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많이 마시는 사람들에게 최근 나타나는 병

조회수 2021. 3. 19. 08:1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중장년층 남성에게서 높은 발병률, 골괴사의 특징은?

근골격계 질환이란 반복적인 동작이나 부적절한 작업 자세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건강 장해를 말한다.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하면 일상생활의 원활한 진행에 제한을 주게 되어 삶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 최근 10년간 수진자 수의 증가율을 높인 근골격계 질환 중 하나인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즉 골괴사는 뼈가 국소적으로 죽어있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남성이 조심해야 하는 질병에 속한다. 남성이 조심해야 하는 근골격계 질환인 골괴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골괴사 앓는 남성 환자,
점점 증가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2019년 골괴사로 의료기관에 방문한 전체 환자의 수 3만 4745명 가운데 약 61%는 남성(2만 1201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환자(1만 3544명)의 약 39%와 22%p 차이가 있었으며, 골괴사 환자의 연령대로는 50대 남성이 6080명, 60대 남성이 5501명, 40대 남성이 3963명 순으로 중장년층 남성에게서 높은 발병률을 보이고 있었다.

골괴사는 뼈로 가는 혈액의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 발생하는 질환이다. 즉 뼈 조직이 죽는 괴사 질환이며, 괴사된 뼈에 압력이 계속해서 가해지면서 괴사 부위가 골절, 이후 통증이 시작되고 이어서 괴사 부위가 무너져 내리면서 고관절 자체의 손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주로 대퇴부 위쪽, 팔 위쪽, 어깨 등에서 발생하고 정도가 심해질 경우에는 관절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골괴사, 진짜 뼈가 죽는 병일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에 따르면, 환자들은 골괴사를 두고 ‘뼈가 썩는 병’으로 잘못 이해하거나 그대로 둘 경우 뼈까지 썩어들어가는 것이 아닐까 걱정하게 되는데, 뼈가 국소적으로 죽어있을 뿐, 뼈가 부패되는 것은 아니며 주위로 퍼져나가지도 않는다. 또한 고관절 부위의 골괴사인 경우 척추디스크의 질환과 유사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감별할 수 있어야 한다.

골괴사는 혈액 공급의 차단이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발생 과정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다만 여러 가지 위험 요인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과다한 음주, 스테로이드 사용, 신장 질환, 신장과 심장의 장기 이식, 통풍, 방사선 조사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원인적 위험 인자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발생하는 경우가 자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골괴사 증상은?

관절 부위 통증과 골절 등

골괴사의 증상은 수개월부터 수년까지 서서히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조직이 손상되거나 함몰되는 초기에는 별다른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상당 시간이 경과해야 관절 부위의 통증이나 골절 등이 나타난다. 체중을 실어서 걸을 때나 뛸 때에는 통증이 심하지만 앉아있거나 누워있을 때에는 편안한 것이 골괴사 증상의 특징이다.

골괴사는 통증과 함께 대퇴골두의 함몰 변형으로 인해 고관절 운동 범위가 줄어들어 바닥에 책상다리를 하고 앉기가 힘들어진다. 또 대퇴골두 함몰이 심하다면 다리의 길이가 짧아진 것을 환자 자신이 자각하게 된다. 이처럼 골괴사는 수개월에서 수년까지 병의 진행 과정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어 조기 진단으로 빠르게 치료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골괴사 치료와 관리 방법은?

골괴사의 진단은 단순 방사선 사진과 MRI 소견으로 진단하게 된다. 20~50대에서 갑자기 고관절 통증이 생겨 절뚝거릴 경우에는 골괴사를 가장 먼저 의심하게 된다. 과도한 음주나 스테로이드 사용 등의 위험 인자에 노출된 적이 있는지를 확인하며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질환 여부를 진단한다. 골괴사의 치료 방법은 크게 비수술적 요법, 수술적 요법 두 가지로 나뉘어진다.

비수술적 요법인 약물 복용은 통증을 줄여주는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 콜레스테롤을 낮춰주는 약 등이 처방된다. 또 관절 운동을 시행해서 관절 기능을 유지하고 체중을 감소시켜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해주는 것 등이 있다. 수술 이후에는 근육의 힘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근육을 키울 수 있는 재활운동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로서는 특별한 예방법은 없으며 피할 수 있는 위험 인자에 대해 노출되지 않는 정도이다. 또 과음이나 필요 없는 스테로이드 사용은 피해야 한다.

저작권자 ⓒ 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