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 본문
① 여성의 성적 대상화
보도윤리에서 고질적으로 지켜지지 않는 문제 중 하나가 여성의 성적 대상화다. 특히 성폭력 사건 보도에서 젠더 감수성의 민낯이 매번 드러나고 있다.
최근 강남역 살인 사건에서 일부 언론은 '노래방 살인녀', '강남역 화장실녀'와 같은 수식어를 붙여 보도했다. 또한 피해자 대신 가해자에게 면죄부를 주는 듯한 기사와 제목들을 쓴 언론들도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위 사진 클릭!]
여고생, 여대생, 여교사 등은 너무나 당연하게 쓰이는 데 비해 남고생, 남대생, 남교사라는 말은 익숙하지 않다. 지난 1개월간 '여고생'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뉴스는 무려 1661건이었던 것에 반해 '남고생'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뉴스는 23건밖에 되지 않았다.
[자세한 내용은 위 사진 클릭!]
한국기자협회 인권보도준칙과 성폭력 사건보도 가이드라인에는 다음과 같이 보도윤리를 명시하고 있다.
"언론은 성별과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강화하는 성차별적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다." (인권보도준칙 제 4장 성 평등)
"언론은 성폭력 범죄의 범행 수법을 자세하게 묘사하는 것을 지양해야 하고, 특히 피해자를 범죄 피해자가 아닌 ‘성적 행위의 대상’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는 선정적 묘사를 하지 않아야 한다."(성폭력 사건 보도 가이드라인)
② 허위 보도와 공익 보도의 경계
가짜 뉴스가 SNS 상에서 유행인 것은 사실이다. ‘프란치스코 교황, 트럼프 지지해 전세계 놀라게 하다’는 제목의 가짜 뉴스는 전체 공유수가 96만건에 이르렀다. 이는 기존 언론이 생산하는 ‘진짜 뉴스’의 평균적인 공유 건수를 압도하는 수치다.
[자세한 내용은 사진 클릭!]
반면 보도 내용의 일부에 허위가 있어도 무조건 '나쁜 보도'라고 단정 짓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최근 박근혜 대통령측은 언론의 블랙리스트 보도에 대해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발표했다. “블랙리스트가 박대통령 지시에 의해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으로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잠정 결론내렸다”는 보도가 거짓이라는 이유였다.
하지만 합리적인 의심의 여지가 충분하고 공익의 가치에 부합하는 기사라면, 표현의 자유라고 인정 받을 수 있다.
무죄 판결을 받았던 PD수첩의 광우병 보도나 미네르바 사건이 대표적인 예다. 정확성에 대한 과도한 요구는 오히려 표현의 자유를 침해할 여지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사진 클릭!]
"우리는 권력과 금력 등 언론의 자유를 위협하는 내·외부의 개인 또는 집단의 어떤 부당한 간섭이나 압력도 단호히 배격한다."(1항 언론자유 수호)
"우리는 뉴스를 보도함에 있어서 진실을 존중하여 정확한 정보만을 취사선택하며, 엄정한 객관성을 유지한다."(2항 공정보도)
③ 기자는 철저히 '관찰자'인가
최근 JTBC는 정유라가 덴마크서 체포되는 순간을 단독으로 보도했다. 하지만 JTBC 기자의 신고로 정씨가 체포되고 이를 보도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이유로, '기자의 객관적인 위치'에 대한 논란이 일었다.
논쟁은 둘로 나뉘었다. '보도만 해야 할 기자가 사건에 개입했다'는 비판과 '사안의 경중에 따라 기자 역시 사건에 개입할 수 있다'는 옹호가 그것이다.
위의 기사는 박상현 메디아티 이사의 미디어오늘 기고글이다. 기자는 사건을 보도만 할 뿐 개입하지 않는다는 전통적인 보도윤리를 명백하게 어긴 것이라는 지적이다.
[자세한 내용은 위 사진 클릭!]
하지만 이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았다.
“기자는 관찰자에 그쳐야 한다”는 보도윤리가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라고 지적하는 반론이다. 위 글은 보도윤리에 따라 JTBC 취재진이 정유라를 신고하지 않았다면 어떤 공익을 얻을 수 있었냐는 의문을 제기한다.
[자세한 내용은 위 배너 클릭!]
JTBC의 정유라 보도 논란이 단순히 찬반으로 귀결될 사안이 아니라는 지적도 있었다. 이번 정유라 보도가 기존의 보도윤리가 적용 되지 않는 상황이라면, 공론장에서의 진지한 토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자세한 내용은 사진 클릭!]
정유라가 중대한 범죄의 용의자라는 점에서 지엽적인 논쟁으로 보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보도윤리에 대해 세밀하고 깊이 있는 논의를 할 좋은 기회임은 분명하다.
이렇게 언론사 내부가 아닌 바깥에서 보도윤리를 둘러싼 논란이 일고 있다. 그중 여전히 불명확하고 논쟁이 필요한 사안들이 몇몇 있다. 보도윤리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하지만 명확히 합의된 보도윤리를 지키지 않아 문제인 경우가 여전히 대다수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한국기자협회의 윤리강령 및 인권보도준칙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기준으로 한국 언론의 보도윤리 등수를 한 번 매겨보자.
제작 및 편집 / 노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