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살찌는 유전자, 극복할 수 있나요?

조회수 2019. 2. 22. 00:2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오늘은 비만의 원인으로서 마지막으로 유전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려고 합니다. 예전에 말씀드렸던 살이 찌는 이유에 대해서 기억하고 계시지요?

제가 유전에 대해서 이야기를 잘 하려고 하지 않는 이유는, 적어도 아직까지는 유전을 바꿀 수 있는 방법이 마땅치 않기 때문입니다. 최근 유전자 가위 기술이 나오면서 유전자를 바꾸는 기술들이 상용화 단계로 접어들고 있지만, 적어도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보는 비만의 경우,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치료가 실용화되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생각됩니다.


왜 그런지를 지금부터 설명 드려 보겠습니다.


조금 딱딱하고 전문적인 이야기가 될 수도 있지만, 최대한 쉽게 풀어보려고 합니다. 우리가 보통 이야기하는 ‘유전질환’의 경우 중요한 유전자의 변화로 인하여 우리 몸의 기능에 큰 이상이 생기게 됩니다. 비만의 경우에도 이런 종류의 유전성 비만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Prader-Willi 증후군이라고 하는 병인데, 식욕을 억제하지 못해서 매우 심각하게 체중이 늘어나게 됩니다. 이런 식으로 한가지 유전자의 이상에 의해서 비만이 생기는 경우도 있지만, 그 빈도는 매우 드물고, 대부분의 경우에는 여러 가지 유전변이가 모여서 소위 말하는 체질을 결정하게 됩니다. 이러한 체질과 내가 살아온 생활습관에 의해서 비만한 정도가 결정되는 것이지요. 지금까지 알려진 비만과 관련된 유전변이만 해도 1500개 이상이 알려져 있습니다. 어느 한 가지 유전자가 영향을 미치는 유전질환의 경우 유전자 가위와 같은 방법으로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지만, 비만처럼 여러 가지 유전변이가 모여서 영향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그 유용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보통 유전이라고 하면 변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살이 찌는 유전자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경우, 소위 말하는 ‘저주 받은 체질’이라고 포기하고 싶어지시겠지만, 제가 이런 절망적인 이야기만 하고 글을 마무리 하지는 않겠지요? 이제부터 희망의 메시지가 선포됩니다. 잘 읽어보세요.

우선 유전학에서는 Gene Environmental Interaction 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우리 말로 하자면 유전과 환경의 상호 작용이라고 풀어서 쓸 수 있을 텐데요, 무슨 말이냐 하면, 비만유전자를 가졌다고 해서 다 뚱뚱해지는 것이 아니라 환경적인 요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최종적인 몸무게가 결정된다는 것이지요. 대표적인 연구를 하나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비만 유전자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 중 하나가 FTO라고 하는 유전자 인데요, 이 유전자의 type이 비만한 쪽인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모아놓고, 이 사람들에게 포화지방산의 섭취량과 비만 정도의 관계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 그래프가 그려 집니다. 이 그래프의 뜻은 FTO 유전자가 비만형인 경우에는 포화지방산 섭취가 늘어날수록 체중이 가파르게 늘어나지만, FTO 유전자가 비만형이 아닌 경우에는 포화지방산을 많이 먹어도 체중이 늘지 않고 오히려 약간 줄어드는 추세라는 것입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해서 소위 말하는 유전형에 따른 맞춤식단, 맞춤운동처방을 권하기도 합니다. 즉 당신은 ‘이러이러한 유전형을 가지고 있으니, 저지방식단 보다는 저탄수화물 식사가 조금 더 유리합니다’ 이런 식의 권고가 가능하다는 말이지요. 하지만 이러한 접근 또한 한계가 많습니다. 그 중요한 이유가 바로 다음에 설명 드리는 ‘후생유전학(Epigenetics)’이라는 개념입니다.

후생유전학은 쉽게 말하자면 ‘유전자스위치’에 해당하는 개념인데요, 똑같은 유전자를 물려받았다고 하더라도, 그 유전자가 100퍼센트 ‘발현’되는 것이 아니고, 그 발현 정도도 우리의 생활습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것이 메틸화(Methylation)인데, 일반적으로 methylation이 많을수록 해당유전자의 발현이 적어지는데요, 운동에 의해서 이런 메틸화 정도도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비만한 유전자를 많이 가지고 태어났다고 하더라도 운동을 열심히 하면 그 유전자의 스위치가 꺼질 수 있다는 말이지요.

이렇게 적어놓으면, “뭐야 결국 운동하면 살이 빠진다는 말인 걸?”이라고 딴지를 거셔도 할 말이 별로 없습니다. 워낙 아직까지의 연구결과들이 주로는 식사 및 운동과 관련된 내용들이 대부분이라서요.

* 위 자료는 서울대학교병원의 소중한 자산입니다. 무단으로 사용시 저작권법에 의해 처벌 받을 수 있습니다.  


* 제공된 의학정보는 일반적인 사항으로 개개인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합니다.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반드시 가까운 병원에 내원하여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