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무슨 투자냐? 세계 3대 버블!

조회수 2019. 7. 17. 18:35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튤립, 보물선, 그리고 주가 조작??
설 대목 없다...경제 전망 최악

설 명절이 다음 주로 다가왔지만

대목이라고 하기 무색하게

경기 전망이 어둡습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 29일

10년 만에 가장 비관적인

경기 전망을 내놓았는데요,


국내 600대 기업(매출액 기준) 

대상으로 조사한 BSI 전망치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였던

2009년 이후 1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

81.1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BSI(기업경기실사지수, 

Business Survey Index)란?

: 기업이 느끼는 체감경기로 

100보다 낮으면 경기악화를 

예상하는 기업이 많은 것이고,

100보다 높으면 경기 호전을 기대하는 회사가

더 많다는 것을 뜻함. (출처: 박문각)


이에 작년부터 제기되었던

10년 위기설이 또 부각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세계 3대 버블로 꼽히는

글로벌 경제 위기 사건을 돌아보며

우리가 점검할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네덜란드 튤립 버블

17세기 네덜란드

에스파냐(현 스페인)의 지배에서 벗어나

'베스트팔렌 조약'을 맺게 되는데요,


*베스트팔렌 조약(Peace of Westfalen)

: 17세기 독일을 무대로 전개된 유럽의

종교전쟁을 끝내기 위한 평화조약으로

신성로마제국을 붕괴시키고

근대 유럽 정치가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출처: 두산백과)


이후 네덜란드의 수도

암스테르담에는 은행과

증권거래소가 설립되면서

경제가 발전했고,


새로운 투자처를 찾는 사람들은

당시 부와 권력의 상징이었던

튤립에 투자하기 시작했습니다.

튤립을 키우지 않으면

교양이 없다는 말이 돌았고,


귀족들은 튤립을 마구 사들이며

튤립이 전시되어 있는가를

부의 척도로 여겼습니다.


최고급 튤립은 한 송이 가격이

서민들의 1년 생활비

10배에 달할 정도로 치솟았죠.


미래 어느 시점에, 특정 가격으로

매매한다는 권리를 사고파는

선물 거래까지 등장할 정도였습니다. 

가격이 곧 가치였던 튤립,
그 값이 떨어지다

하지만 튤립 시장은

한순간에 붕괴했습니다.


1637년 2월을 정점으로

거래가 줄기 시작하면서

튤립 열풍 거품

급격히 사그라들었습니다.


값이 계속 오르는 것이

튤립이 가진 유일한 가치였기에,


값이 떨어진 튤립은 아무도 사지 않았고

그러면서 값은 더 떨어집니다.


몇 개월 만에 가격이

95% 이상 폭락했죠.


어음은 부도가 나고

채무 능력이 없는 사람들이 늘어나

네덜란드는 혼란에 빠졌습니다.


정부 당국이 나서서

튤립 거래를 보류시키고

튤립 계약서가 전부 무효화되면서

튤립 버블은 막을 내렸습니다.

출처: Wikimedia Commons
당시 튤립 가격의 정점과 폭락을 보여주는 그래프
2. 영국 남해회사 버블

17세기 영국에서 활동한

윌리엄 핍스(William Phips)라는 선장은,


36세의 나이에

에스파냐 보물선을 발굴

선망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이 사건을 본 많은 이들이

제2의 핍스 선장을 꿈꾸며

주식회사를 설립해 모험을 시작했는데요,


이때부터 영국에는

'주식회사' 열풍이 불었습니다.

보물선 발굴과 같은

대박을 내는 회사를 잘 찾아 투자하면

부자가 될 거란 기대가 퍼진 것인데요,


이런 열풍을 이용한 것은

다름 아닌 영국 정부였습니다.


영국의 재무장관

로버트 할리(Robert Harley)는 1711년

남해회사(The South Sea Company)라는

주식회사를 설립합니다.


*'여기서 남해'란 지금의 '태평양'을 가리킨다.


정부는 국가가 돈을 갚아야 하는 대상,

즉 국가 발행 채권을 가지고 있는

투자자들에게 돈 대신

남해회사 지분을 주었고,


남해회사에는

무역 독점권을 주었습니다.

출처: Wikimedia Commons
남해회사
꼼수부리던
실체가 드러나며 무너지다

그러나 남해회사

무역 독점권이 있었음에도

망해가고 있었습니다.


밀무역으로 스페인 등의

교역국과 사이가 좋지 않았고

해난 사고 등으로

수익성이 나빠지고 있었죠.


이에 본업을 버리고

금융 기관으로 변모를 꾀한

남해회사는 꼼수를 통해

회사 가치를 부풀렸습니다.


영국 정부의 국채를 사들이고

이 채권을 다시

주식으로 전환했습니다.


지금으로 치면 분식회계

비슷한 방식으로

회사 이익을 부풀린 것인데요,


이에 계층을 불문하고 모든 사람이

남해회사 주식을 사려고 했습니다.


주가는 100파운드에서

10배나 증가

1,000파운드까지 올랐죠.

하지만 남해회사의 영광이

무너지는 것도 한순간이었습니다.


투자자들 사이에 남해회사 주식을 사면

어마어마한 배당을 받을 수 있다는

소문이 퍼졌다가 곧 루머로 밝혀지자

주가는 곤두박질칩니다.


영국 의회는 관련자들을 처벌하고

'거품 회사 규제법'을 제정했지만

이미 많은 투자자들이 가치 폭락 속에

자살을 하거나 비관하는 일이 발생했고,


이 중에는 '만류 인력의 법칙'을 발견한

아이작 뉴턴(Isaac Newton)도 있었습니다.


(참조- 뉴턴, 아인슈타인, 케인스...위인들의 주식 투자 성적은?)

참고로 이때 영국 정부가

'거품 회사 규제법'을 만들면서

공식 문서에 버블(bubble, 거품)이란 말이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출처: sovereignman
뉴턴이 투자를 하고 폭락한 남해회사의 주가
3. 프랑스 미시시피 버블

프랑스 역사상 가장 막강한

전제군주였던 '태양왕' 루이 14세.


화려함의 극치를 달린 그의 통치 이후

프랑스는 정부 재정이 파탄나서

국가 경제가 혼란스러운 상태였습니다.


스코틀랜드 출신 경제학자였던

존 로(John Law)는 18세기 초

우연히 프랑스로 건너와,


루이 14세 이후 재정이 파탄난

프랑스 경제를 개혁하겠다고 나섰습니다.


그는 중앙은행의 설립과

국가의 재정을 충당할

국가 독점 사업체 설립을 주장했는데요,


결국 그는 아무도 주목하지 않던

'미시시피 회사

(Mississippi Company)'를 통해

정부 부채를 갚아주겠단 조건을 제시하고,


프랑스령 루이지애나 지역의

독점 개발권을 얻었습니다.


미시시피 회사는 프랑스령이던

북아메리카 미시시피강 유역에서

금(gold) 등의 천연자원 개발

담당하는 회사로 알려졌습니다.

출처: Wikimedia Commons
존 로
과열된 시장을 이용한
존 로의 주가조작, 그리고 폭락

하지만 여긴

서류상의 회사였습니다.


미시시피 회사의 경영권을 획득한

존 로는 이 회사 이름을

'서방회사(Conpagnie d'Occident)'로 

고치고,


동인도 회사, 중국 회사,

기타 프랑스 무역 회사를

합병하여 산하에 넣은 한편,


일반은행을 설립하고

이를 다시 왕립은행으로 만들었습니다.


존 로는 이 은행을 통해

미시시피 회사의 주가를

비싸게 조작하였습니다.


출처: World Digital Library

존 로의

주가 조작 방법은 이러했습니다.


먼저 은행이 주식을 사서

주가를 조작한 뒤,

주식을 담보로

은행이 또 지폐를 발행합니다.


그렇게 발행된 지폐로

다시 주식을 매수해 가격을 끌어올렸죠.


당시는 금본위제가 시행되던 때라

지폐를 발행하려면

금이 있어야 했는데요,


*금본위제

: 금과 화폐의 가치를 일정 비율로

동일하게 인정해주는 제도.


존 로는 미시시피 삼각주에

금광이 있다고 발표하며

추가 지폐 발행까지 계획합니다.


사실상 국가 회사였던

미시시피 회사는 정부로부터

각종 상품과 무역 독점권을 얻어

권력을 누리게 되었고,


미시시피 회사의 주가는

500리브르에서 1719년

15,000리브르까지 급등하죠.

그런데 미시시피 삼각주에서

더는 금을 채굴할 수 없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 소식에 미시시피의

주가는 1년 만에

500리브르까지 하락합니다.


게다가 존 로의

과도한 화폐발행은 물가를 급등시켜

프랑스 국민들을 분노케 했습니다.


존 로는 재무 총감 자리를 박탈당하고

미시시피 회사도

정부의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되어

끝내 파산하게 됩니다.

출처: Investment Office
미시시피 회사의 주가 변화
3대 버블의 교훈

유럽의 17~18세기를 뒤흔든

3대 버블을 보면,


결국 '실체 없는 것에 투자'하던

시장의 광기가 버블을 만들고

폭락을 유발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교훈을 지금에 적용한다면

현재 우리가 실체 없는 것을

좇고 있지는 않나 점검해야 합니다.


실체가 있는 것도 어려운 지금,

여러분의 자산에 혹시

거품이 끼어있지는 않은지

확인해보는 시간이 되었길 바랍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타임톡beta

해당 콘텐츠의 타임톡 서비스는
제공사 정책에 따라 제공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