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자손손 자연과 더불어 살, 일본 공생의 집

조회수 2021. 2. 1. 09:48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해외 주택

건축주는 은퇴를 앞둔 노부부다. 그들은 은퇴 후 주말이나 휴가 때 지낼 용도의 집을 짓길 바랐다. 부부가 꿈꾸는 집은 ‘자연 속에 머무르며,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집’이었다. 그리고 이 집이 다음 세대인 자녀 세대까지 이어지길 바랐다.

 

진행&구성 이수민 기자 | 글&자료제공 김철수(건축&인테리어 매칭 플랫폼 하우저 대표) | 사진 마사야 요시무라Masaya Yoshimura


△ 공생의 집 평면도

HOUSE NOTE

위치 일본 나가노현 기타사쿠군 가루이자와

건축구조 철근콘크리트조

건축규모 지상 1층

대지면적 1101.11㎡(333.08평)

연면적 227.77㎡(68.90평)

인테리어디자인 오카다 아야코岡田絢子

                      (R.E.A.D.and.Architects)

구조설계 다케토 사토佐藤岳人(TS 구조 설계)

정원설계 곤다하루히코極檀春彦

시설설계 히코 아키오知久昭夫,

 하세가와 마사토시長谷川雅俊(치쿠 설비 계획 연구소)

내장재 새들러 타일Sadler(COAD PG 갤러리),

 노르도 소노란Nordo Sonoran(AD월드)

준공시기 2020년 7월

설계 오카다 카즈키岡田一樹

       R.E.A.D.and.Architects 03-4405-4754

       www.read-arch.co.jp

시공 이치카와 구니오市川邦一, 이치카와 유타市川勇太

       (이치카와 건축스튜디오建築工房 市川 )


△ 본채 주출입구에서 거실을 지나 코지 코너까지 이어지는 동선이 한눈에 들어온다.
△ 비탈진 지붕의 형태가 실내 천장에 반영된 모습. 양쪽 창으로 다른 모습의 정원이 펼쳐진다. 부족한 수납 공간을 해결하기 위해 주방 창가 아래 수납장을 두었다.
△ 본채는 거실과 주방 및 식당이 일체형인 라운지 형태로 계획했다.
‘잘 살기 위해’ 계획한 주말 주택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며 100세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하지만 100세 인생을 어떻게 살 것인가를 생각해 본 사람들을 몇이나 될까? 단순히 오래 사는(living longer) 것만이 능사가 아니다.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유지하며 잘 사는(living well) 것이 중요하다. 부부는 은퇴를 앞둔 시점에, 제2의 인생을 건강하게 잘 살아가고자 하는 마음으로 ‘자연 속에서 자연과 더불어 지낼 주말 주택’을 마련하고자 했다.  

가루이자와는 오래전부터 일본을 대표하는 피서지이자 별장지로 잘 알려진 곳이다. 해발 약 1000m의 고원지대에 위치해 여름에도 평균 25℃ 이하의 시원한 기온을 유지한다. 덕분에 자작나무와 낙엽송이 많고, 계절에 따라 자연의 변화도 심하여 이국적인 분위기를 풍긴다. 

건축주 부부는 이곳에서 여름과 주말을 보내고, 가족과 가까운 지인들을 초대해 추억을 만들 두 번째 보금자리를 짓기로 했다. 주택은, ‘자연이 삶 그 자체’였던 조상들의 생활방식에서 영감을 받아 ‘자연과 더불어 사는 집’이길 바랐다. 그리고 훗날에는 자녀에게 물려줘, 사용할 집이라는 걸 전제로 했다. 

△ 서재 겸 코지 코너로 활용 중인 공간. 창을 열고 나가면 안마당을 둘러싼 작은 산책로를 만날 수 있다. 산책로는 별채의 거실과 연계된다.
△ 북쪽 정원으로 창을 낸 욕조가 있는 스파실. 본채 욕실은 공간을 스파룸, 세면실, 화장실로 세분해 놓았다.
자연에 둘러싸여 계절을 만끽할 수 있는 곳

부지는 전나무로 둘러싸인 코너에 위치하고 있다. 건축가 오카다 카즈키는 주변 환경과 긴 부지의 형태를 그대로 살린 집으로 계획했다. 그리고 가루이자와 특유의 풍경을 집 안에 들이고, 집 주변을 산책하며, 계절의 변화를 만끽할 수 있는 정원으로 둘러싸인 환경을 만들고자 했다.

주택의 지붕은 주변의 산새를 닮은 경사진 모양으로 디자인하고, 긴 부지 형태를 따라 부부가 지낼 본채, 자녀나 지인이 방문할 경우 묵게 될 게스트하우스용 별채를 앉혔다. 본채와 별채 사이에 복도를 놓아 두 동을 연결했다. 복도와 방의 창문은 다양한 풍경의 여러 정원을 실내로 들일 수 있도록 배치했다. 그리고 콘크리트 지붕 아래로 함께 생활하는 부부 사이의 적절한 거리감 유지를 위해 공간을 널찍하게 구성했다. 실내는 자연 자재로 꾸며 집에 머무는 동안 평범한 시간의 흐름 속에 자연과 함께 살고 있음을 느낄 수 있게 하고자 했다. 

△ 본채와 별채는 복도를 사이에 두고 이어져있다. 서쪽으로 난 복도 창으로 안마당 정원이 펼쳐져 있다.
△ 별채에 마련돼 있는 작은 거실. 정원을 자유롭게 오갈 수 있도록 출입구도 마련해 놓았다.
자연과의 공생을 고려한 자재 선택

실내는 자연과의 공생을 잘 표현해 줄, 콘크리트 타일과 나무 바닥재로 마감했다. 먼저, 벽체 마감재는 콘크리트 타일인 새들러 타일을 선택했다. 새들러 타일은 모래와 시멘트, 화강암과 석영, 운모 등의 광물이 섞여 있어 현대적이지만, 자연의 멋이 배어나 따뜻한 느낌을 낸다. 또한 고급 천연 석재와 같은 경도와 내마모성이 있고, 시간이 지날수록 더 자연스러운 정취를 풍긴다. 실내 바닥은 나무 소재로 마감했다. 185㎜ 폭의 넓고 단단한 오크 바닥재가 거실과 주방 및 식당, 실내의 복도를 감싸며, 나무 소재 특유의 질감으로 편안한 분위기를 완성한다. 천연 도료와 UV 왁스 오일 등으로 마무리된 표면은 맨발로 디뎌도 쉽게 미끄러지지 않고 부드러운 보행감을 느끼게 한다. 현대적이지만 흙의 향기가 나는 콘크리트 타일과 부드럽고 따뜻하며 공간에 깊이를 더하는 나무 바닥은 자연과 공생하고, 자연의 순리에 순응하며 사려는 노부부의 지혜를 담은 듯하다.

△ 별채 거실에서 남쪽 출입문을 바라본 모습. 오른쪽으로 다실이 보인다.
△ 다실. 미닫이문을 열면 거실과 연계해 사용할 수 있다.
△ 별채에는 포치 공간도 마련했다. 지붕은 앞쪽으로 끌어내고, 바닥은 석재 데크로 마감해 공간 활용도를 높였다. 넓고 투명한 창으로 아름다움이 실내 깊숙이 들어온다.
△ 바깥마당 쪽 남쪽 출입구로 진입 시 만나는 작은 갤러리 공간.
△ 동쪽 길로 들어와 작은 디딤석을 따라 걸으면 별채의 남쪽 출입구를 만날 수 있다.
△ 주택은 전면에 안마당과 작은 산책로를 품고 있다.
△ 동쪽에서 바라본 주택의 배면.
기사 하단에 해외 주택 관련 기사를 링크시켰습니다. 보다 다양한 해외주택을 구경하고 싶으시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