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 본문
WHO에 따르면 매년 전 세계에서
135만명이 교통사고로 사망한다고 합니다.
이에 비해 항공기는 사고 확률도 낮고,
사망자 수도 훨씬 적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단, 빠른 속도로 많은 승객을
수송하는 항공기의 특성상
큰 참사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특히 공중에서 두 항공기가
충돌했을 경우에는 끔찍한 결과를
가져올 수 밖에 없죠.
오늘 소개해드릴 사고는
여기에 해당하는 항공참사 사례입니다.
1996년 11월 12일.
인도 뉴델리에서 60㎞ 떨어진
차르키 다드리 상공에서
여객기 두 대가 충돌했습니다.
사우디아항공 SV763의 측면을
카자흐스탄항공 IL-76 여객기가
스쳐지나간 것입니다.
갑자기 항공기 2대가 레이더에서
사라지자 관제탑에서는 교신을
시도하지만 응답을 듣지 못합니다.
이 사고로 두 항공기에 탑승한
승객 349명이 전원 사망했습니다.


대체 어떻게 공중에서 항공기가
충돌하게 된 걸까요?
IL-76 여객기는 인디라 간디
국제공항에 착륙하기 위해
하강을 결심하고
관제탑에 이를 요청합니다.
한편, 인디라 간디 국제공항에서
이륙한 SV763가 근처에 있었으므로
관제탑에선 고도 유지를 지시하죠.

▲ 카자흐스탄항공 소속 IL-76 여객기
사고 조사 결과, 관제탑의 지시에는
문제가 없었지만,
IL-76기가 지시를 따르지 않고
하강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당시 관제탑에서는
'고도를 유지하고 같은 항로에 있는
보잉 747기를 육안으로 확인하라'
고 했는데,
IL-76기의 기장은 고도를 낮추라는
지시로 착각한 것입니다.
여기에 인디라 간디 국제공항의
노후시설도 추가적인 원인이었죠.
레이더가 원시적인 방식이었던 터라
항공기 위치 정도만 포착할 뿐,
고도 확인이나 조종사의 지시이행
여부를 알 길이 없었던 겁니다.
이 사건은 공중충돌 항공사고 중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사건입니다.
이 참사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이후로 항공기에
ACAS·TCAS(공중충돌 경고장치) 탑재가
의무화됐습니다.

▲ TCAS (공중충돌방지장치)
이 경고장치는 공중에서 항공기들이
서로 접근할 때, 조종사에게
경고하는 것은 물론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상승 혹은 회피
기동을 안내하게 되죠.

▲ TCAS (공중충돌방지장치)가 작동하는 원리
사실 우리나라에서도
큰 사고가 일어날 뻔한
아찔한 상황이 있었습니다.
2014년, 에어부산 항공기가
나리타공항에서 하강하던 도중
갑자기 TCAS의 경고를 받고
급히 상승한 것인데요.
맞은편에서 불과 6km 지점,
그러니까 수십초도 안 걸리는
거리에 일본 여객기가
상승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만약 TCAS가 탑재되지 않았더라면
초대형 참사가 일어날 수 있었습니다.
20년 전 먼저 사고가 난 이들의
안타까운 희생으로 인해
또다른 사고를 막을 수 있었죠.
[Flying J / 이장경 에디터]
매콤달콤 이런 기사는 어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