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미라는 백인 아재 디너쇼

조회수 2018. 2. 7. 10:18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백인이 아닌 음악인은 그래미에서 정말 "DAMN"일 수밖에 없다?

브루노 마스의 수상 논란


힙합은 제가 좋아하는 장르가 아닙니다. 하물며 켄드릭 라마 같은 스타일은 더더욱 말입니다. 그런 제가 그래미 수상 결과를 보고 화가 났다는 건 그래미가 해도 해도 너무한다는 거겠죠. 


올해 그래미는 ‘대상’ 격인 3개의 상 (올해의 레코드, 올해의 노래, 올해의 앨범)을 모두 한 명에게 몰아주었습니다. 브루노 마스(Bruno Mars)가 그 주인공이었는데요.

출처: 빌보드

이 결과는 결국 논쟁을 불러왔습니다. 보탤 말도 뺄 말도 없이 그래미는 음악 시상식입니다. 한국의 방송사 가요대상과 달리 오직 음악성만을 본다는 신화 같은 얘기도 있고요.


브루노 마스의 이번 앨범은 상업적으론 성공을 거두었으나, 음악적으로 압도적인 성취를 보여주진 못했습니다. 평단의 반응이 물론 음악성을 평가하는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지만 말입니다.


반면 같은 부문에 후보로 오른 앨범과 노래 중에는 평단은 물론 대중으로부터 압도적인 찬사를 받은 작품들이 많았습니다. 로드(Lorde)의 ‘Melodrama’라던가, 절대 빼놓을 수 없는 켄드릭 라마(Kendrick Lamar)의 ‘DAMN.’ 같은 작품들이 있었죠.

출처: 벅스


레모네이드


이 수상 결과가 이렇게 논란을 불러일으킨 것은, 까놓고 말해 바로 그 켄드릭 라마 때문일 겁니다. 그래미의 적폐(…) 중 하나인 흑인 차별, 흑인음악 차별이 또다시 불거진 것이죠. 이 문제는 지난 몇 년간 특히 심각했습니다.


2016년, 켄드릭 라마의 역대급 명반 ‘To Pimp A Butterfly’가 테일러 스위프트의 ‘1989’에 밀려 물을 먹었었습니다. 테일러 스위프트의 앨범이 별로라는 건 아닙니다. 괜찮은 팝 음악이죠. 다만 이게 그해 최고의 앨범인가, 심지어 켄드릭 라마를 제칠 정도인가 하면 고개를 갸웃하게 되는 것이죠.


2017년에는 또 한 장의 명반이 출시됩니다. 비욘세의 ‘Lemonade’. 흑인과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강렬한 메시지와 음악 속에 녹여냈고, 평단의 압도적인 박수갈채를 받았죠. 거의 모든 사람들이 그해 최고의 대중음악 앨범이라 믿어 의심치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래미는 아델에게 상을 주었습니다. 그것도 잔뜩 몰아주었죠.


아델의 앨범도 나쁜 앨범은 아닙니다. 하지만 비욘세의 것만큼 압도적이진 않았습니다. ‘올해의 앨범’을 수상하러 나온 아델도 “내게 있어 최고의 앨범은 비욘세의 레모네이드”라며 레모네이드의 음악적 성취, 사회적 메시지를 상찬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습니다. 아델의 성숙한 태도는 팬들을 감동시켰지만, 그래미는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한 비판을 받았죠.


 

그래미는 정말 진보적인가


그 연장 선상에서 보면 왜 그래미가 이렇게 비난받는지 납득이 됩니다. 한 번은 참습니다. 두 번은 화를 내죠. 세 번은, “해도 해도 너무한다”고 생각하게 되기 마련입니다. 물론 브루노 마스도 소수인종입니다. 그래미는 “이걸 보라, 우리는 소수 인종을 차별하지 않는다”고 자화자찬할는지도 모르죠.


그러나 사회적 문제에서 눈을 돌리지 않는, 사회적 메시지를 뚜렷하게 담은 흑인 음악들이 하나같이 물을 먹는 것을 보고 있노라면, 아무래도 납득이 되질 않습니다. 그간 그래미 주요 부문에서 수상한 소수 인종 음악인들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장르는 여전히 팝 등 ‘말랑말랑한’ 쪽에 치중되어 있습니다.


너무 비판적으로만 보는 건 잔혹한 처사라고 생각될지도 모릅니다. 그래미는 문화예술인들의 축제답게 사회적 진보와 다양성을 포용합니다. 그들은 이미 수년 전에 맥클모어 앤 라이언 루이스에게 신인상을 주기도 했습니다.


그들의 대표곡 중 하나인 “Same Love”는 성 정체성과 성적 지향을 막론하고 누구나 똑같은 사랑을 하고 있다는 내용입니다. 이 노래를 배경으로 그래미는 이성/동성 커플을 모아 합동결혼식 퍼포먼스를 연출하기도 했고요.

하지만 그마저도 말랑말랑한, 어쨌든 지금의 질서를 깨지 않는 선상에서의 포용에 불과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어쨌든 백인 남성 위주의 취향이 중심을 지키는 가운데, 여성도, 동성애자도, 소수 인종도 그 옆에 ‘있을 수는 있다’라는 정도로 들릴 뿐입니다.


소수자의 목소리는 다수가 허락한 가운데에서만 있을 수 있습니다. 성 정체성, 인종적 정체성, 음악적 정체성을 두드러지게 드러내면 어딘가 불편함을 느끼는 거고요.


비욘세가 “Single Lady”를 부르는 건 괜찮지만 “Formation”은 안 되는 이유. “Same Love”는 신인상을 받지만 “To Pimp A Butterfly”와 “XXX”는 테일러 스위프트에게 물을 먹는 이유.


물론 그래미의 뒤에 흑인음악을 물 먹이려는 어둠의 결사대(?) 같은 게 있는 건 아닙니다. 그래미는 대중 음악계의 기획자, PD, DJ 등 현업 종사자들이 모인 NARAS에서 투표로 수상자를 선정하므로, 사실 과정 자체는 매우 공정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결과가 정의롭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인데요. 음악계 전반의, 나아가 사회 전반의 차별 의식이 그대로 수상 결과로 반영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마치 가장 공정한 민주주의적 투표로 박근혜나 트럼프가 뽑히는 것처럼 말입니다.


결국, 그래미가 변화하려면 결국 우리 모두가 변하는 수밖에 없다는, 참 재미없고도 뻔한 결론이 나오게 됩니다. 물론 그래미같이 권위 있는 시상식엔 변화를 이끌 의무도 있는 법이고, 우리는 그래미를 계속 비판해야 하겠지만요.

 


여담


한편 이날 대상 3관왕의 영예를 안은 브루노 마스는 “오늘 밤엔 발라드가 너무 많네요”란 수상 소감으로 물의를 일으켰습니다.


이날 발라드 음악이 많았던 것은 사실입니다. 레이디 가가는 “Million Reasons”를 불렀고, 핑크는 “Wild Hearts Can’t Be Broken”을, 케샤는 “Praying”을 불렀죠. 이 음악인들과 음악은 성폭력의 피해자였던, 그리고 이제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여성들에게 용기를 주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심지어 그날은 라스베가스 총기 난사 사고를 추모하는 공연도 있었습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자기 노래가 신난다는 점을 어필하려고 “오늘 밤엔 발라드가 너무 많네요”라니, 뭐 이런 눈치 없는 말을 하는지 모를 일입니다.


한편 이날 그래미에선 재미있는 모습이 연출되기도 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의 부적절한 언행을 적나라하게 묘사하여 화제가 된 책 ‘파이어 앤 퓨리(Fire and Fury)’를 여러 스타들이 낭독한 건데요. 이들이 이 책의 오디오북 오디션을 본다는 설정으로 만든 영상이었죠. 당연히 트럼프를 비판하고 조롱하는 내용이었고요.


이 오디션(?)의 마지막에는 아마 이들 스타 이상으로 미국인들에게 익숙한 목소리가 등장합니다. 얼굴을 가리고 등장한 이 단정한 정장 차림의 여성의 정체가 드러나는 순간 장내엔 여느 때 못지않은 환호가 울려 퍼졌습니다. 그 정체는 아래 영상으로 직접 확인하세요.

원문: YEINZ.NET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