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한국에는 왜 셜록홈즈 같은 '탐정'이 없을까?

조회수 2018. 7. 11. 18:51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영국 배우 베네딕트 컴버배치가 낮게 울려퍼지는 목소리와 명료한 발음으로 속사포처럼 추리를 쏟아내는 BBC 인기 드라마 ‘셜록’을 보다보면, 도대체 왜 우리나라엔 셜록 홈즈 같은 명탐정이 없을까 라는 의문이 듭니다. 


경찰력을 보완할 사립탐정이 필요하다는 여론 하에 1999년 부터 국회에 탐정 입법안이 7건이나 발의됐지만, 모두 통과되지 못했습니다.  왜 탐정은 한국에선 나올 수 없는 것일까요.


한 번쯤 궁금해했을 질문에 동아일보 민동용 논설위원은 ‘탐정과 사생활’이라는 칼럼으로 답합니다. 


출처: BBC '셜록'

2015년 2월 26일 간통죄 위헌 결정이 나오자 슬며시 표정 관리를 한 업종이 있습니다. 바로 심부름센터. 앞으로 배우자의 외도를 의심해 ‘뒷조사’를 의뢰하는 사람이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였습니다.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로 뒷조사 기법은 첨단을 달립니다. 스마트폰 문자메시지에 악성코드를 심어 통화내용이나 동영상,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대화를 들여다보는 건 보통입니다. 몰래카메라나 차량 위치추적기 등을 동원한 사생활 추적도 공권력 뺨칠 정도라고 하고요.


물론 이런 심부름센터의 뒷조사는 불법입니다.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신용정보보호법) 40조는 신용정보회사 말고는 특정인의 사생활을 조사하는 등의 일을 할 수 없고, 탐정이라는 명칭도 사용할 수 없도록 하고 있습니다.

헌재 "남의 사생활 조사하는 탐정업 금지는 합헌"

이 같은 법적 조치 때문에 “셜록 홈스라도 한국에선 탐정사무실을 낼 수 없다”고 지적하는 이들이 적지 않습니다. 주로 전직 수사관들입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모두 허용하듯, 차라리 탐정을 제도화해 엄격히 관리해야 불법적 사생활 캐기가 사라질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하지만 1999년 이래 국회에 탐정 입법안 7건이 발의됐지만 한 건도 통과되지 못했습니다.


헌법재판소는 7월 10일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신용정보보호법 40조에 대해 합헌 결정을 내렸습니다. 요즘 남의 사생활을 캐는 행위가 사회 문제로 대두된 현실을 고려할 때, 특정인의 사생활 조사 비즈니스를 금지하는 것 말고는 사생활의 비밀과 평온을 보호할 방법이 없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영화나 소설에서 멋지게 등장하곤 하는 ‘탐정’이라는 단어도 못 쓰도록 했습니다. 사생활 조사를 적법하게 할 권한이 있는 것처럼 오인될 수 있다는 이유 탓입니다. 국민의 사생활과 기본권이 지금 우리가 지켜야 할 소중한 가치임을 새삼 일깨워준 셈입니다.


※ 이 기사는 동아일보 <[횡설수설/민동용]탐정과 사생활> 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