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조선일보 박은주 부장님, 이 포스트 꼭 봐주세요

조회수 2019. 1. 31. 18:59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조선일보 박은주 부장의 민낯을 공개합니다

한 언론인이 있습니다.


그는 2014년 3월

광고대행사 대표에게

아래 내용의 문자를 보냈는데요.

출처: pixabay
2006년 이○○ 
□□□□ 사장님의 전별금 이후
이런 거이 첨입니다.
너무 큰 배려에 쬐매 무섭습니다.
저희 부부가 신세져 죄송한 맘인데…
거기 하나 더 얹게 됐네요.
감사합니다. 꾸벅!

문자를 보낸 언론인의 이름은

당시 조선일보 문화부장이었던

박은주 조선경제아이 부국장(위 사진).


박 부장은 전별금을 받아

감사 인사를 전한 것으로 보이는

문자메시지를

박수환 뉴스컴 대표(아래 사진)에게

보냈는데요.

출처: ⓒ 연합뉴스

 그리고 약 1년 후인 2015년 4월

 박수환 뉴스컴 대표가

 고객사가 개최하는

 전시회 기사를 부탁하자


 박 부장은

내일 좋은 시간에

 올릴 수 있게 할게요.

 근데 클릭 안 나오면 사라져요.

 제가 기사 나오면

 주소 찍어드릴테니 편하게 계세요”라고

 답장을 보냈죠.

이게 탐사보도매체

뉴스타파 보도로 드러난

박은주 부장의 민낯인데요.


광고대행사를 통해

전별금 형식의 돈을 받고,

기사 청탁을 받고

친절히 기사 링크까지 보내주는

에프터 서비스까지…

박 부장의 행위와 무책임한 모습은

과거 자신이 쓴 칼럼 내용과 대비하면

철저히 ‘이율배반적’인데요.

 박 부장은 2015년 3월10일자

‘박은주의 뒤집어보기’ 칼럼 코너에서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김영란법)의

 언론인 적용 여부를

 둘러싼 논란을 다뤘습니다.

 박 부장은 언론인을 포함해

‘사기업 활동’을 하고 있는 사람들을

 김영란법으로 묶는 것은

 위헌 소지가 있어

 기자들이 반발하고 있지만

 독자들이 분노하고 있다는

 여론을 전하면서

‘기레기’라는 단어를 꺼냈는데요.

 그는

“현장이 아닌 보도자료를 베낀 기사나

 엉성한 팩트와 허술한 문장의

 기사를 비난할 때,

 기자의 오만한 태도를 일컬어

‘기레기’라고도 한다.


 그 기레기들은 밥 한 그릇,

 술 한잔에 지조를 팔고,

 독자를 배신하는 집단이다.


 독자보다 취재원에게 유착하고,

 공익보다 사사로운 이익에 집착한다.

영화 ‘부당거래’ 한 장면

 별 것 아닌 정보를 써대며
 독자보다 우위에 있다고
 착각하는 집단이다.

 독자들은 ‘기레기’라는 한 단어로
 위기의 한국 저널리즘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라며


 언론계에 대해

 따끔한 소리를 했는데요.

출처: gettyimagesbank

 박 부장은 한편으로

“독자 눈에 기자는 아직도

‘기자 선생님’이다”라며


“권위를 내세우며

 거들먹거리는 꼴이 밉살스럽지만,

 한국의 산업화,

 민주화에 기여한 ‘계몽언론’,

‘기자 선생’으로서의 기억이

 여전히 남아 있다.


 그들은 기자가 ‘사회 감시자’로

 제 역할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죠.

출처: gettyimagesbank

독자들이 왜 기레기라고

언론인을 욕하면서도

기자 선생님으로 인식하는가에 대해

자기 나름 여론의 배경을

분석한 것인데요.


이 같은 박 부장의 글은

언론인으로서 기레기라는 말의 모욕을

스스로 잘 알고 있고,


언론인이 사회 감시자로서

여론의 기대에 부응해야 한다는 말로

들립니다.

출처: 뉴스타파 보도 갈무리

 하지만 뉴스컴 박수환 대표와

 문자메시지상에서

 박 부장은 스스로 정의한


“밥 한 그릇,

 술 한잔에 지조를 팔고,

 독자를 배신”하고


“독자보다 취재원에게 유착하고,

 공익보다 사사로운 이익에 집착”하는

 기레기에 가까워 보인다고 해도

 할 말이 없게 되는데요.

출처: 뉴스타파 보도 갈무리

박은주 부장님께

물어보고 싶습니다.


조선일보 기자는

밥 먹을 걱정이 없는데도

전별금 형태의 돈을 받고,


직무연관성의 덫에 걸릴 이유를

당최 찾아볼 수 없는

광고대행사 대표의 청탁을 받고

기사를 왜 썼나요?

2011년, TV조선이 개국할 때
박근혜씨가 직접 TV조선 스튜디오를 찾아
인터뷰를 했는데요.
이때 박은주 부장이 인터뷰어로 참여했습니다.

박 부장은 김영란법이 통과돼

취재원이 입을 닫게 되면

“신문이 죽고,

독자도 죽은 신문을 보게 된다”고

고고한 척 충고하기까지 했습니다.


그런데 신문이 죽고

독자도 죽은 신문을

볼 수밖에 없는 이유는

다른 데 있지 않을까요?


모두가 예상할 수 있는 그 이름,

기레기 때문이겠죠?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