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 본문
"웹툰 작가 A 씨는
웹툰이 업로드될 때마다 검색창을 켠다.
자신의 작품을 검색만 해도
불법 사이트가 처음으로 뜬다.
원고가 업로드되자마자 벌어지는 일이다.
플랫폼에 항의를 해봤지만,
해외에 서버를 두고 있어
잡는 데 비용이 더 든다는
답만이 돌아왔다"

K 웹툰의 성장세가 눈에 띄는 가운데,
웹툰 불법 유통의 피해도
맞물려 커지고 있어요
20일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20 만화 이용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이용자의 60.3%는
디지털 만화 불법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만화를 공유해주는 유튜브, 인터넷 카페,
블로그, SNS를 통하는 경우가 38.9%,
웹하드 다운로드를 통해
이용하는 경우가 19.6%,
해외 스캔 만화 사이트 또는
웹툰 복제 게시 사이트를 통해
이용하는 경우가 13.8%로 나타났습니다.

▲웹툰 불법유통 대응 협의체에서 지목한 불법 유통 사이트 화면
실제 19일 오후 11시 기준
한 웹툰 불법 유통 사이트엔
하루에만 약 22만5000명이 방문했어요
해당 사이트엔 유료 결제를 해야 하는
인기웹툰의 미리 보기 분량이
올라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작가 B 씨는
“최근 웹툰의 성장세에 따라
유료결제로 수익을 얻는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며
“작가 수익에서 미리보기 등
유료 결제분이 줄어들면
타격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말했어요
: 한국콘텐츠진흥원이 2018년 발간한
‘만화 웹툰 불법유통 실태조사’
2017년 1월부터 2018년 8월까지
불법 복제로 인한
웹툰 누적피해액은
1조8621억 원에 달했는데요,
최근 K 웹툰의 성장세를 고려하면
피해액은 훨씬 증가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이러한 불법유통을 막고자
이에 작가와 플랫폼은
속속 법적 대응에 나서는 추세예요
지난 15일 웹툰 작가들은
불법 웹툰 사이트
‘밤토끼’ 운영진 3인을 상대로 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승소했어요
작가 1인당 150만~600만 원을
배상하라는 판결이었습니다.

웹툰 네이버웹툰과 카카오페이지도
불법 유통을 막기위한 대책을 모색 중이에요
◇ 네이버웹툰
네이버웹툰은
웹툰의 불법 복제 및 유통을 방지하는
AI 기술 ‘툰레이더(ToonRadar)’를 활용합니다.
웹툰 불법 업로드 인지 후
웹툰에 심어진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읽어요
평균 10분 안에 유출자를 적발,
재접근을 차단하는 기술이라고 해요
/
◇ 카카오페이지
카카오페이지는
지난해 10월
‘웹툰 불법유통 대응 협의체’ 구성을 주도했어요
이는 네이버웹툰, 레진엔터테인먼트,
리디주식회사, 탑코, 투믹스 등과 손잡고
불법유통 정보를 공유하고
해외 저작권 침해에 대한
법적 조치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