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이유 없이 싫은 것에는 상처가 묻어 있다

조회수 2020. 10. 16. 15:0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아들을 사랑하게 되면, 아들을 편애했던 어른들처럼 될까 봐
혹시 검사 결과가 바뀔 수도 있나요?

산부인과 선생님이 “아들인 것 같네요”라고 말했을 때, 당황해서 결과가 바뀔 수도 있냐는 말부터 내뱉었던 것 같다. 그는 대답 대신 웃었다.

아무래도 요즘은 다들 딸을 더 선호하시지요.

집으로 돌아와 성별반전, 이라고 치고 검색을 누른 다음 맘카페에 올라온 글들을 읽으며 희망을 가졌다. 한 달 뒤 다시 병원에 갔을 때 선생님은 초음파 속 아이의 다리 사이를 가리켰다. 아…. 이쯤 되니 내 눈에도 보였다. 딸이라기엔 무언가 많이 튀어나왔구나.


곧 아들을 낳게 될 거라는 현실을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아들맘이 되는 건 상상해 본 적 없다. 아이를 낳으면 조건 없이 사랑할 거라고 말해왔는데 그동안 내가 상상한 아이의 모습은 언제나 딸이었다.


어릴 때 어른들이 말했었다. 여자 팔자가 세면 집에 딸이 많다고. 엄마는 자기가 호랑이띠고 기가 세기 때문에 쓸데없는 딸을 자꾸 낳았다고 투정하곤 했다. 기 세다는 말이라면 어딜 가서도 적게 들은 편은 아니니까 나 또한 딸을 낳겠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게다가 나도 엄마와 같은 호랑이띠니까. 그렇다면 내 팔자엔 아들이 없겠군.


딸을 낳으면 하고 싶은 게 많았었다. 치렁치렁한 머리를 빗어주고 땋아주고 싶었다. 바비인형을 사주고 인형 놀이를 하고 싶었다. 레이스 치마를 입히고 새하얀 옷도, 꽃무늬 옷도 입혀주리라. 


색깔별로 메리제인 에나멜 구두를 구비해서 공주처럼 꾸며주고 싶었다. 아이가 크면 조잘조잘 하루에 있었던 일을 끊임없이 대화하고 싶었다. 함께 여행도 가고 쇼핑도 하면서 친구처럼 지내고 싶었다. 젠더 의식 없는 생각이라는 걸 알면서도 그랬다.


로망이 깨지고 난 뒤에는 실망을 수습하는 데 시간을 써야 했다. 걱정과 당혹감에 자꾸 찔려서 멈춰섰다. 곧 태어날 아이에게 이 감정이 전달될까 봐 두려웠다. 이렇게까지 속상해하는 것에 죄책감이 들었다. 이런 기분으로 아이를 만날 수는 없다. 


잠깐만, 내가 지금 왜 이렇게까지 실망하는 거지?

살면서 종종 그런 때가 찾아왔다. 비이성적으로 부정적인 심정이 커져서 그런 내 마음에 스스로 놀라는 때가. 나에게 피해를 준 사람이나 상황이 아님에도 지나치게 불쾌해서 감정이 흔들리는 때가. 그때 가만히 들여다보면 인정하고 싶지 않았던 진짜 이유가 툭 튀어나오곤 했다.


우선 딸을 원한 이유부터 생각해 보았다. 그동안 그렸던 딸의 모습은 핑크색과 레이스로 점철된 공주님이었는데, 그건 유년 시절에 간절했던 내 모습이었다. 친구들이 바비인형을 가지고 노는 걸 보며 한번 만져보자는 말도 못 하고 부러워하던 시절이 있었다. 나는 실용적인 짧은 머리, 물려받은 회색 옷에 질려있었다.


훗날 책에서 『빨간 머리 앤』이 자기도 소매가 부푼 화려한 옷을 입고 싶다는 말을 하는 걸 보고 공감하다 못해 마음이 저릿했던 것도 그래서였다. 겪지 못한 유년을 딸에게 주고 싶다는 생각에 머물러 있었다. 잊었는데, 결국 딸을 통해 감정 이입하며 결핍을 해소하고 싶었던 거다. 딸은 나의 대리자가 아님에도 유치하게.


딸을 원했던 진짜 원인을 인정하고 나니 아들에 대한 과도한 거부감의 이유도 드러났다. 나는 1980년대 경상도 특유의 남아선호사상이 깊은 문화에서 자랐기에 아들만 최고로 치고 성차별을 당연하게 여기는 이들에 둘러싸여 있었다. 그런 모습이 지겨워서 절대 저렇게 되지 말자고 다짐했었다.


그런데 내가 아들을 사랑하게 되면, 아들만 편애하는 이들과 같은 부류처럼 보일까 봐 두려웠다. 딸을 귀하게 키우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이것 보라고, 나는 당신들과 다르다고 외치고 싶었던 것도 같다.

특별한 이유 없이 무언가를 두려워하거나 미워했던 적은 또 있었다. 나는 한때 티브이가 싫었고 그걸 많이 보는 사람조차 싫어했다. 특히 보는 사람이 없는데 티브이가 켜져 있으면 머리가 아팠다. 고향에서 떠나와 혼자 살게 된 후에야 알았다. 그 불편함이 어디서 비롯되었는지를.


내가 진짜 싫어했던 건 티브이가 아니라 항상 티브이 소리가 들리던 집이었다. 거실에 누우면 쿰쿰하게 신발 냄새가 풍기던 좁은 집. 한쪽 벽은 티브이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그때 부모님의 유일한 여가는 티브이를 보는 것이었다. 아빠는 집에 들어오면 리모컨부터 찾았고 잘 때도 티브이 소리를 들어야 안심했다.


그게 서글프면서도 당장은 외면하고만 싶었다. 시험 기간이 아니어도 주황색 스펀지 재질의 귀마개를 하고 지냈다. 조용한 자취방에서 그때 기억을 떠올리며 문득 깨달았다. 내가 진짜 멀어지고 싶었던 건 티브이가 아니라 집이었구나.


연예인 K 때문에 한동안 괴로운 적도 있었다. 육중한 체구에 사투리를 강하게 쓰는 연예인. 그가 한때 도사라는 콘셉트로 게스트를 불러 질문을 하는 코너를 진행한 적이 있었다. 책상을 탁 치거나 게스트 앞으로 얼굴을 들이밀며 압박감을 주는 걸 보았는데 마치 내가 봉변을 당한 것처럼 심장이 쿵쾅거렸다. 어디선가 풍기는 악취를 훅 맡은 것처럼 움찔했다. 이후 그 연예인이 나오는 프로그램은 보지 않고 듣지 않으려 애써야 했다.


훗날 심리학 공부를 하고서야 그와 화해할 수 있었다. 어린 시절 나를 괴롭혔던 권위적이고 가부장적인 어른들을 떠올리게 해서 그토록 힘들었던 걸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신기하게도, 그 사실을 깨달은 후로는 더 이상 그를 보아도 아무런 기분의 변화가 없었다.

나에게 부당하게 미움받은 사람들은 그 시기 내가 가장 벗어나고 싶었던 콤플렉스와 연관되어 있었다. 돌이켜보면 미워했던 사람의 리스트와 시기마다의 강렬한 결핍이 일치했다.


한때는 부유한 부모 덕에 진학과 취업에서 치트키를 쓰는 것 같은 사람들을 경멸하는 데 에너지를 썼다. 그의 사정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면서. 직장에 다닐 땐 자기가 얼마나 회사에서 중요한지와 열심인지를 강하게 어필하는 사람을 보면 분노가 치밀었다. 그 이유 또한 지나고 나서 알았다. 나도 사실은 그렇게 티를 내고 인정받고 싶었다는 걸.


콤플렉스와 트라우마 때문에 망가지기는 너무 쉽다. 유년의 상처는 깊이 숨겨져 있다가 멀쩡해 보이는 어른이 된 후에도 한 번씩 튀어나와 놀라게 한다. 


그러나 불필요하게 다른 이를 미워하지 않을 수 있으면 자기 자신을 미워하는 일도 덜 할 수 있다. 자신도 납득하기 힘든 부정적 감정이 찾아올 때, 멈춰서 원인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근원을 알아차리는 연습을 하다 보면 엉뚱한 이에게 총구를 들이대는 일을 줄일 수 있으니까. 


그러다 보면 상처받은 나와 억울하게도 미움을 받는 타인이 드러나며, 그 과정을 객관화할 수 있으면 상처에서 벗어나는 길에 가까워진다. 헤르만 헤세는 미워하는 대상은 사실 나의 일부를 비추는 거라 말했다.


만일 당신이 누군가를 미워한다면, 당신은 그 사람 안에서 당신의 일부인 그 어떤 점을 발견하고 미워하는 것이다. 우리 자신의 일부가 아닌 것은 아무것도 우리를 괴롭힐 수 없다.


덧. 2019년에 아이를 낳았고, 걱정한 것이 무색하게 지금은 그냥 흔한 아들 바보가 되었습니다


원문: 정문정의 브런치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