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목조건축대전 본상 '강릉 한참봉 고택'

조회수 2018. 12. 6. 07:0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되살아난 고택, 강릉 한참봉 고택

고택이 지닌 가치를 찾아 남기고[보존], 잊혀진 기억을 되살리며[복원], 기존의 상처를 아우르고[보수], 현대 삶을 담기 위한 공간의 확장[증축] 과정은 옛 건물을 새로운 가치로 재탄생시킨다는 의미에서 근자에 건축에서 회자되는 재생건축과 같은 맥락을 걷고 있다고 생각한다. 하나의 건축물이 완성되기 위해 설계자와 시공자 그리고 건축주, 이 3자의 호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이번 작업을 통해서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안경호 건축가(㈜도시건축사사무소)

사진 조신형 작가

HOUSE NOTE

DATA

위치 강원 강릉시 담산동

지역/지구 계획관리지역

건축구조 전통 한식韓式 목구조

대지면적 1979㎡(598.64평)

건축면적 230.86㎡(69.83평)

건폐율 11.66%

연면적 230.86㎡(69.83평)

용적률 11.66%

설계기간 2015년 8월~2016년 3월

공사기간 2016년 3월~2017년 9월

건축비용 10억 원(3.3㎡당 1,430만 원)

토목공사유형 콘크리트 옹벽 및 자연석 석축

토목공사비용 1억 원

설계 ㈜도시건축사사무소 안경호 063-714-3211

시공 ㈜고진티엔시 대표 강석목 031-978-0663

 http://gojintnc.co.kr


MATERIAL

외부마감

  지붕 - 한식 그을림 기와 중와(고령기와)

  벽 - 전통 한식 흙벽 위 회벽 바르기

내부마감

  천장 - 한지

  벽 - 한지

  바닥 - 한식 장판지 마감 외

단열재 열반사 단열재

창호 한식 창호(소목장 제작)

주방가구 자체 제작

위생기구 EL223. 절수형 양변기 외(대림비엔코)

난방기구 가스보일러(귀뚜라미) 및 재례식 구들 난방

고택, 사라질 위기에 처하다

강릉은 우리나라 전통 가옥이 많이 남아 있는 지역 중 하나다. 선교장을 중심으로 한 북촌과 남진용 가옥, 정의윤 가옥 등을 중심으로 한 남촌에 다수의 전통 가옥이 현존하고 있다. 이들 전통 가옥은 역사적, 학술적,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문화재로 지정돼 보존·관리되고 있다.


한참봉 고택은 강릉의 남촌인 담산동에 위치한다. 참봉 벼슬을 지낸 고故 한기직 공께서(건축주의 증조부) 1916년 사랑채를 건립했고, 이후 1936년 안채를 건립했다. 100년이란 세월을 견디며 4대에 걸친 한 가족의 역사와 함께했던 고택은 원주-강릉 철도건설사업으로 불가피하게 토지 및 건물이 수용되어 사라질 위기였으나, 다행히 인근으로 이축돼 보존됐다.

증축, 이전한 사랑채 정면과 측면 모습
수리 전 사랑채 모습
첫 만남, 기억을 되살리다

안채와 사랑채 그리고 곳간과 행랑채 등 부속 시설을 하나로 결합한 튼 ‘□’자 형태의 평면이 화려하진 않지만, 당당하고 짜임새 있는 구조였다. 하지만 수용을 앞둔 고택은 관리 부재로 급속도로 훼손이 진행되고 있었으며, 특히 주변 수목의 침범과 지의류 번식은 양명해야 할 가옥에 음습함을 더했다.


추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안채의 평면계획(양통형 겹집 구조) 및 사랑방과 사우를 통합한 사랑채, 그리고 각 실 천장에 설치한 고미반자는 강릉지역 건축의 특성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또한 사랑채 분합문 상부의 머름청판 조각 형식과 각종 창호의 철물 장식 사용은 근대 한옥의 특징을 보여줬다.


강릉지역의 건축적 특징을 간직하고 있는 본 건물은 주변에 문화재로 지정된 건물에 비해서도 결코 뒤지지 않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했다. 한번 해체하면 그 원형에 대한 기억은 사라지기에 그 흔적을 남기기 위한 정밀 실측을 병행하기로 건축주와 뜻을 같이했다.

사랑채 내부
한참봉 고택은 분합문 상부의 머름청판 조각 형식, 각종 창호의 철물장식 사용 등 근대 한옥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부지의 선정

기존 고택의 좌향은 동쪽의 낮은 구릉을 등지고 백두대간의 망덕봉과 칠성대를 바라보는 서남향으로 자리했다. 고택이 자리한 모산茅山은 강릉의 대표적인 양반마을이며, 인근에 위치한 건축주의 선영先塋은 새로운 부지를 선정하는데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기존 부지에서 남쪽으로 약 120m 떨어진 곳에 터를 정하고 산세 흐름에 맞춰 북쪽으로 약간 치우친 서향으로 자리 잡아 멀리 백두대간의 대관령을 바라본다.

안채 증축 전
안채 증축 후
안채 진입로
공간의 확장

이축移築 시 건축주는 부엌 개량과 방의 규모 확장 등 현대생활의 기능만 담을 것을 요구했다. 고택이 지닌 건축적 특징과 문화재라는 데에 가치를 두고, 집의 얼굴 격인 사랑채는 원형 복원에 방점을 찍고 안채와 부속채는 기능과 편의성을 고려해 약간 변형하기로 설계 방향을 설정했다.

전통 한옥의 간살이(보통 8척尺)는 현대생활의 기능을 담기에는 좁은 공간이다. 한옥의 특성상 보칸으로 확장하는 건 쉽지 않다. 고택이 지닌 DNA를 보존하며 공간 확장을 보존하기 위해 도리칸으로 고려했다. 안채 평면 구성인 6칸 겹집의 상방을 안방과 분리해 사이에 한 켜(마루방과 화장실)를 채움으로써 각 공간의 독립성[Privacy]을 확보하고 상방 남쪽에 별도의 마루방을 두어 단열 효과를 높였다. 또한 비교적 규모가 큰 부엌은 상부 다락의 보존을 위해 바닥 높이를 조금 높이는 대신 기존 아궁이는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넓은 마당과 레벨이 높은 안채의 기단은 실내로 유입되는 빛의 양이 증가해 기존 고택보다 밝다.
부엌 상부에 있던 다락은 그대로 유지했다. 바닥은 부뚜막 높이만큼 높였지만 아궁이는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곳간채와 행랑채도 각각 모듈을 1칸 더해 방의 규모를 키우고, 개별 화장실을 설치해 편의를 도모했다. 실내 공간 확장은 필연적으로 안마당의 확장을 가져왔으며, 넓은 마당과 높은 안채의 기단은 각 실내로 유입되는 빛의 양을 증가시켜 기존 고택보다 더욱 양명한 공간이 됐다.

한참봉 고택은 추위에 대비해 안채와 사랑채, 곳간과 행랑채를 하나로 결합한 튼 ‘ㅁ’자 구조다. 고택에 가치를 두고, 사랑채는 가능한 원형을 복원했다. 안채와 부속채는 최소한의 기능과 편의성을 적용했다.
멀리 백두대간이 바라보인다.
해체 및 조립 과정
해체 1단계
해체 2단계
해체 3단계
조립 1단계
조립 2단계
조립 3단계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