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단문'을 써야 하냐고? 한국말의 구조 때문이다

조회수 2020. 10. 21. 09:0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한국말이 길어지면 주어와 동사의 간극이 벌어져 헷갈리게 된다.

1.

글쓰기 조언하는 글에 종종 등장하는 말이 ‘짧게 써라’이다. 어떤 사람들은 이 말을 굉장히 경멸한다. 두 입장 모두 이해가 가는데… 진짜 문제는 조언 내용보다는 조언을 하는 이유이다.


짧든 길든 글쓰기 조언들을 읽어보면 대부분 ‘자기 습관과 선호’에 그 이유가 있는 듯싶다. 이런 게 이유라면 결국 “각자 알아서 네 맘대로 써라”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결론부터 말하면 한국말을 글로 쓸 때는 짧게 쓰는 게 좋다. 한국말의 구조 때문이다. 영어 문장은 주어 바로 다음에 동사가 나오기에 주어와 동사의 간극이 짧다. 그래서 그 사람이 말하는 바를 바로 알 수 있다. 동사와 목적어 뒤에 나오는 말은 다소 부수적인 경우가 많기에 사람들은 앞에서 대강 말하는 사람의 의도를 알 수 있다.


한국말은 동사에 해당하는 말이 주어 바로 뒤가 아닌 문장 맨 뒤에 나온다. 그래서 말이 길어지면 주어와 동사의 간극이 벌어져 말하고자 하는 주제와 그것의 풀이가 헷갈리게 된다. 


그래서 한국말을 쉽게 하려면 중간에 주어를 설명하는 동사를 적절하게 넣어줘야 한다. 의도적으로 주어와 동사의 간극을 좁히는 것이다. 그래서 한국말은 짧게 쓰면 좋다.


2.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국말과 영어는 문장의 구조가 너무 달라서 영어의 문법처럼 ‘주어’ ‘동사’라고 말하기 어렵다. 그래서 최봉영 선생님은 주어는 ‘곧이말’ 동사는 ‘지님말’ 혹은 ‘마침말’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지으셨다.


‘곧이말’은 대개 말의 처음에 나오고, 그 뒤에 ‘곧이말’을 맞이하는 ‘맞이말’이 나온다. 그리고 맨 뒤에 ‘곧이말’과 ‘맞이말’을 함께 풀어주는 ‘마침말’이 나온다. 


그래서 한국말은 ‘곧이말’과 ‘맞이말’이 길어질수록 ‘마침말’의 등장이 늦어져 주술관계의 연결이 깨지게 된다. 읽는 독자 또한 내용 전개를 놓치고 말하는 의도를 이해하지 못하게 된다.

최봉영 교수. 前 한국항공대 교수. ‘우리말로 학문하기 모임’ 회장을 역임했다.

오히려 영어는 주어와 동사가 일찍 등장하기에 문장이 길어져도 상관없지만, 한국말은 그 구조적 특징상 문장이 길어지려면 상당한 공을 들여야 한다. 


문장이 길던 짧던 한국말을 잘 구사하는 사람들은 대개 동사에 해당되는 ‘마침말’을 말 중간중간에 잘 섞는다. 그래서 문장이 길어져도 독자는 내용을 놓치지 않고, 이해도 쉽게 된다. 그러나 이런 방식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문장을 길게 쓰기 어렵다.


3.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