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함과 개방, 바람과 소통하는 양평 주택

조회수 2022. 1. 3. 14:31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양평 철근콘크리트주택

필자에게 집이라는 단어는 편하면서도 떼어놓고 싶은 마음이 공존했다. 그러기에 사생활은 지키면서 편안하고 개방감이 있는 주택이기를 바랐다. 자연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면서 나도 편하고 이웃도 편한 집. 아울러 자연 그대로의 부지형태를 유지하고픈 마음에 마당을 포기하고 돌과 잔디, 나무를 보는 것, 그리고 경사를 오르는 것으로 만족하기로 했다.  글 홍성철(건축과환경 대표) | 사진 황우섭 작가, 박창배 기자

HOUSE NOTE
DATA
위치
양평군 강상면 강남로
지역/지구 계획관리지역  
건축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대지면적 412.50㎡(124.78평)  
건축면적 162.23㎡(49.07평)  
건폐율 39.47%  
연면적 162.23㎡(49.07평)  
용적률 39.47%  
설계기간 2018년 1월~4월  
공사기간 2018년 9월~2019년 5월  
토목공사 석축공사와 옹벽(4500만 원)
건축비용 4억 4000만 원

설계/시공 건축과환경 031-771-8788 www.cne.works  

MATERIAL  
외부마감  
  지붕 - 노출콘크리트    
  벽 - 송판노출콘크리트    
  데크 - 시더  
내부마감  
  천장 - 스크린루버(제재목)    
  벽 - 석고+페인트    
  바닥 - 티크 원목(이건)  
단열재  
  지붕 - 비드법 보온판    
  내단열 - 폴리우레탄 경질 난연  
창호 코인텍 시스템 창호  
현관 코인텍 시스템 창호  
조명 T5/필립스  
주방기구 시더 무늬목  
위생기구 아메리칸 스탠다드  
난방기구 가스보일러(린나이)

우리는 양평에서 4대째 삶을 이어오고 있다. 주택을 짓기로 하면서 양평 시내와 10분 이내에 있는 터를 찾았다. 그러던 중에 앞이 확 트이고 남한강과 용문산이 한 눈에 들어오는 편안한 부지를 만났다. 우리 가족이 삶을 영위할 곳으로 남한강과 용문산이 보이는 413.23㎡(125평)의 경사지 부지였다.
부지에 네모난 바위 하나가 원래부터 자리를 잡고 있었던 것 같은 주택설계를 하고 싶었다. 마치 자연 경사를 거스르지 않고 오래된 돌이 자연스럽게 앉아있었던 듯. 건축은 간략하고 단순하며 친밀한 온기를 가진 지속적인 공간으로 방향을 잡았다. 아내의 요구사항은 개방된 주방과 자연숲을 보는 듯하며 옛 전통가옥처럼 바람과 소통이 되는 주택이길 원했다.

현관 진입 계단과 조경. 경사지를 자연스럽게 살렸다.

부지에 네모난 바위 하나가 원래부터 있던 것 같은 주택으로 설계했다.

주택의 정면과 좌측은 또 다른 주택부지와 관계를 맺고 있다. 그러기에 설계를 하면서 도로부터 데크까지 원래 부지가 가지고 있는 모습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친화적인 언덕을 유지하려 노력했다. 자연과 호흡을 위해 최대한 인위적인 것을 피하고자 노력했다.

한옥의 툇마루 같은 데크

대지 앞을 지나는 단지 내의 도로를 활용하기로 했다. 즉, 경사지 아래 부분을 도로와 나란하게 주차장으로 연계해 작은 주차장이 넓어보이도록 계획했다. 주차장 벽의 연장은 경사지의 구조조건을 해결해주는 역학을 한다. 주차장 지붕은 외부로부터 약간의 긴장감을 주기 위해 외벽 하나로 지붕구조를 지탱해 주는 방법을 선택했다. 지하주차장으로 설계하지 않은 것은 자연 그대로의 부지형태를 유지하고픈 마음에서다. 작은 마당을 포기하고 돌과 잔디, 나무를 보는 것, 그리고 경사를 오르는 것으로 만족하기로 했다.

주택은 도로에서 약 3m정도 위에 배치하고 돌판석으로 계단을 만들어 집으로 향하게 했다. 입면 디자인은 편함과 개방이다. 건축 일을 하고 있는 필자에게 집이라는 단어는 편하면서도 떼어놓고 싶은 마음이 공존했다. 그러기에 집에 오면 사생활은 지키면서 편안하고 개방감이 있으면 했다. 주택 왼쪽 부분 전체를 벽으로 설계했다. 옆집의 편안함을 주기 위해서다. 주택의 삶이란, 나 자체가 편함이 있어야 하지만 이웃과 같이 편안해야 하기 때문이다. 단열은 노출콘크리트이기에 내단열을 하기로 하고 늘 써오던 폴리우레탄 난연을 선택했다.
우리집은 마당이 없다. 그래서 주택 전면부에 옛 전통 가옥처럼 지붕이 있는 깊은 처마와 한옥의 툇마루 같은 데크를 설치했다. 비와 눈이 와도 괜찮을 정도의 깊이다. 이곳은 독서를 좋아하는 아내가 가을에 줄곧 있을 공간이다.

현관문. 아침 햇빛이 송판 노출콘크리트에 자연스럽게 그림자가 생기도록 의도하고 반대편은 따듯한 시더무늬목의 가구를 설치했다.

개방감을 주기 위해 주택 전면에 배치한 거실. 천장에 제재 원목을 설치해 소리의 울림을 방지했다.

거실에서 본 식당과 주방. 아내의 요구에 따라 개방감에 치중했다.

큰 창을 설치하고 뒷면에 오죽을 심어 숲속에 있는 듯한 느낌을 갖도록 계획했다.

주방 옆 수납공간

바람과 소통이 이뤄지는 공간

평면을 기획하면서 긴 통로의 현관을 통해 기준 삼아 방과 거실, 주방으로 나누었다. 실내 인테리어는 단순하면서 단백미를 살렸다.
거실은 개방감을 주기 위해 주택 전면에 배치했다. 음악 감상을 좋아하기에 천장에 제재 원목을 설치해 원목이 주는 편안함과 소리의 울림을 방지했다. 빛의 움직임을 좋아하기에 거실에 천창을 냈다. 자연 빛은 거실공간을 밝게 채움과 동시에 복도로 이동하며 생기 있어 보인다.
주방은 아내의 요구에 따라 개방감에 치중했다. 큰 창을 설치하고 뒷면에 오죽을 심어 숲속에 있는 듯한 느낌을 갖도록 계획했다. 필자는 소싯적에 거실과 주방이 분리된 주택에 살았다. 가족 간 대화가 줄어들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그래서 주방 아일랜드를 일자 주방으로 설계하고 양쪽을 볼 수 있도록 설계했다. 주방에서도 가족 간 만남의 공간을 분리하지 않고 이야기를 나누며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침실을 계획할 때는 저녁마다 이곳에 와서 밤을 맞이했다. 아내는 데크에 누워있는 듯 자연 속 침실을 요구했다. 침실의 방향은 남한강과 용문산을 바라보고 전면이 모두 창호이다. 창호를 열면 바람과 소통이 이루어지고 피부에 와닿는 바람이 또 다른 편안함을 준다.

부부침실로 들어갔을 때 창의 모습

부부침실의 방향은 남한강과 용문산을 바라보고 전면이 모두 창호다.

부부침실 화장실

아이들 방은 남서쪽의 축대와 산을 바라본다. 아이들이 생각을 정리할 수 있도록 창의 크기를 최대한 절제하면서 자연을 느낄 수 있을 정도의 빛을 주었다.
현관은 외부와 실내가 공존하는 자재를 동시에 배열했다. 아침 햇빛이 송판 노출콘크리트에 자연스럽게 그림자가 생기도록 의도하고 반대편은 따듯한 시더무늬목의 가구를 설치했다.

부부침실에서 본 자녀방

아이들이 생각을 정리할 수 있도록 창의 크기를 최대한 절제했다.

거실에서 본 건식 세면대

공용 화장실

*
완성된 집을 보니 시공자들 얼굴이 먼저 떠오른다. 시공하신 분들께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무난히 응원해준 가족들에게도 고맙고 감사하다. 집이라는 공간에서 가족들이 편안하고 좋은 추억과 감사로 채워가기를 바라고, 먼 훗날 우리 아이들이 이 공간에서 부모를 느끼는 공간이었으면 한다.

주택 전면부에 깊은 처마와 한옥의 툇마루 같은 데크를 설치했다.

데크에서 바라본 풍경

주방 뒷면엔 오죽을 심어 마치 숲에 있는 듯한 느낌이 들게 했다.

송판 노출콘크리트와 돌판석이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룬다.

필자도 옆집도 편안함을 위해 주택 왼쪽 부분 전체를 벽으로 설계했다.

건축은 간략하고 단순하며 친밀한 온기를 가진 공간으로 방향을 잡았다.

기사 하단에 이 주택과 관련된 영상을 링크시켰습니다. 더 많은 사진을 보고 싶다면 영상을 클릭해 주세요.↓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