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 본문
우리 정치사에 ‘바보’라는 별명을 가진 정치인이 있었습니다. ‘바보 노무현’입니다. 안 될 줄 뻔히 알면서도 포기하지 않고 덤벼들었던 정치인, 불의에 굴하지 않고 소신껏 자기 갈 길을 가던 정치인.
‘바보 노무현’이 정치를 하게 된 과정을 여러 증언을 통해서 알아봅니다.
정치인 노무현입니다
현재 부산·경남은 보수당 지지 지역이지만,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정부에 쓴소리를 하는 야권지역이었습니다. 이 정치 구도가 보수화된 것은 김영삼 전 대통령이 군사정권 세력과 3당 합당을 하며 이 지역을 보수당으로 끌어들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3당 합당 이전의 김영삼은 진보파였습니다. 그가 정치 세계에 등용한 사람이 바로 노무현입니다. 당시 노무현은 인권변호사로의 명성이 퍼져가는 중이었으며, 송기인 신부 등과 함께 힘든 자들을 도와주는 사회운동을 하고 있었습니다.

인권변호사이며 노동운동가였던 노무현. 전두환, 노태우 독재정권에 맞서기 위한 재야인사로 발탁되었다. ⓒ knowhow.or.kr
총선이 다가오면서 김영삼은 새로운 인물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던 중 송기인 신부가 귀띔했습니다.
송기인 신부가 밝히는 노무현의 정치 데뷔 과정입니다.

노동자와 함께했던 노무현. 나중에 노동부 장관이 되어서는 노동자에게 계란를 맞고도, 그들의 울분을 이해한다고 말했다. ⓒ knowhow.or.kr
노무현은 부산 동구에 국회의원으로 출마하여 허삼수와 대결을 하게 되었습니다. 허삼수는 12.12쿠데타에서 전두환을 도와 공을 세운 이후 국회의원이 된 사람이었습니다.
고교동창 ‘원창희’의 걱정에 대한 노무현의 말입니다. 하지만 거대 골리앗과 작은 다윗의 싸움인 것은 사실이었습니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았던 사람, 그런 사람이 노무현입니다.

노태우 퇴진을 외치며 시위에 참가한 노무현. ‘사람사는 세상’ 홈페이지에는 각종 노무현 관련 자료들이 업로드되고 있다. ⓒ knowhow.or.kr
문재인 당시 변호사의 증언입니다.
문재인과 원창희는 당시를 이렇게 회상했습니다. 이때만 해도 문재인은 훗날 자신이 대통령에 도전하게 될 것을 전혀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5공 청문회 스타 노무현입니다
이것은 1988년 첫 대정부 질의에 나선 노무현의 말입니다.

1988년 장세동 전 대통령 경호실장을 추궁하는 노무현 국회의원. 독재정권에 탄압받던 국민들에게는 충격적인 장면이었다.
1988년은 ‘5공 청문회’가 있던 해입니다. 이때 가장 이슈가 된 청문회 스타가 노무현입니다.
장세동 전 안기부장에게 말한 노무현의 발언입니다.

정주영 전 현대 회장에게 질의하는 노무현 국회의원. 정경유착을 밝히며 부정부패와 비리를 국민에게 폭로하였다.
청문회의 의미를 정의하는 노무현의 인터뷰입니다. 무자비했던 군사정권의 비리를 국회에서 파헤치는 일은 한국에서 처음 있는 일이었습니다. 그 서슬 퍼렇던 권력자에게 호통을 치는 노무현의 인상은 그래서 더욱 강렬했습니다.
잘못을 못 느끼는 그들로 인해 눈물까지 글썽이며 울분을 참던 사람도 노무현입니다.

“이의 있습니다!” 일방적인 3당 합당 발표에 반대토론을 주장하는 노무현. 김영삼은 진보개혁을 버리고 갑자기 보수독재세력과 당을 합당해 버렸다. ⓒ knowhow.or.kr
하지만 시련이 찾아왔습니다. 부산, 경남을 대표하던 진보세력인 김영삼이 갑자기 보수세력과 손을 잡고 3당 합당을 해 버린 것입니다. 덕분에 나중에 김영삼은 14대 대통령이 됩니다.
1990년, 3당 합당을 일방적으로 결정해버린 당의 결정에 이렇게 항의하며 반항하던 노무현입니다. 결국 그는 따라가지 않았습니다.

3당 합당을 따라가면 편하게 정치 생활을 할 수 있었지만, 명분 없는 정치 야합에 반발하며 스스로 고생의 길을 걸어갔다. ⓒ knowhow.or.kr
‘3당 합당은 야합이지. 내가 이런 거 하려고, 그저 국회의원 되려고 정치하는 거 아니다.'
변호사 정재성은 당시를 이렇게 회상했습니다.
손해를 알면서도 도전한 노무현입니다
김영삼이 보수당에 들어가자 부산, 경남이 순식간에 변했습니다. 김영삼을 따라가지 않은 진보의원들은 15대 총선에서 낙선했습니다. 그중 한 사람이 노무현입니다.
박계동 전 국회 사무총장은 당시 상황을 이렇게 설명합니다.

노태우, 김영삼, 김종필의 민정당, 민주당, 공화당은 1990년 갑자기 3당 합당을 했다. 다음 대통령직을 고리로 유혹하여 보수와 야합한 것이다.
노무현은 서울로 올라와서 종로 재보궐 선거에 당선되었습니다. 이제 종로에서 정치 텃밭을 만들면 되는 일이었습니다. 그런데 세상이 놀랄 선언을 합니다.
갑자기 부산 총선 출마 선언을 한 것입니다.
당시 노무현의 보좌관이었던 송인배는 그 심정을 이렇게 말했습니다.

차기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한 전임 대통령으로서의 김영삼, 노태우, 전두환. 노무현은 부귀영화를 스스로 버렸기에 국민의 관심을 받았다.
강보현 변호사가 말렸지만, 이미 노무현은 지역감정을 깨려는 확고한 결심을 세운 뒤였습니다.
대통령에 당선된 뒤 노무현은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정권이 독재하든 말든 경상도 당이면 무조건 그 당만 찍어주는 현실을 지난 선거에서 여실히 느꼈고, 그래서 그 벽에 도전하여 지역감정을 깨려고 했던 것입니다.

통일민주당으로 국회의원 선거에 나온 노무현 후보. 뒷면에는 부산의 유명한 영세지역인 일명 달동네가 보이고 있다.
노무현의 가족 ‘권양숙’과 ‘노연정’의 말입니다. 노무현의 고집은 꺾이지 않았습니다. 적당히 타협하지 않고 사는 사람이 바로 노무현입니다.

계속 떨어지면서도 다시 부산에 출마를 선언한 노무현. 서울 종로에서 계속 국회의원을 할 수 있었지만, 지역감정이라는 불리함에 맞서기 위해 부산에 출마했다.
당시 보좌관 송인배의 말처럼, 노무현이라는 인물은 믿음감을 주는 후보였습니다.
당시 보수당 후보 ‘허태열’은 역시나 지역감정을 조장했습니다. 그 피해는 고스란히 노무현이 입었습니다.
송인배는 ‘김대중 호남당’이라는 지역감정 때문에 노무현이 선거에서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고 회고합니다.
결국 인정받은 바보 노무현입니다
이상돈 교수는 노무현이 떨어질 줄 알면서도 도전한 부산 선거의 의미를 이렇게 설명합니다.
이때부터 노무현의 정치 팬들이 생겨났습니다. 인터넷의 응원 글에는 ‘바보 노무현’에 대한 답답한 심경이 올라왔습니다.

지역감정으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하는 말입니다. 노무현은 보수당을 찍어주는 부산에 출마했다가 또 낙선합니다. ⓒ knowhow.or.kr
한국 최초의 정치인 팬클럽 ‘노사모’는 이때부터 시작됩니다.
김성례라는 시민의 말입니다. 한국에서 시민들이 정치를 응원하는 풍토가 나타나게 한 한국 최초의 정치인이 바로 노무현입니다. 한국의 국민참여 정치풍토가 완전히 바뀌는 시점도 이때부터입니다.
노사모는 바보 노무현에게 감동한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정치인 팬클럽이다. 한국 정치가 크게 변하는 순간은 노무현 때문에 일어난 것이었다. ⓒ nosamo.org
대통령이 된 후, 노무현 전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바보 노무현’이라는 별명이 붙게 된 사연을 이렇게 말했습니다.
재임 시절의 노무현은 자신을 응원했던 국민들의 마음을 생각하며 한 말입니다.

노사모 모임에 참석한 노무현. 노란색은 노무현을 상징하는 색이 되었다. ⓒnosamo.org
노무현의 선거는 국민의 후원금을 모금해서 치렀기 때문에, 과거의 선거보다 깨끗했습니다. 이 또한 새로운 한국의 정치역사입니다.
(※ 이 글은 MBC 방송 인터뷰 내용을 자료로 하고 있습니다)
원문: 키스세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