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는 수단이지 본질이 아니다

조회수 2017. 2. 17. 12:0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고등학교 영어 수준이면 충분하다, 중요한 것은 코드를 읽는 것!

건설회사에 근무하는 나는 영어를 잘하지는 않지만 대부분의 업무를 영어로 하는 사람이다. 매일 들어오는 수십 통의 이메일도 영어고, 매일 읽는 수백 페이지의 계약서도 영어고, 도면이나 시방서도 다 영어다. 지난 일주일 내내 회의했던 분들과도 하루 종일 영어로 이야기했으며 한국 언론에선 전혀 다루지 않는 제3세계 현지 정치·경제적 상황이나 각 기업에 대한 소식도 영어로 접한다.


브런치나 SNS에서 교류하는 분 중에는 아이비리그 박사님, 책도 쓰시는 훌륭한 영어 선생님, 외신을 매끄럽게 소화하시는 기자님, 혹은 토익 만점자도 즐비한데, 여기서 감히 말씀드리자면, 나는 업무를 수행하면서 영어 때문에 힘든 일이 그다지 없다.

입사하고 4년 정도 국내에서 일했다. 나름 어학연수도 다녀오고 기술직치고는 영어점수가 나쁘지 않은 편이라 영어에 대한 두려움은 그다지 없는 편이었지만 감히 해외에 나가 영어로 일한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조금 있었다. 그래서 처음부터 나는 국내 현장으로 발령내달라고 요청했다. 어떻게 영어로 계약서를 만들고 내역서를 준비하고, 도면을 보며 시방서를 검토하고, 작업자들에게 업무 지시하고 감리와 논쟁을 할 수 있을까 하는 막연한 두려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처음 해외 현장에서 나가서 레터를 쓰던 기억은 아직도 생생하다. 한 문장 한 문장 쓰고 지우고 쓰고 지우고. 그렇게 어렵사리 여러 책을 참고하며 썼던 레터가 등록이 되고 발주처에 나가는 순간, 그 부끄러움은 가슴속 깊이 간직했어야 했다.


그런데 되돌아보면 처음 회사에 입사하고 현장에 발령받은 뒤 서울시청에 제출하는 공문서라는 것을 쓸 때도 비슷한 기분이었던 게 기억난다. 25년 넘게 한국어만 구사했지만 막상 공문서라는 것을 쓰려고 하니 한 문장도 제대로 시작하지 못했다.


서고에서 예전 선배들이 쓴 공문서를 찾아보고 베껴서 어찌어찌 한 장 써서 가져가니 당시 팀장님의 빨간 펜 자국으로 거의 피의 공문서가 되었더라. 그렇게 글쓰기를 배우기 시작하며, 소송 때문에 로펌 변호사들과 일을 하며 어깨너머로 배워 멀쩡한 공문서를 스스로 작성하기까지는 근 2년 정도가 걸린 것 같다.

이건 사실 영어와 한국어의 차이는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언어의 사전적 의미는 “생각, 느낌 따위를 나타내거나 전달하는 데에 쓰는 음성, 문자 따위의 수단”이다.


영어를 아무리 잘하고 영미권에서 태어나 생활한다 하더라도, 어떠한 분야의 기본지식이 부족하다고 한다면 한국인보다 해당 분야의 문서를 이해하기 어렵고, 레터나 이메일을 작성할 수 없다. 이건 어찌 보면 당연한 이야기다.


지금 바로 명동거리의 행인을 붙잡고 서울시청에 민원 넣게 공문서 한 장 만들어 달라고 하면 10명 중 9명은 만들 수 없을 것이다.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도로교 표준시방서나 콘크리트 표준시방서를 보여주고 해당 고속도로에는 어떠한 기준이 적용되었는지 찾아보라고 하면 10명 중 9명은 도망가버릴 것이다.


이는 미국이나 영국도 그러하다. 내가 BS(British Standard)나 ACI(American Concrete Institute) 코드를 열심히 읽고 소화한다면, 그 어떤 앵글로색슨 감리자나 발주자가 뭐라 해도 그들의 언어로 설득할 수 있는 것이다.

문제는 영어가 아닐 수 있다. 흔히 해외 일을 하다 보면 많은 분이 영어를 지적하며 말씀하신다.

우리나라 회사는 영어를 잘하는 사람이 없어.
영어 못하는 놈들만 모여있으니 적자를 보지.

지나치게 영어를 못하면 문제가 될 수 있겠지만 대략 고등학교 영어 수준인 토익 600-700점 정도면 업무 수행하는 데 영어가 큰 걸림돌이 되지 않는다. 물론 계약을 담당하거나 대관업무를 하는 사람들은 토익 900점도 모자란 점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시공관리를 하거나 설계를 하거나 공정을 관리한다면 중요한 건 영어 실력보단 기술력이다. 매번 하는 이야기지만 영어를 잘한다고 프로젝트를 잘 수행할 수 있으면 미국이나 영국 건설회사는 영업이익이 쑥쑥 발생하고 주가도 쑥쑥 오를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그럴까.

100년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미국의 건설회사 KBR(Kellogg Brown & Root)은 2013년 매출액이 720억 US 달러(약 8조 원)에 순이익이 7,500만 US 달러(800억 원)다. 그러니까 이익률은 대략 1% 수준인 게지.


석유화학 분야의 글로벌 강자인 이탈리아 회사 사이펨(Saipem)은 2015년 기준 매출액이 11조 5,200억 유로(약 14조 원)이지만 그 해 영업 이익은 마이너스 4억 5,200만 유로(약 5,000억 원)가량의 손실을 기록했다. 순손실은 7억 8,900만 유로니 이쯤 되면 말 다 했다.

영어를 잘한다고 기업의 가치가 높아지지는 않는다. 중요한 것은 일단 내 모국어로 공부하고, 논리를 배우고, 엑셀이나 캐드·프리마베라 등의 프로그램을 익혀 업무의 영역을 넓혀가며 현업에서 업무 경험을 축적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실력을 먼저 키워야 한다는 말이다.


물론 어느 정도 수준의 영어를 구사하기 위해선 꾸준히 공부해야 한다. 해외 일을 한다고 하면 외신이나 기술서류, 같이 일하는 회사의 연차보고서(Annual report) 정도는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고등학교 영어 수준만 되어도 대부분 업무를 통해 친숙해지면 습득할 수 있다.


꼭 토익을 만점 받거나 외국에서 몇 년 동안 공부해야 생기는 능력은 아니다. 내가 일하는 직장에도 아이비리그 학위를 가지고 있거나 토익 만점을 가진 기술직이 꽤 존재한다. 하지만 그분들이 꼭 회사에서 일을 잘한다는 연관성은 그다지 존재하지 않는다. 영어를 잘하니 적어도 가능성과 잠재력은 충분하지만 결국 이 보수적인 건설업이라는 분야는 경험과 노력의 축적이 그 영어라는 것의 비중을 훨씬 상회하기 때문이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니라 아쉬운 점은 존재한다. 출판 시장이나 외신을 접하면 언어에 의한 정보력의 차이가 적어도 수백 배 이상 존재하는 것 같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영어가 모국어인 사람이라도, 해당 분야를 관심 있게 들여다보지 않거나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문해력 측면에서 결코 외국인을 따라갈 수 없다.


모두 다 영어로 된 책으로 공부하는데 SAT에서 내국인보다 훨씬 좋은 점수를 받는 한국인, 모두 다 영어로 된 입찰서를 가지고 입찰했는데 영미권 회사를 제치고 낙찰받는 비 영미권 회사, 이런 일련의 사례를 지켜보면 영어는 결코 학업이나 업무를 하는데 큰 걸림돌이 되지 않는다.


내 단편적인 경험에 기반 두고 한 말이지만 종종 영어라는 훌륭한 ‘핑계’를 가지고 업무 수행할 때나 학업을 할 때 도망갈 구멍을 만드는 것은 좀 아닐 수 있다는 말을 하고 싶었다. 언어는 어디까지나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이지 ‘본질’은 아니다. 끝.


원문: 퀘벤하운의 브런치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