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지구'로 불리는 이 행성의 놀라운 정체

조회수 2020. 6. 9. 19:04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매일경제가 매콤달콤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출처: NASA
5월 말 국제 천문학계를 들썩이게 만든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국제 공동연구팀이 외계행성 '프록시마 b'를 정밀 관측해 그 존재를 확인한 것입니다.


외계행성 '프록시마 b'는 어떤 행성이길래

전 세계가 주목하는 것일까요?


출처: NASA
프록시마 b는 지구와 가장 가까운 별 '프록시마 켄타우리'를 공전하는 행성으로, '제2의 지구'로도 불리는 곳입니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2016년 최초 관측 당시 지구 질량의 1.3배로 알려졌으나, 이번 관측으로 지구의 1.17배라는 것이 확인되면서 지구와 더 흡사한 조건이 됐는데요.
출처: ESO
이곳은 대기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과학자들이 가장 주목하는 행성입니다. 대기가 있다면 표면온도 섭씨 30~40도로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죠.
출처: 연합뉴스
만약 대기가 없는 경우에는 표면온도가 영하 40~영하 30도 정도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구와 유사한 조건의 프록시마 b에는

과연 '생명체'가 살고 있을까요?


출처: ESO
아쉽게도 이번 연구에선 그 해답을 얻지 못했습니다. 일각에선 프록시마 켄타우리가 다량의 X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생명체가 살지 않을 가능성을 주장하는데요.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프록시마 b에는 지구에 도달하는 양의 400배에 달하는 X선이 쏟아지고 있으며, 강한 방사선으로 인해 생명체가 존재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출처: ESO
그럼에도 프록시마 b는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적당한 표면온도를 가졌기에 외계 생명체 연구에 이상적인 행성으로 꼽힙니다.


그렇다면, 지구와 가장 가깝다는 

외계행성 프록시마 b까지의

'실제 거리'는 어느 정도일까요?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프록시마 b는 지구에서 4.24광년 떨어져 있습니다. 4.24광년은 약 40조㎞로 지구와 태양 간 거리의 26만 6000배 정도로 '상대적으로' 가까운 편에 속한다고 합니다.
출처: 연합뉴스
NASA는 1977년 발사한 보이저 1호의 비행 속도인 초속 17.3㎞를 기준으로 프록시마 켄타우리까지 무려 '7만 3000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그렇다고 아직 희망이 없는 건 아닙니다. 과학계에선 장거리 우주탐사를 위해 다양한 추진체를 연구하고 있기 때문이죠.
출처: Aerojet Rocketdyne
▲이온 엔진
공상과학 영화에 주로 등장했던 이온엔진은 아르곤·제논 등의 가스를 이온화해 플라스마 상태로 만든 뒤, 이온 입자를 빠르게 분사해 추진력을 얻는 방식입니다.
출처: 영화 <마션>
영화 마션 속 '헤르메스호'가 이 엔진을 사용했는데요. 처음 추진 속도는 느리지만 가속이 붙으면 현재 사용 중인 화학로켓에 비해 수십~수백 배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습니다.
출처: NASA
▲핵 펄스 추진·핵융합 로켓
광속의 5%까지 도달할 수 있다는 핵 펄스 추진기술은 핵폭탄을 연이어 터뜨려 우주선을 앞으로 나가게 만드는데요. 높은 발사 비용과 안전문제 때문에 실현 가능성은 낮은 편입니다.
출처: PULSAR FUSION
핵융합 로켓은 핵융합으로 고온의 플라스마를 발생시켜 이를 분사해 추진력으로 사용합니다. 기술은 아직 초보단계지만, 현실화될 경우 광속의 12~13% 속도를 낼 수 있어 프록시마까지 36년이면 도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출처: 브레이크스루 이니셔티브
▲레이저 추진
레이저 추진 기술은 우주선에 달린 얇고 가벼운 특수한 돛에 강력한 레이저 광선을 쪼여 그 힘으로 우주선이 날아가게 만드는데요.
출처: 브레이크스루 이니셔티브
광속의 20%까지 가속이 가능해 프록시마 켄타우리까지 20~25년이면 도착이 가능할 정도로 엄청난 속도를 낼 수 있습니다.
출처: EAP연합
고인이 된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과 민간 우주탐사 시대를 연 일론 머스크 등은 이 기술을 이용한 '브레이크스루 스타샷' 프로젝트에 참여했는데요. 4.37광년 떨어진 알파 센타우리에 우표 크기의 우주 선단을 보내는 게 목표라고 합니다.


태양계 밖 외계행성에는

과연 생명체가 살고 있을까요?



이 콘텐츠는 매일경제의 기사 

`제2의 지구` 프록시마 b엔 외계생명체가 있을까? 참고하여 제작했습니다.


[이영욱 기자 / 신소정 인턴기자]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