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외국보다 '싼' 집값, '광역·관광도시'를 주목하라

조회수 2019. 6. 3. 17:02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우리나라 집값은 세계 주요 도시와 비교하면 비싸지 않습니다.

심교언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는

‘제12회 머니톡콘서트’에서

‘우리나라 집값의 이해’를 주제로 강연하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심 교수의 말은 언뜻 듣기에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최근 정부의 부동산시장 규제로 집값이 하락세지만

서민들이 체감하는 집값 수준은 아직도 높은 까닭입니다.



머니톡콘서트에 참석한 청중들 역시

고개를 갸우뚱하며 그의 말에 귀를 기울였습니다.



그가 말한 ‘우리나라 집값’은 정말 외국보다 싼 걸까요. 

 

◆한국 집값은 비쌀까

전국 집값은 지난해 9·13부동산대책 발표 이후

6개월 넘게 내림세입니다.



정부의 기조는

과열된 시장을 안정화시키고

서민들의 내집 마련 기회를 확대하겠다는

의지가 확고합니다.



금리인상과 깐깐한 대출 규제가 더해지고

세제개편까지 이어져

서민들의 내집 마련 계획 문턱은

더 높아진 느낌입니다.



집값이 떨어졌다지만

여전히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인기지역의 콧대는 높고

서민들에게는 그림의 떡입니다. 

 


하지만 심 교수의 생각은 다릅니다.

우리나라 집값은 비싸지 않다고 단언합니다.

세계 주요 국가와 대도시의 집값은 비싼데 반해

서울 집값은 상대적으로 비싸지 않다는 게

심 교수의 주장입니다. 

홍콩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의 평당 가격은 5억5000만원이고 미국 뉴욕 맨해튼은 5억2000만원, 영국 런던은 5억원, 중국 베이징은 2억6100만원, 일본 도쿄는 2억3900만원인 반면 서울은 1억1000만원으로 5분1 수준입니다. 세계 주요 대도시에 비하면 서울 집값은 비싸지 않고 집값상승률이 물가상승률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심 교수는 국가별 소득대비 주택가격(PIR) 지수

예로 들며 부연했습니다. 

 

PIR지수는 3~5정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보는데 우리나라의 지수는 4.8이고 호주(5.6), 일본(5.3), 영국(5.1) 등은 우리나라보다 높습니다. 세계 주요 대도시와 비교할 경우 서울은 7.8로 높아 보이지만 홍콩 13.5, 벤쿠버 9.5, 시드니가 8.3이고 샌프란시스크·런던은 서울과 같은 7.8, 도쿄는 7.7로 서울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집값 상승은 필연?

심 교수의 주장은

서민들이 체감하기에

우리나라 집값이 비쌀 수 있지만

세계 주요나라 대도시 등과 비교하면

결코 높은 수준이 아니라는 게 핵심입니다.



우리나라 집값이 싸다는 얘기가 아닙니다.

상대적인 관점에서 보면

결코 비싸다고 볼 수 없다는 논리입니다. 

 


심 교수는 비싸다고 느껴지는

최근의 우리나라 집값을 이해하려면

시간의 흐름을 살펴보는 게 선행돼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그가 말하는 시간의 흐름이란

우리 몸이 자라듯 커지는

‘경제의 성장’입니다.


 

심 교수에 따르면

경제가 성장하면 집값은 덩달아 오릅니다.

1960년대 우리나라 경제규모와 현재의 차이가 큰 것처럼

그 당시 강남 집값이 지금과 같을 수 없다고 말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집값 상승은 필연입니다. 단순한 시간의 흐름이 아니라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갈수록 국민들의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인구와 고용도 늘어나는데 집값만 제자리걸음일 순 없지 않습니까. 인구가 늘면 살 집(수요)이 더 필요합니다. 수요가 늘면 그에 맞게 집을 더 공급하게 되고 경제가 발전한 만큼 집의 규모와 가치도 덩달아 뛰기 때문에 가격이 오르는 것은 당연한 순리입니다. 
◆“최대한 발품 팔아라”

서민들은 비싸다고 느끼지만

외국보다 우리나라 집값이 비싸지 않고

집값 상승 역시 ‘성장’에 따른 필연이라고 말하는

심 교수의 설명은 바뀔 수 없는 현실입니다.



따라서 내집 마련과 투자에 성공하려면

제대로 된 방향 설정이 중요합니다.



심 교수는 이를 위해 ‘시점’과 ‘지역’을 주목합니다.



어느 시점에 어디를 사느냐가

내집 마련과 투자 성공의 지름길 이라는 것입니다.

 

부동산은 어느 시점에 어떤 지역을 사는지가 중요합니다. 서울 강남 등 인기 지역이나 뜨는 지역에만 무작정 매달릴 게 아니라 해당지역의 인구 증가, 고용지표 등을 꾸준히 살피고 꼼꼼하게 분석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어떤 지역을 살펴봐야 할까요.


그는 광역시와 관광도시는

꾸준히 오르는 도시라고 짚었습니다. 

인구가 풍부하고 자체 경제활동이 활발한 ‘부산·대구·인천·대전·울산·광주 등 광역시는 꾸준히 오를 수밖에 없는 지역입니다. 제주나 강릉 등 대표 관광도시 역시 유동인구가 활발하고 지역 특색이 확실한 만큼 인내심을 갖고 눈여겨볼 만한 도시입니다.

마지막으로 심 교수는 부동산을 대하는

올바른 자세에 대한 조언도 잊지 않았습니다.

 최근 10년(2003~2012년) 동안 주요 부문별 자산 상승률을 보면 주식 274%, 채권 52%, 예금 48.7% 등인 반면 부동산은 33.5%입니다. 부동산에 올인하지 말아야 합니다. 섣부른 판단을 지양하고 최대한 발품을 파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