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 괴로운 그대에게 '알레르기 비염'

조회수 2019. 3. 21. 14:39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봄철 알레르기 악화의 이유와 대책

김모(27)씨는 3년 전부터 봄이 되면 눈가 코가 가렵고, 맑은 콧물이 줄줄 흐르는 통에 일상 업무를 제대로 하기 힘들다. 근처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고 ‘알레르기비염’이라고 진단을 받았으나 약을 복용할 때만 반짝 효과가 있고 약을 잠시라도 중단하면 여전히 증상이 나타나 힘들다. 한 달 정도 지나면 증상이 없어져 약도 필요하지 않지만 봄만 되면 어김없이 증상이 나타나 앞으로 평생 이렇게 살아야 하는 것인지 걱정이 되어 알레르기클리닉을 찾았다.

알레르기 비염이란?

알레르기비염은 코점막에 생기는 알레르기질환이다. 알레르기는 일반적으로 무해한 생활 중 반복 노출이 되면서 해당 물질에 대해 과도만 면역반응이 생기는 것이다. 집먼지 진드기나 바퀴벌레 분진, 곰팡이, 동물 털, 각종 계절별 꽃가루는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다. 

이들 물질이 코점막에 부착되면서 우리 몸의 면역계와 만나게 되는데, 이를 나쁜 것으로 인식해 기억으로 저장될 경우 다음에 다시 해당 물질이 코점막에 닿으면 과도한 면역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알레르기반응이 생기는 것은 유전적인 체질과 환경적인 노출(양과 횟수)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가족 내에 여러 명이 알레르기질환을 앓는 경우가 흔하며, 살아온 환경에 따라 발병 여부가 결정되기도 한다. 알레르기비염의 증상 중 가장 특징적인 것은 코점막에 있는 알레르기성 비만세포에서 나오는 ‘히스타민’인데, 즉각적인 가려움, 재채기, 콧물을 유발한다.
코감기와 어떻게 구분하나?

코감기는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것으로 외부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전쟁이 벌어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염증 반응의 종류가 다르다. 코감기 때는 점액성 코 분비물과 함께 코와 목이 부으면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흔하며, 미열이나 무력감과 같은 몸살기를 호소하기도 한다. 반면 알레르기비염은 주로 아침 시간에 물같이 흐르는 콧물과 눈과 코의 가려움이 흔히 관찰된다. 코막힘 증상은 다양한 종류의 비염에서 동반되므로 질환을 구분하는데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꽃가루는 수꽃술의 가루 모양의 물질로서 화분(花粉)이라고 하며 30-50㎛ 정도의 크기로 눈에 보이지 않는다. 수정이 되기 위해서는 수술의 꽃가루가 암술머리에 붙는 수분이 필요한데, 이 과정이 벌이나 나비에 의해서 이루어지면 충매화, 바람에 의해서 이루어지면 풍매화라고 한다. 풍매화는 바람에 의해 꽃가루가 날리게 되므로 공기 중에 떠 있다가 사람의 코점막에 붙을 수 있다. 

꽃가루는 기온이 높고 맑은 날 잘 퍼지는데, 강한 바람보다는 약 초속 2m의 약한 바람이 불 때 공중으로 높이 떠올라 더 멀리 퍼지기 때문에 봄바람이 살랑살랑 불 때 더 주의를 해야 한다. 오리나무, 자작나무, 너도밤나무, 참나무 등은 대표적인 풍매화로 봄철 꽃가루 알레르기의 주범이다. 이들 나무는 주로 3월초부터 꽃가루가 날리기 시작해 3월말-5월초에 공기 중에 많이 관찰된다. 그러나 모든 풍매화가 알레르기비염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 침엽수는 상대적으로 꽃가루 알레르기를 잘 일으키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소나무는 우리나라에 많은 수종이고 봄철 대기 중에 소나무 꽃가루가 많이 관찰되지만, 소나무 꽃가루 알레르기는 드물다.
봄철 알레르기비염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봄철에 코 증상이 나타난다고 하여 모두 꽃가루 알레르기는 아니다. 봄철에는 일교차가 심하고, 황사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알레르기비염의 원인이 봄철 꽃가루가 아니더라도 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집먼지 진드기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도 봄철에 비염 증상이 악화되기 때문에 알레르기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물질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최근 대기오염의 여파로 기온이 상승하면서 꽃가루 비산 기간이 더 길어져 꽃가루 알레르기 환자가 늘고 있다. 기상청에서는 4월부터 10월에는 야외활동 전에 꽃가루 농도 위험지수를 제공하고 있으니 꽃가루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기상청에서 제공되는 위험지수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꽃가루 농도 위험지수는 매우 높음, 높음, 보통, 낮음 네 단계로 구분된다. 높음 이상은 대개의 꽃가루 알레르기 환자에게서 증상이 나타나므로 꽃가루 농도가 높은 날에는 실내에서는 창문을 닫고 야외활동을 자제해야 한다. 만약 꼭 외출을 해야 한다면 반드시 마스크나 모자, 선글라스 등으로 얼굴이나 피부, 눈 등을 가리고 꽃가루가 달라붙기 쉬운 니트나 털옷을 삼가는 것이 좋다. 차를 운전할 때는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실내순환을 하고, 가급적 창문을 열지 않도록 한다. 외출 후 집으로 돌아와 몸을 잘 씻고 옷은 자주 털거나 빠는 것도 집안 꽃가루 농도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외출에서 돌아오면 옷을 털고 손과 얼굴, 눈 등은 물로 깨끗이 씻는 한편, 식염수로 코 안을 세척하는 것도 염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알레르기비염, 어떻게 치료해야 하나?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치료법은 알레르기 염증에 의한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물치료이며 항히스타민제가 대표적이다. 약물치료는 근본적으로 알레르기 체질을 바꿔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중단하면 증상이 재발할 수 있다. 따라서 증상이 나타나는 기간 동안은 유지를 하는 것이 좋다. 많은 환자들이 항히스타민제를 항생제와 혼동하며 장기 복용하면 내성이 생기거나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나는 게 아닐까 우려하여 약 사용을 꺼리지만, 실제로 항히스타민제는 장기 복용하더라도 효과가 떨어지지 않으며, 부작용도 거의 없는 안전한 약이다. 스테로이드는 알레르기 염증을 줄이는데 효과가 뛰어나지만, 알레르기비염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를 먹거나 주사를 맞는 것은 스테로이드의 부작용을 고려할 때 득보다 실이 많다. 따라서 알레르기비염에 대해 스테로이드를 쓸 때는 코 스프레이로 만들어진 스테로이드를 쓰는 것이 좋다. 이 밖에 류코트리엔이라는 알레르기 염증물질도 알레르기비염을 악화시키므로 류코트리엔의 작용을 막는 약제도 추가적으로 써볼 수 있다.


앞선 환자처럼 젊은 연령일 경우 향후 수십 년간 봄철마다 괴로운 증상을 견뎌야하기 때문에, 장기대책으로 면역요법을 추천해볼 수 있다. 면역요법은 우리 몸의 면역계가 나쁜 물질로 오해하고 있는 알레르기 물질을 나쁜 물질이 아니라고 면역계가 인식하도록 재교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민해져 있는 우리 몸의 면역계가 놀라지 않도록 미량을 조금씩 시간차를 두고 투여를 하면서 적응을 시키면 생활 중 이 물질에 노출되더라도 우리 몸의 면역계가 놀라지 않아 더 이상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면역요법은 한번 시작하면 3-5년 정도를 지속해야 중단하더라도 알레르기 물질에 반응하지 않는 상태로 장기간 유지되기 때문에 치료 전 신중을 기해야 한다.

알레르기비염의 치료를 위해 어떤 음식을 먹어야 하는지 고민하는 사람이 많다. 건강기능식품 중 항알레르기 효과를 가진 것들이 있지만, 증상이 발생한 경우 식품만으로는 증상을 조절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알레르기비염과 관련이 많은 영양소로는 비타민D를 꼽을 수 있다. 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18세 이상 성인 8,012명을 대상으로 혈중 비타민D 수치와 알레르기비염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알레르기비염 환자군은 정상인보다 비타민D 수치가 유의하게 낮아 혈중 비타민D 수치가 낮을수록 알레르기비염 발생 위험이 높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비타민D는 햇볕을 쬐면 피부에서 합성되므로 매일 11-2시 사이에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지 않은 채 피부를 햇볕에 노출시키면 비타민D를 정상으로 유지할 수 있지만, 현대인들은 실내생활을 많이 하기 때문에 비타민D 부족이 흔하다. 우리 국민 80%는 비타민D가 부족하다고 알려졌다. 비타민 D는 등푸른 생선에 많이 포함돼 있으므로 고등어, 참치, 정어리, 연어 등을 섭취하면 도움이 된다.
그러나 비타민D를 보충하는 것이 알레르기비염 증상을 즉각적으로 개선하는데는 도움아 되지 않으므로 비염 증상 개선을 비타민D에만 의존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위 자료는 서울대학교병원의 소중한 자산입니다. 무단으로 사용시 저작권법에 의해 처벌 받을 수 있습니다.


*제공된 의학정보는 일반적인 사항으로 개개인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합니다.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반드시 가까운 병원에 내원하여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