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힙스터들은 다 안다는 포토그래퍼

조회수 2021. 1. 10. 21:53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이옥토 인터뷰

인스타그램에서 유독 맘이 가는 사진들을 모으기 시작했다. 어느 순간 보니 유독 많은 포토그래퍼의 사진이 모여 있었다. 푸른빛이나 명암이 짙은 컬러, 사람이나 사물을 통과하는 빛을 잡아내는 이옥토 포토그래퍼의 사진들. 감각 좀 있다는 MZ세대들은 다 좋아한다는 이옥토 포토그래퍼에게 인터뷰 요청을 했다. 

그가 작년 발표한 사진 연작 ‘what we came through’는 그 결과물이다. 그뿐 아니다. 차갑고 부서질 것 같은 자신의 세계를 포착하던 그는 동료 여성 예술가들과 협업해 영상 작업물들을 발표하고 있다. 새해에도 이어질 이옥토의 자유로운 몸짓은 우리가 살아 있다는 증표가 되어줄 거다.

사진 제공 이옥토
이옥토 작가.
사진. 재인

Q.

이옥토라는 이름은 본명인가요. 이름이 특이해서 사람들 기억에 남을 것 같아요.

A.

가명 같은 이름이죠?(웃음) 실명이고 비옥할 옥에 흙 토를 써서 비옥한 땅이라는 뜻이에요. 뭘 심어도 열매를 잘 맺으라는 뜻을 담아서 부모님이 지어주셨죠. 이름이 특이하다 보니까 활동할 때 본명이 뭐냐고 물어보는 분이 많고, 잘 잊히지 않는 것 같아요. 죄를 안 짓고 살려고 엄청나게 노력합니다.(웃음)

Q.

최근 새 작업 ‘What we came through’를 발표했어요. 얇은 비닐에 감싼 신체, 눈과 허리의 클로즈업 같은 사진들로 구성되는데 언택트, 비대면의 시대에 인간의 신체에 대해 어떤 이야기를 하고 싶었나요. 

A.

저는 사진을 여러 방면으로 활용하는데 그중 하나가 기억의 아웃소싱이에요. 많은 기억을 다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나중에 반드시 찾아봐야 할 때를 위해 기록하는 거죠. 매거진 '보스토크'에서 코로나 시대를 통과하는 사진작가들의 작업을 남기고 싶다는 청탁을 받았는데, 많이 지쳐 있던 때였어요. 슬픔의 지속 기간이 길어지면서 지쳐가더라고요. 어떻게 추동해 사진을 찍어야 하나 싶어서 그동안 제가 사진을 사용해온 방식으로 돌아가봤어요. 언택트 시대에 가장 가까이 있는 신체를 조망해야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Q.

본인의 몸을 피사체로 삼은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A.

우선 이 시대에 모델을 콘택트하고 작업을 시도하기가 어렵기도 하고 해가 될 수 있다고 느꼈어요. 감염 문제도 있지만 이 작업 자체가 타인에게는 폭력적일 수 있을 것 같더라고요. 저 역시 많은 사진가에게 찍혀본 경험이 있어서 카메라를 사이에 두고 생기는 위계에 대해 알아요. 어떤 건 폭력적이고 어떤 건 그렇지 않았는데 이 작업에선 높낮이가 없는 채로 이야기를 하고 싶더군요. 

고립된 갑갑한 신체를 기억해야겠다는 생각으로 물에 젖은 천을 활용했어요. 코로나19 시국에서 n번방 사건과 박원순 전 서울시장 사망 사건, ‘웰컴 투 비디오’의 손정우 사건이 함께 지나갔잖아요. 신체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무력감이 커지면서 충격적인 뉴스들을 쉽게 외면하게 되더라고요. 스스로 이런 사건에 굉장히 예민하다고 생각했는데 어느새 피로감에 익숙해진 거죠. 고통스러워도 눈을 뜨고 바라보게 되기를 바라면서 작업을 구상했어요. 

Q.

이제까지 기억을 갈무리해둔 작업물을 다시 꺼내 보고 변화를 자각한 적도 있을까요.


A.

2019년에 전시회를 했는데, 전시 작품을 준비할 때 엄청난 무력감에 시달렸어요. 2018년에서 2019년 사이에 제가 20대 초반에 겪은 성추행 사건에 대해 고소 고발을 했거든요. 절대 중도에 포기하거나 내 삶을 스스로 끝내는 일이 없게 하겠다고 친구들과 약속하고 시작했는데도 너무 힘든 거예요. 동시에 아무것도 찍고 싶지 않아져서 두려웠고요. 당시엔 왜 찍는지 이유도 생각하지 않고 그냥 찍었어요. 나중에 전시 제안이 들어와서 보여드릴 만한 사진은 없고 그냥 찍은 거밖에 없다고 했더니 큐레이터가 그거라도 보내달라고 하더라고요. 사진을 정리하는데 그제야 그때 이 사진들을 왜 찍었는지 알겠더라고요. 제가 가진 맹점들이 보였고요. 주변에 사람들이 있는데도 혼자라고 느끼고 아무 도움도 받을 수 없다고 결론을 내렸던 제 무의식이 사진에서 보였어요. 

Q.

‘translucent’ 시리즈도 멋져요. 꽃잎의 섬세한 질감, 파도가 부서지는 모양, 빛을 반사하는 유리병 등을 찍었는데 이 사진들로 어떤 이야기를 하고 싶었나요.

A.

표면이 넓으면 닿는 양이 많잖아요. 근데 지난해엔 모든 걸 견디기 어려워서 마음을 작게 만들 수밖에 없었어요. 모래알이 신발 밑창에 끼듯이 제가 마음을 작게 뭉쳐야 깨지지 않을 수 있을 것 같았거든요. 그러다 보니 모든 걸 미시적으로 보게 되고 작은 것만 찍었죠. 바다를 크게 찍을 수도 있겠지만 그러지 않고 물방울이 튀는 걸 클로즈업으로 찍는 식으로요. 

Q.

3년 전 출간한 사진 에세이 '사랑하는, 겉들'에 ‘아름다운 것이 아름다울 수 있도록 돕고 싶고 사랑하는 순간을 채집하고 싶다.’고 썼죠. 작가님이 생각하는 아름다움은 어떤 건가요. 

A.

참 어려운 질문이네요. 아름다움은 해를 끼치지 않는 자유로운 상태인 것 같아요. 사진 찍을 때 언제나 가장 주의하는 부분이에요. 일로 누군가를 모델 삼아 찍을 때 그 사람의 몸이 불편하지 않은 게 우선이고 나중에 그 사진이 부끄럽지 않아야 해요. 사진이 약점이 될 수 있잖아요. 디지털 사회라 쉽게 유포될 염려가 있죠. 하지만 어릴 때 사진을 뒤적이면 우스꽝스럽지만 부끄럽진 않잖아요. 잠든 아기나 웃는 노인을 담은 사진처럼 부끄럽지 않고 해가 되지 않는 종류의 것이 되기를 바라며 찍어요. 제가 생각하는 아름다움이란 내가 이 사람에게, 이 사람이 내게 해를 끼치지 않는 동시에 자유로운 상태인 것 같아요. 

인터뷰 전문은 빅이슈 241호에서 읽으실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