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먼데이]제2의 '추크'를 꿈꾸는 부산에 필요한 것

조회수 2020. 9. 14. 18:54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출처: 부산 야경 / 사진=픽사베이

“국내 블록체인 시장 2022년까지 연평균 61.5% 성장할 것(KISTI)”, “2025년 전세계 총생산의 10%는 블록체인에 저장될 것(과기정통부)”


블록체인은 4차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중 하나로 거론된다. 국내 주요 기관 및 경제연구소들도 작년 한 해 10대 IT 이슈로 빼놓지 않고 블록체인을 꼽았다.


그러나 국내 블록체인 기술 수준은 주요 선진국들보다 낮게 평가된다. 2018년 과기정통부는 미국의 블록체인 기술력을 100%로 가정할 경우 유럽 96%, 일본 84.8%, 중국 78.9%, 한국은 74.6%의 격차를 나타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IT 분야의 시장 발전 속도를 고려하면 초기부터 적지 않은 차이를 안고 시작했던 셈이다.


이런 간극을 메꾸기 위해 정부는 2019년 7월 부산시를 블록체인 규제자유 특구로 선정하고 적극적인 규제 샌드박스 도입 및 시범사업 진행에 나섰다. 규제로 인한 성장 장애물을 걷어내고 블록체 외에도 관련 융합기술 개발도 함께 이뤄질 수 있는 특화 도시를 만들겠다는 전략이었다.


스위스가 좋은 사례다. 스위스는 인구 12만4000명에 불과한 소도시 ‘추크’를 세계적인 블록체인 성지로 성장시킨 사례가 있다. 적극적인 규제 완화와 외부기업 유치 전략을 통해서다. 추크에는 현재 전세계 3만개 이상의 블록체인 기업이 둥지를 틀고 있으며, 11만 이상의 일자리가 창출되며 지역경제 발전에도 크게 기여했다.


또 지금도 싱가포르, 홍콩, 에스토니아 같은 블록체인 선도 국가들과의 경쟁 속에서 지속적인 기업 유치에 성공하고 있다. 부산이 꿈꾸는 이상적인 미래도 바로 이런 ‘크립토밸리’ 건설이다. 하지만 이를 위해 아직 넘어야 할 장벽들이 적지 않다.


부산연구원은 최근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활성화 방안’보고서를 통해 부산 내 블록체인 수요 기업과 공급 기업 간의 인식 차이, 남은 기간 해결해야 할 핵심 과제들을 조사해 발표했다.

출처: 부산 규제자유 특구 비전 / 자료=보고서 갈무리

블록체인 인지도가 낮은 블록체인 특구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이 블록체인 규제자유 특구로 선정된 지 1년 이상이 흘렀지만 부산 내 선도기업 100곳 중 블록체인에 대해 잘 안다고 응답한 기업은 4%에 불과했다. ‘어느 정도 안다’까지 포함하면 38%, 반대로 잘 모르는 편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62%에 달했다.


블록체인에 대한 낮은 관심은 곧 저조한 사업 의지로 이어진다. 해당 기업들 중 91%가 ‘블록체인 기술 도입 계획이 없다’고 응답했고, 도입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9%의 기업도 절반 정도가 블록체인 도입에 따른 생산성 개선 기대보다 규제자유 특구 지원사업 활용에 더 많은 관심을 드러냈다.


이 부분은 초기 사업 홍보가 미약했던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겠으나, 블록체인 도입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기업 중 80.2%가 그 이유로 ‘당사의 업종과 연관성 낮음’을 꼽았다. 국내 블록체인 규제자유 특구로 부산이 선정됐으나, 정작 부산 내 주요 기업들과 블록체인의 관계성은 그리 높지 않았던 셈이다.


만약 기존 기업 내에서 블록체인 도입 의지가 낮다면 차선은 추크의 사례처럼 블록체인 관련 해외 기업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는 것이다. 조사 대상 기업들도 특구 활성화를 위한 우선지원 정책 요소로 ‘글로벌 기업 유치’를 들었다.


블록체인 전문인력 양성, 지원도 시급해


조사 대상을 블록체인 관련 기업(26개)으로 한정하면 결과는 조금 달라진다. 블록체인과 특구 사업에 대한 인지도, 영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중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이 중 실제 블록체인 관련 서비스 개발과 플랫폼 상용화(수익창출)에 성공한 기업은 15.4%로 극히 일부에 불과했다. 아직 사업 초기임을 감안할 수 있는 문제지만, 상용화에 성공한 기업도 매출 달성까지 평균 6개월에서 1년 내외가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시의 보다 적극적인 자금 지원과 사업화 모델 개발 협력이 필요한 대목이다.


블록체인 사업 수행 시 주요 애로사항으로는 ‘인력 부족(15.4%)’이 꼽혔다. 이와 관련해 블록체인 기술 공급 기업 중 상당수(76.9%)가 ‘블록체인 담당인력의 직무 능력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해 자체 교육 및 외부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이에 관해 ‘교육 예산 부족’을 어려움으로 든 기업이 많았으며, 근본적으로 블록체인 교육 전문가 선별이 쉽지 않고 교육 커리큘럼 등이 부재한 점도 함께 문제로 지적됐다. 추후 부산 내 블록체인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부산에 뿌리내리기 위해선 규제 특례, 시범사업 추진과 더불어 적절한 인재 양성을 위한 투자에도 더욱 힘을 실어야 할 이유다.


지원 기업 확대, 공공과의 사업과의 연계 필요


보고서에서는 현재 블록체인 규제자유 특구 사업이 국비 중심으로 이뤄지는 점, 특히 특구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 외에는 별도의 지원 사업이 부재한 점도 지적됐다. 특구 내 입주 기업들 중 이 문제에 불만을 지닌 기업들이 있으며, 이로 인해 블록체인 사업을 그만둔 기업도 있다는 조사 결과다. 블록체인 규제자유 특구를 한국 내 블록체인 거점 클러스터로 육성하기 위해선 입주 기업 외에도 지속적인 생태계 추적과 기업 지원이 필요해 보인다.


또 아직 가상자산(암호화폐) 사업 외 수익성 높은 비즈니스 모델이 없는 상황에서 초기 기업들의 비즈니스 모델 발굴을 위해선 우선 공공서비스에서의 블록체인 기술 적용이 확대되어야 한다.


그 방편으론 마이데이터 사업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는 방안, 최근 블록체인 영역의 새로운 먹거리로 떠오른 DID(탈중앙화 신원증명) 서비스의 부산 내 시범사업 도입 방안 등이 거론된다. 개인의 인증정보를 휴대폰과 블록체인에 저장해 대조하는 방식의 DID 응용 서비스는 일반 신분증, 공무원증, 장애인증, 유공자 정보 등 다양한 인증 정보를 하나의 휴대폰 내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공공적 활용 가치가 높다.


보고서를 작성한 배수현 연구위원은 “물류, 관광, 공공안전, 금융 등 현재 부산이 신청한 4개의 서비스를 가급적 빨리 상용 시장에 내놓을 수준으로 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더불어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2차 사업으로 추가 선정된 3개의 서비스(금융 1건, 마이데이터 2건)도 성공적으로 개발하고 상용화하기 위한 노력에 집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By 리포터 이건한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