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한국 최초 우주인 후보 고산, 하버드 케네디 스쿨 자퇴하고 창업한 이유는?

조회수 2017. 11. 13. 10:49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2006년 1만 8000 대 1의 경쟁을 뚫고 한국 최초의 우주인 후보로 선정된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는 2007년 초부터 러시아 가가린 우주인 훈련센터에서 실전 훈련을 받기도 했는데요. 하지만 예상치 못한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우주선 발사 한 달을 남겨둔 2008년 3월 보안 규정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하차해야 했지요. 현재 그는 3D프린터 사업가로 변신해 활약 중입니다. 고산(41) 에이팀벤처스 대표가 바로 그입니다. 

(사진=C영상미디어)

고산 대표는 항공우주연구원 정책기획부에 자원해 2년 동안 일한 경력이 있습니다. 계약이 종료된 뒤 2010년 미국 실리콘밸리에 있는 창업스쿨 격인 싱귤래리티대학에서 잠시 연수하며 창업에 눈을 떴죠. 그는 한국으로 돌아와 차세대 비즈니스로 떠오를 것으로 확신한 3D프린터 사업을 준비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3D프린터가 상상의 세계를 실현시켜주는 도구라고 생각했습니다. 이후 창업을 지원하는 비영리법인 ‘타이드 인스티튜트’를 만들어 창업 조력자 역할을 하던 그는 2015년 자신의 기업인 ‘에이팀벤처스’를 창업하게 됩니다. 이 회사는 3D프린터를 제조 및 판매하는데요. 온라인에서 3D프린터를 갖고 있는 사람과 제조를 하고 싶은 사람을 연결해주는 서비스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3D프린터를 갖고 있는 사람은 이를 이용해 이윤을 창출하고, 없는 사람들은 프린터를 싼값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택시 공유 서비스 ‘우버’와 비슷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죠. 고 대표는 공유 플랫폼 도입으로 비즈니스 문화는 물론이고 사회 전반에 큰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그는 3D프린터를 통해 소품종 대량 생산 시대를 넘어 다품종 소량 생산 및 개인별 맞춤형 생산 시대가 열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이어 하버드 케네디 스쿨을 자퇴하고 창업을 하게 된 이유를 물었습니다. 

고산 대표 |우주인 후보로 선발된 뒤 우주에 가지는 못했지만 그때 과학 정책을 포함한 공공정책에 관심을 많이 갖게 됐습니다. 미국 하버드 케네디 스쿨에 합격해서 갈 무렵 미국항공우주국이 미래 학문 교육을 위해 만든 싱귤래리티대학에 갈 일이 있었어요. 세계 곳곳의 벤처기업가와 발명가, 공대생, 경영학도들이 모이는 곳이었는데 그곳에서 새로운 것을 만드는 벤처기업의 육성에 매력을 느꼈습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이미 30년 전부터 3D프린터 기술이 개발됐으며 최초 2~3년부터는 보급화돼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금형 제작 방식으로 제품을 만들려면 2~3개월이 걸리는데 3D프린팅은 6~7일이면 충분히 제품 생산이 가능하지요. 3D프린팅에 사용하는 소재는 플라스틱, 알루미늄, 세라믹, 금속, 텅스텐 등 다양합니다. NASA에서는 우주선에 들어가는 부분 부품을 프린팅해 사용하기도 합니다. 디자인, 교육,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연구 개발이 한창입니다.


고 대표는 문재인 대통령의 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들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 밝혔습니다.

고산 대표 |정부가 제조업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고 3D프린터에 대한 투자를 많이 한다면, 누구든지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3D프린터를 이용해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4차 산업혁명 공약을 발표하면서 스마트 하우스·도로·도시를 비롯해 인공지능, 통신 인프라, 핀테크, 3D프린터 등 다양한 분야의 지원을 약속하기도 했습니다. 고산 대표는 국내 벤처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정부의 창업 지원에 변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하고 있죠.

고산 대표 |지난 정부에서는 스타트업에 대한 금전적 지원을 할 경우, 공모전이나 대회 등 한 번의 심사를 통해 지원금을 주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렇다 보니 제품의 발전 가능성보다는 상품을 잘 포장하거나 발표 능력이 좋은 스타트업이 지원금을 받아 가는 경우가 생기더라고요. 차라리 금액은 적더라도 많은 스타트업 기업에 일단 기회를 주고, 일정 기간이 지난 뒤 재심사를 거쳐 발전 가능성이 있는 스타트업에 단계적으로 지원해나가는 방식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고 대표는 창업 자금을 지원할 때 ‘라운드제’를 도입하는 게 좋겠다는 의견을 내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 1라운드에는 소액을 지원하고 일정 기간 결과를 본 뒤 성과를 내면 2라운드에 다시 지원하고, 이후 3라운드까지 오르면 대규모 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입니다.


작은 기업에서 정부자금을 지원받기란 하늘의 별 따기만큼이나 어려운 게 사실이지요. 처음부터 어느 기업이 옥석인지 구분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시장이 판단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게 고 대표의 생각인 것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3D프린터를 둘러싼 지형이 급변하는 중입니다. 제조업이 디지털 방식으로 변하고 있고, 제조업 혁신 속도는 날이 갈수록 빨라지고 있습니다. 아직 일반인이나 기업과 거리가 멀지만 3D프린터 기술이 모든 사람이 손쉽게 자신의 아이디어를 제품으로 생산해내는 ‘제품의 민주화’시대가 빠르게 현실화되고 있는 것이지요. 

고산 대표 |정부는 먼 미래를 내다봐야 한다고 생각해요. 단기간 내에 어떤 성과를 내려 하기보다는 앞으로 우리나라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잡고 그 기반을 단단히 다지는 정책들을 펼쳤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야 10년, 20년 뒤에도 지금 정부가 세운 올바른 방향을 따라 발전해나갈 겁니다. 전 세계를 관통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을 성공적으로 이끌 시스템을 구축하고, 기반을 탄탄히 다지는 정부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4차 산업혁명 : 2016년 세계경제포럼(WEF : World Economic Forum)에서 처음 언급된 후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새로운 산업 시대를 대표하는 말이 되었습니다. 컴퓨터,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제3차 산업혁명(정보혁명)에서 한 단계 더 진화한 혁명을 뜻하는데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모바일 등 지능정보기술이 기존 산업과 서비스에 융합되거나 3D프린팅, 로봇공학, 생명공학, 나노기술 등 여러 분야의 신기술과 결합돼 다양한 제품·서비스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사물을 지능화하는 기술을 일컫습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