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초거대망원경에 새똥 떨어지면

조회수 2018. 12. 5. 13:10 수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By 이웃집과학자

한국이 참여하는 거대마젤란망원경 프로젝트! GMT의 정교한 주거울이 만들어지고 이동하는 과정은 다음 링크에서 잠깐 확인하고 가시죠.

[GMT특집] 거대 반사경, 어떻게 만들고 옮길까?

이렇게 정교하게 제작한 주거울인데, 관측 시에는 그대로 주변 환경에 노출됩니다. 먼지도 앉고, 습기도 끼죠. 하다못해 지나가던 새가 쾌변하는 관계로 주거울 위에 새똥이 떨어질 수도 있겠죠? 그런데 정말 그러면 어떡해야 할까요?


떨어지는 새똥, 넋놓고 볼 수밖에 없나!
방법은 있다

<이웃집과학자>는 GMT 참여 한국측 대표인 한국천문연 박병곤 대형망원경사업단장에게 거울이 외부에 노출돼 있는데 리스크는 없는지 물어봤습니다. "새가 날아가다가 변을 보면 어떻게 될까요"라고도 물어봤는데요. 박병곤 단장은 "뭐 새똥도 앉을 수 있고 그런 거죠. 어쩔 수 없는 거죠"라며 "(대신) 날아가다 새똥 떨어지면 절대로 그걸 인위적으로 제거하려 하면 안 됩니다"라고 답했습니다.

출처: 사진: 홍정기
설명 중인 박병곤 단장.

망원경을 닦는 특별한 관리 방법이 있는 걸까요? GMT는 관리가 필요한 시점까지 한참 남았습니다만, 보통의 천체망원경 관리를 어떻게 하는지 설명을 들을 수 있었는데요. 바로 '반사코팅을 녹이고 다시 코팅'하는 방법입니다.


아래 영상은 칠레에서 이미 운영 중인 망원경인 초거대망원경 'VLT(Very Large Telescope)' 주거울의 반사코팅을 녹이고 다시 코팅하는 과정입니다.

박병곤 단장은 "유리는 투명하니까 빛을 바로 반사하지 못해요. 그 위에 은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코팅하죠. 그러면 깨끗한 반사면이 됩니다. 근데 여기 먼지가 앉고 습기가 차고 지저분해지잖아요. 안경 유리도 먼지 앉은 걸 그냥 닦아내면 면이 손상됩니다. 먼지라는 놈이 다이아몬드만큼 단단해요"라고 말했습니다. 

망원경에서는 은이나 알루미늄 반사 코팅만 벗겨지면 관계없습니다. 알루미늄을 녹여내고 다시 코팅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유리는 손상을 입는데요. 박 단장은 "1~2년 정도 사용하면 먼지가 앉을텐데 그러면 반사 코팅을 싹 다 녹여내고 다시 코팅을 합니다"라며 실질적인 해결 방법을 귀띔했습니다.


출처: 유튜브/SpaceRip
아주 순도 높은 물과 화학물질로 코팅을 녹입니다.

영상에서는 씻어내기 전 거울에 손을 대긴 합니다만, 쉽게 씻겨나가지 않을 덩어리들을 유리에 흠집내지 않으면서 아주 조심스럽게 제거하는 장면이라고 강조합니다. 아주 침착하고 노련한 손놀림이 핵심이라고 해요. 새똥이 떨어진다면 이 과정을 거쳐야 할지도 모르겠네요.


출처: 유튜브/SpaceRip
조심조심!

그 후 코팅이 지워진 유리를 진공챔버로 옮기고, 진공상태에서 알루미늄을 '스퍼터링'해서 코팅한다고 합니다.


수시 관리법은 없을까요?

이렇게 정기적으로 다시 코팅한다 해도, 그 사이에 먼지나 습기, 이물질을 방치하면 반사율이 점점 떨어져요. 즉, 조금씩이나마 어둡고 흐려진다는 뜻입니다. 박병곤 단장은 이런 경우 이산화탄소를 이용한다고 말했습니다.


"평소에는 이산화탄소, 그러니까 드라이아이스를 액체로 만들어 이용합니다. 액체 드라이아이스는 하얀 거품처럼 생겼는데, 먼지 같은 이물질을 잘 빨아들여요. 액체 드라이아이스 거품을 유리 위에다 확 뿌리면 먼지를 끌어안고 다 날아가요. 그런 식으로 세척합니다"


출처: 유튜브/ Atsushi Shimono
하와이에 있는 스바루망원경 주거울(구경8.2m)의 CO2세척과정


참고로 거울을 쓰지 않을 때, 즉 망원경을 가동하지 않을 때를 위한 커버도 있어요. 다음 영상은 거울 커버 모형이에요.


출처: 유튜브/giant magellan telescope
GMT거울 커버 모형(10배속)

이제까지 GMT의 관리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위와 같은 관리 기간을 제외하면 GMT를 운영할 수 있는 시간은 일년에 약 300일 정도 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300일 중 GMT를 얼마나 이용할 수 있을까요. 아참! GMT 제작에 우리나라의 기술도 들어간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다음 화에선 GMT와 대한민국에 대해 소개해드릴게요!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