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영화 <판도라>, 판도라의 상자를 열어볼까?

조회수 2016. 12. 12. 16:32 수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세계 최대 원자력발전소 밀집 지역 한국
원전 사고의 위험 그린 영화 <판도라>
“저놈은 선물이 아니라 괴물이 될 겁니다.”

영화 <판도라>에서 노후한 원자력발전소의 위험성을 우려한 평섭(정진영)은 경고한다. 경고는 경보음으로 바뀌었다. 지진으로 타격 입은 원전에 사이렌이 울렸다. 회색 분진이 발전소 일대를 뒤덮었다. 단시간에 강력한 방사능에 노출된 사람들이 피를 토했다. 살갗이 타올랐다. 공포에 질린 시민들이 맨몸으로 뛰쳐나와 피난길에 올랐다.


거대한 재앙 앞에 영화 속 국가의 대응은 한심했다. 당장의 혼란을 덮기 위해 진실을 은폐하느라 바쁘다.

출처: 영화 <판도라>

그런데 영화 속 세상만의 얘기일까?

며칠 전 신문만 펼쳐봐도 영화 속 주민들의 목소리와 현실적 공포의 경계는 무너진다. 11월28일 20시57분, 경주 남남서쪽 8km 지역에서 규모 2.4 지진이 발생했다. 지난 9월12일 규모 5.1과 5.8의 경북 경주 지진 이후, 여진은 11월 초까지 500여 차례 이어졌다.

한국의 원자력발전소 밀집도는 세계에서 가장 높다. 지난 9월의 역대 최대 규모의 지진은 한층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기사 참고.

같은 날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고리 2호기 재가동을 승인했다. 원안위는 9월 경주 지진이 고리 2호기의 운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비슷한 시점 정부,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 등도 여기에 가세했다. 경주 지진 이후 가동을 멈춘 월성원전 1~4호기의 내진 성능 강화 약속을 제대로 지키지도 않은 채 재가동 신청을 했다. 이 발전소들은 활성단층이 가장 많은 땅 위에 서 있다. 특히 월성 1호기는 설계수명 30년을 훌쩍 넘었고, 잇단 고장으로 논란의 중심에 있다.

출처: 한겨레
월성원전 1~4호기

위태로운 땅 위에 서 있는 원전의 위험성은 끊임없이 지적된다. 일본 반핵운동가 다카기 진자부로는 저서 <원자력 신화로부터의 해방>에서 원자력이 안전하다는 신화는 여러 사실에 의해 무너졌다고 주장한다. 


세계적으로 400기 넘은 원자로가 있다. 이론적으로는 1기당 1천 년에 한 번 대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400기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2.5년에 한 번 사고가 일어날 수도 있다. 진자부로는 이론적 확률을 따지지 않더라도, 1950년대 이후 10년에 한 번꼴로 대사고가 있었다고 말한다.

출처: 한겨레

원전을 대하는 국가의 태도는 어떤가.

영화 <판도라>에서 정부는 노후 원전을 계속 가동하는 데 문제를 제기한 발전소 소장을 파직하고, 전문성이 전혀 없는 친정부적 인물을 자리에 앉힌다. 정부는 사고 발생 뒤에도 상황 전체를 파악하고 대응하는 게 아니라, 진실을 은폐하는 데 급급한다. 무력하고 무능한 대통령은 상황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도 모른 채 골든타임을 놓친다.

정부가 지지부진 대응하는 사이 원전이 통째로 폭발할 수도 있는 2차적 재앙이 눈앞에 닥친다. 재난 상황은 언론을 통해 전국에 알려지고, 정부는 혼돈에 빠진 시민사회를 다독일 능력이 없다. 대규모 재난의 대비책 자체가 마련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박정우 감독은 11월29일 기자간담회에서 “영화의 현실성이 90%에 가깝다”고 말했다. 실제 우리는 이미 2년 전 위기 대응 능력 빵점인 ‘사라진 국가’를 경험했고, 무능력한 대통령은 현재진행이다. 영화보다 영화 같은 현실이다.

글 / 신소윤 기자

편집 및 제작 / 노치원

*이미지를 누르시면 카카오톡 '선물하기'로 바로 이동합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