이라는 말도 성립하지 않을까요. 지금은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인 염동력이 언젠가 과학기술로 실현되는 날이 올지도 모릅니다. 그때까지 포스가 여러분과 함께 하길 바랍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