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캘리그라피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조회수 2020. 1. 9. 18:0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캘리그라피와 타이포그래피의 조상 캘리그램!
멋진 문구
개성 넘치는 글씨체
마치 그림처럼 그려진 글자들

자신만의 스타일로 표현한 캘리그라피들을 보면, 진짜 예술의 경지에 오른 느낌도 드는데요.
최근 취미 생활로 캘리그라피를 배우는 사람들도 늘면서, 더 다양한 작품들이 만들어지고 있죠.
그런데 사실 이 캘리그라피에 큰 영향을 끼친 예술가가 있어요.
19세기 말은 거대한 변화의 시기였어요. 축음기, 전화, 라디오처럼 언어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새로운 기술들이 나왔고 사람들은 이 신기술이 선사하는 생생한 감각들에 매료되었죠.
물론 모든 사람들이 좋아한 건 아니었는데요.

기존에 언어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기능은 글자의 역할이었습니다.
신기술은 이런 글자의 역할을 흔들고 있었거든요.

때문에 글자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사람들이 나타났습니다.

프랑스의 시인, '기욤 아폴리네르'도 그중 한 명이었죠.
1899년 열아홉의 나이로 파리에 온 아폴리네르.

1900년대에 그의 시는 파리 문단의 호평을 받았고, 그는 주목받는 신예 시인으로 떠오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아폴리네르가 관심을 보인 건 시만은 아니었어요.
그는 그림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고, 따라서 문인뿐 아니라 화가들과도 폭넓게 교류했죠
피카소, 브라크, 앙리 루소
새로운 예술을 만들려는 열정으로 가득했지만, 아직 사람들의 눈길을 끌진 못했던 예술가들.

아폴리네르는 그들의 열렬한 지지자가 되었고 친한 친구로서 우정을 나눕니다.

화가들과의 교류는 아폴리네르가 새로운 형태의 글쓰기를 개발하는 데도 영향을 끼쳤어요.
이 무렵 아폴리네르는 글자와 그림이 서로 다르지 않다는 생각에 깊이 빠져 있었는데요.
실제로 글자와 그림은 대상을 가리키고 재현한다는 점에서같은 점이 많았죠.

장미를 예로 들어볼까요?
흔히 장미가 상징하는 것은 ‘사랑’으로 알려져 있어요.
때문에 누군가가 장미 그림을 선물하면, 받는 사람은 그 그림으로부터 ‘사랑’이란 개념을 발견할 수 있죠.

장미 그림은 장미라는 대상을 재현해낸 것이면서, 사랑이라는 개념을 같이 가진 언어가 되는 겁니다.
언어를 말하는 그림이 가능하다면, 대상을 재현하는 글자도 가능하지 않을까? 아폴리네르는 곰곰이 생각해봅니다.
어떤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것 같았죠.
“비 내리는 소리 들어보렴 회한과 멸시가 낡은 음악을 눈물을 뿌리는데”
아폴리네르의 시 ‘비가 내린다’입니다.

이 시는 비 내리는 풍경을 묘사하고 있는데요.
동시에 글자들이 사선으로 배열되어 비 내리는 풍경을 재현해내고 있죠.

'말하는 동시에 말하는 것을 그리기'
그러면 글자의 의미를 더욱 생생하게 전달하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아폴리네르는 시의 형태와 시의 의미가 긴밀하게 결합하는 글쓰기 방식을 만들어냈고, 이걸 칼리그램이라고 정의했죠.
이런 방식은 사람들이 간과했던 사실을
톡, 건드려 직면하게 했는데요
바로 ‘글자도 형태를 갖고 있다’는 것이었죠.

글자를 읽을 때 우리는 글자에 담긴 의미를 해석하느라 글자 자체에는 덜 관심을 기울이게 돼요.
그래서 글자의 형태나 배열은 간과되기 쉽죠.
그런데 칼리그램은 글자를 이용해 누구나 한눈에 알 수 있는 형태를 만들었고, 때문에 글자도 형태적인 아름다움을 가질 수 있다는 걸 사람들에게 보여줬죠.

때문에 학자들은 아폴리네르의 선구적인 시도가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젖혔다고 평가하기도 합니다.
이후의 작가들이 글자로 형태적인 아름다움에 대해
고민하도록 도왔고, 그 결과 캘리그라피, 타이포그라피처럼 새로운 표현기법들을 개발하는 데 영향을 줬다는 거죠.
오늘날은 아폴리네르의 시대보다 훨씬 많은 소리와 그림이 범람하는 시대입니다.

긴 글을 읽기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늘었고, 글자보다 그림이 익숙한 세대가 등장하고 있죠.
소리와 그림의 시대

글자는 살아남기 위해서라도 그림을 받아들여야 했고, 우리는 오늘날 도처에서 그 결과물들을 만납니다.
소리와 그림의 시대는 계속될 거고, 글자는 계속 새로워질 거예요.

앞으로 글자는 어떻게 변해갈까요?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