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조선일보 100년, 조선일보의 기록

조회수 2020. 3. 12. 16:16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조선일보가 이런 보도도 했다니!!!

오늘(3월5일) 조선일보가

100년이 된 날입니다.


출처: 미디어오늘
조선일보는 광복 이전엔 일제,
이후엔 권위주의 정부,
북한의 세습 독재와 맞서 싸웠다.
운동권 좌파의 괴담과도 맞섰다.
진실을 수호하기 위해
시대와 맞서고
시대를 이끌어온 100년이었다.
- 2월29일 조선일보 1면

창간 100년을 맞는 조선일보가

2월29일자 1면 기사에서

지난 100년을 자평한 대목인데요. 


기사 제목은 

‘3·1운동으로 태어나, 

불의한 시대에 저항했다’

였습니다.

출처: 조선일보 홈페이지

미디어오늘이

조선일보의 지난 100년을

몇 개의 장면으로 추려봤습니다.

01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방응모(아래 사진)는

1922년부터 5년간 평안북도에서

동아일보 신문지국장이었으며

신문 대금이 밀려

본사로부터 수모를 겪기도 했으나

금광을 발견해 벼락부자가 되어

1933년 3월21일 조선일보를 인수했다.

출처: 위키백과

02

조선일보는

이봉창의 폭탄 투척 사건이 있었던

1932년 1월10일자에서

“어료차(천왕의 마차)에 이상이 없어

오전 11시50분 무사히

궁성에 환행하시었다”고 보도했으며,

그해 5월8일자에선

윤봉길 의사의 폭탄 투척 사건을

“흉행(兇行)”으로 보도했다.

03

조선일보는

1937년 1월1일 1면에

일왕 부부 사진을

1면에 크게 실었으며

1940년 폐간 전까지

매년 1월1일 일왕 부부 사진을 싣고

충성을 맹세했다.

04

북한군이 서울을 함락한

1950년 6월28일

조선일보는 호외(아래 사진)를 내고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만세!”,

“경애하는 수령인 김일성장군 만세!”

라고 적었다.


조선일보는

“호외를 발행한 사실이 없으며

인민군이 조선일보사의

남겨진 시설을 이용해 만든

선전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출처: 미디어오늘

05

조선일보는 1961년

5·16 쿠데타 당시 호외에서

‘군부 쿠데타’로 명명했지만

이틀 뒤인 5월18일

‘쿠데타’란 단어는 사라졌고


19일 사설에선

“지향할 바를 몰라

방황할 뻔하였던 대다수 국민에게

극히 축복스러운 일”이라며

“그(박정희)를 높이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고 적었다.

출처: 위키백과

06

조선일보는 1968년

정부의 지급보증 특혜로

일본에서 민간차관 400만 달러를 들여와

코리아나호텔을 짓게 됐다.


조선일보는 현금 한 푼 없이

당시 서울에서 가장 높은

호텔을 갖게 됐다.

출처: 코리아나호텔 홈페이지

07

전두환 신군부시절

언론인 강제해직, 언론사 통폐합,

보도지침, 언론기본법 등

독재적 언론 통제를주도했던

허문도(사진)는


1964년 조선일보 기자로 입사해

동경특파원을 거친 뒤

1980년 신군부에 발탁,

중앙정보부장 비서실장과

문화공보부 차관 등을 거치며

‘20세기 최악의 폴리널리스트’가 됐다.

출처: ⓒ 연합뉴스

08

조선일보는 1980년 8월23일

‘인간 전두환’ 특집기사를 싣고


“육사의 혼이 키워낸

신념과 의지의 행동”,


“사에 앞서 공…

나보다 국가 앞세워”,


“자신에게 엄격하고

책임 회피 안 해”,


“남에게 주기 좋아하는 성격”,


“운동이면 못하는 것 없고

생도 시절엔 축구부 주장”


따위의 부제를 달았다.


전두환은 4일 뒤 단일후보로

11대 대통령이 됐다.

09

조선일보는 1986년 11월17일

‘김일성 총 맞아 피살’이란

호외를 내고

“세계적 특종”이라고 자평했다.


그리고 김일성은

18일 오전 평양 공항에 모습을 드러내

이 신문의 “세계적 오보”를 알렸다.

10

조선일보는 1998년 10월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장이던

최장집 고려대 교수를

사상 검증한다며


그의 논문 중 일부만 발췌해

김일성을 찬양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최장집 죽이기’ 사태로 이어졌고

최 교수는 위원장직에서 물러났다.


이 사건은 ‘안티조선운동’의

시발점이 되었다.

조선일보의 지난 100년이

더 궁금하다면

아래 이미지를 눌러주세요

↓↓↓

출처: 미디어오늘
이미지를 누르면 해당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