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가장 늘씬한 다이아몬드 탄생?!

조회수 2020. 3. 31. 17:54 수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By 이웃집과학자
출처: Pixabay
다이아몬드, 다이어트 성공하다.

세상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가 등장했습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이자 UNIST 자연과학부 특훈교수 로드니 루오프 단장 연구팀은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 공동으로 간단한 공정만으로 그래핀을 다이아몬드 박막으로 변신시키는 데 성공했습니다. 해당 연구 논문은 <Nature Nanotechnology>에 게재됐습니다.

다이아몬드, 그래핀, 그리고 다이아메인?!
출처: pixabay
탄소로 이뤄진 다이아몬드.

그래핀과 다이아몬드는 모두 탄소(C) 원자로만 이뤄져 있습니다. 하지만 원자의 결합형태가 다릅니다. 그래핀은 탄소 원자가 주변 탄소 원자 3개와 결합(sp2 결합)해 육각형 벌집 모양을 이룬 평면 소재입니다. 반면 다이아몬드는 중심의 탄소 원자 1개가 주변 4개의 탄소 원자와 결합(sp3 결합)해 만든 정사면체가 상하좌우로 끊임없이 반복되는 구조죠.


이러한 결합 차이로 인해 두 물질은 서로 다른 물성을 갖습니다. 그래핀은 강도가 높고, 열과 전기를 잘 전달합니다. 또한 2차원 물질이기 때문에 자유자재로 휘어집니다. 다이아몬드는 뛰어난 열전도성과 기계적 강도를 가졌습니다. 하지만 전기가 통하지도 않고 쉽게 휘어지지 않죠. 다이아몬드를 2차원 평면 형태로 제작할 경우 다이아몬드의 우수한 물성을 반도체 소자를 비롯한 전기, 기계,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그래핀의 결합구조에 변화를 줘 그래핀처럼 얇은 초박막 다이아몬드 즉, '다이아메인(Diamane)'을 합성하려는 연구가 등장했습니다. 하지만 아직 상용화에 이르지는 못했는데요. 결합구조를 변화시키는 과정에 매우 높은 압력이 필요해 제조비용이 비쌉니다. 뿐만 아니라 압력이 낮아지면 다시 그래핀으로 돌아가는 등 안정성을 유지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화학적 처리만으로 '다이아메인' 만들다
출처: 기초과학연구원
연구진이 개발한 초박형 다이아몬드(F-다이아메인)의 구조.

연구진은 2개의 그래핀이 쌓인 구조의 이중층 그래핀으로 대기압에서도 안정적인 다이아메인을 세계 최초로 합성했습니다. 연구진이 개발한 공정은 상온‧저압 조건에서 화학적 처리만을 거쳐 다이아메인을 합성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고압이 필요하던 기존 기술 대비 제조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공동 교신저자이자 제1저자인 파벨 바카레브 연구위원은 "다층 그래핀을 다이아메인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연구가 많이 보고됐지만 제조과정이 복잡하거나 구조에 결함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며 "우리 연구진은 불소를 주입하는 과정(불소화 과정)을 통해 간단히 그래핀의 탄소결합(sp2)을 다이아몬드와 같은 결합(sp3)형태로 바꿨고 결함 역시 최소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출처: 기초과학연구원
구리니켈 기판 위 이중층 그래핀(왼쪽)과 F-다이아메인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이미지.

우선 연구진은 화학기상증착법(CVD)을 이용해 구리니켈(CuNi) 합금 기판 위에서 이중층 그래핀을 제작했습니다. 그 다음 불소 기체를 주입했죠. 주입된 불소는 그래핀과 화학반응을 일으키며 두 층간에서 탄소결합이 생기도록 유도합니다. 그 결과 주변 3개의 원자와 결합하던 탄소는 4개의 주변 원자와 결합하게 됩니다. 최종적으로는 필름 형태의 다이아몬드가 만들어지죠. 불소(F)화 과정을 통해 합성했다는 의미에서 연구진은 이 초박형 다이아몬드를 'F-다이아메인'이라 명명했습니다. 연구진이 합성한 F-다이아메인의 두께는 0.5nm라고 합니다.


출처: 기초과학연구원
이번 연구를 이끈 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연구진의 모습.

로드니 루오프 단장은 "유사 다이아몬드 구조체 합성을 통해 다이아몬드의 우수한 물성을 다양한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길을 연 것"이라며 "향후 전기적·기계적 특성까지 조절 가능한 대면적 단결정 다이아몬드 필름을 구현하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