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청년창업사관학교 출신, 스물다섯 대표의 생활한복이 입소문 타는 이유?

조회수 2017. 11. 3. 09:48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이것도 한복이야?’ 


갸우뚱하다가 짧은 저고리에 고름, 주름 잡힌 치마가 눈에 들어옵니다. ‘트렌드’를 입은 현대식 생활한복인 것인데요. 퓨전한복이라고 부르는 게 더 맞을지도 모르겠어요. 한복이 변신하고 있습니다. 세련되고 개성 넘치는 한복은 더 이상 기성세대의 전유물만은 아닌 듯합니다. 여기 새로운 패션을 리드하는 김단아 다나한복 대표를 위클리공감이 만나보았습니다.

사진=C영상미디어

열일곱 살 소녀가 비행기에 올랐습니다. 고등학교 진학보다 세계 여행을 택했던 것인데요. 역시나 바다 건너에는 다른 세상이 펼쳐져 있었습니다. 소녀는 다양한 문화를 접하며 견문을 넓혀갔죠. 외국 나가면 애국자가 된다더니 ‘한국다움’에 애착이 갔데요. 이때 무엇보다 소녀를 사로잡은 것은 한복. 일본 친구가 기모노를 입고, 중국 친구가 치파오를 입고 다니는 걸 보면서 더욱 그랬다고 합니다. 그에 비해 한복을 입은 사람은 극히 적었다는 것이죠. ‘한복도 입고 다니면 예쁠 텐데…’ 여행 가방에 한복을 챙기지 않은 게 못내 아쉬웠다고 합니다.  


소녀는 스물한 살 때 한국으로 돌아왔습니다. 여행 중 얻은 교훈으로 그는 대학에 진학하고 일상을 살아가면서도 ‘즐거운 일을 하자’는 원칙을 세웠습니다. 세상에는 재미있는 일이 많았고 인생은 즐기기에도 짧지요. 그는 가슴속 묻어뒀던 꿈을 꺼내 한복을 만들자는 생각을 했습니다. 다른 누군가를 위한 옷이 아니라, 오로지 자신을 위한 옷 말이지요. 본인이 입을 한복이니 예쁘고 편한 것에 초점을 맞췄다고 하는데요. 기존 한복의 형태를 따르면서 취향을 우선적으로 고려했다고 해요.


평범한 듯 특별한 그의 패션은 개성이 넘쳤습니다. 일상을 담은 개인 블로그에 의상에 대한 댓글이 늘어갔죠. “예뻐요!”, “옷이 참 특이하네요”와 같은 댓글은 점점 “어디서 사셨어요?”, “얼마인가요?”, “저한테 파시면 안 돼요?” 등으로 번져갔습니다. 판매 제품이 아니라는 답변에도 댓글은 멈추지 않았지요.


‘진짜 한번 팔아볼까? 안 팔리면 내가 입지 뭐.’ 블로그에 놀러 온 사람들에게 사이즈, 원단 등을 주문받아 맞춤식 한복을 판매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다나한복은 이렇게 시작되었어요. 

소문은 주문으로 이어졌고, 광고를 하지 않아도 블로그, SNS를 타고 알음알음 주문량이 늘어갔습니다. 사실 다나한복은 문을 연 지 1년 반이 지났지만 변변한 온라인 숍 하나 없는데요. 김단아 대표는 지금도 개인 블로그를 판매 공간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매출이 점점 늘어나자 욕심이 생겼어요. ‘제대로 한번 해보자.’ 그는 정식으로 창업교육을 받기 위해 적극적으로 여기저기 문을 두드렸습니다. 그에게 기회를 준 곳은 청년창업사관학교 예비학교(pre-school). 3개월 짧은 시간 동안 창업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과정이었는데요. 학업과 사업이란 이중생활을 해야 하는 그에게 ‘딱’이었습니다.


본격 창업에 앞서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했습니다. 이제 재미 삼아 만드는 단계를 넘어서야 했어요. 주요 수요층인 20대에서 30대까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한복은 불편하다’는 부류의 응답이 80%에 가까운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처음 그가 한복을 만들어 입던 마음이 떠올랐어요. '무조건 편하게 만들자.' 옷에 삶을 맞추는 게 아니라, 생활 속에 옷이 들어와야 했습니다. 우선 세탁이 편해야 했고요. 물세탁이 가능하고 구김이 덜 가는 소재를 활용하고, 속치마를 간소화해 활동에 지장이 없게 했어요. 단, 곡선을 살려 한복의 멋을 갖추는 걸 잊지 않았죠. 깃, 고름, 치마 주름도 가급적 반영했습니다. 

사진=C영상미디어

다나한복에는 유행이 반영돼 있습니다. 프릴을 넣어달라는 요청, 한복 깃을 없애거나 고름에 색 포인트를 주고 싶다는 고객의 개성을 살려 제작합니다. 소재도 다양해요. 벨벳, 트위드, 시스루 등 한복에서 쉽게 연상할 수 없는 소재를 과감히 선택했지요. 일상복과 컬래버레이션도 이루어집니다. 꽃무늬, 레이스, 줄무늬 등 문양에도 경계가 없어요. 저고리 대신 블라우스에 한복 치마를 입기도 하는데요. 이러면 ‘나만의 한복’이 되는 겁니다. 그만큼 가격대도 3만~30만 원, 소재에 따라 천차만별이에요.


김 대표는 이와 같은 실험적 시도 때문에 종종 질문을 받습니다. '전통을 해치는 것 아니냐, 이런 것도 한복이라고 할 수 있냐고.' 그러면 오히려 이렇게 반문합니다.  

김단아 대표 |많은 사람이 한복을 ‘예쁘다’고는 느끼지만 ‘입고 싶다’고 선뜻 나서지 않아요. 한복의 고유함을 살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벽을 허물고 일상과 친숙해지는 게 먼저 아닐까요? 한복이 사람들에게서 멀어지는 것보다 생활에서 살아 있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전통한복과 생활한복 각각의 묘미를 살리는 것. 격식을 차려야 하는 자리에서는 전통한복을 입어 고유의 멋을 살리고, 일상에서는 유행이 반영된 편리한 생활한복으로 대중이 한복을 낯설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 김 대표의 의견입니다. 요즘 한복을 입고 관광지나 도심을 걷는 사람이 늘고 한복 대여업도 성행해 길에서도 한복 입은 사람을 종종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 역시 특별한 기분을 내기 위해 나들이용으로 입을 뿐, 한복의 일상화는 여전히 낯선 것이 현실이지요. 

사진=다나한복 블로그 캡처

김 대표는 생활한복을 패션의 한 갈래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가장 인기 좋은 스타일도 ‘한복 같지만 한복 같지 않은 스타일’입니다. 튀지 않는 의상에 특별함을 선호하는 사람들의 마음이 반영돼 있는 것이지요. 구매 후기도 다양합니다. 출근용 오피스룩, 결혼식 하객 의상으로 입었다는 일반인부터 해외 공연 시 간편한 무대 의상으로 활용했다는 국악인, 유학 가는 남자친구에게 선물했다는 대학생까지, 저마다의 일상이 담겨 있어요.


스물다섯 살의 김단아 대표는 지금도 ‘즐거운 일을 하자’는 다짐을 새기고 있습니다. 월 매출액 300만 원. 많은 금액은 아니지만 초기 300만 원으로 사업을 시작했던 때를 생각하면 큰 발전이 아닐 수 없지요. 더욱이 매출액이 조금씩 늘고 있어 걱정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는 여전히 모든 옷을 손수 만들고 있는데요. 주름, 박음질에 정성을 쏟고, 손수 치마 주름을 넣고 매무새를 잡기도 합니다. 내년에는 오프라인으로 가게를 확장하고 한복 액세서리를 함께 선보일 계획이라고 하는군요. 참, 어린이용 한복도 준비 중이라고 해요.   


우리의 일상에 자리할 생활한복의 대중화라는 쉽지 않은 길에 마주한 스물다섯 살의 한복을 사랑하는 청년 대표의 열정과 노력을 위클리공감이 앞으로도 응원하겠습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