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꿀 1kg 얻으려고, 벌은 이만큼 일한다

조회수 2018. 5. 24. 10:57 수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먼 옛날부터 인간이 먹어온 '꿀' 이야기

인간이 오래 전부터 자연으로부터 얻었던 천연 식재료였습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꿀을 모으고 식용했다는 내용이 담긴 기록이 많지요. 


천연꿀에 관한 이야기들을 모아봤어요. 

출처: blueterracotta.com
(이집트 피라미드에 새겨진 그림)

레이첼 로던이 쓴 <탐식의 시대>에는 꿀에 얽힌 흥미로운 이야기가 담겨있습니다. 

요리한 음식을 ‘성스런 불로 정화한 음식’이라고 믿었던 페르시아 사람들은 꿀도 성스럽게 생각했습니다. 익충인 벌이 ‘요리한’ 것이라는 이유에서죠.

고대 그리스의 작가인 아테나이오스가 남긴 ‘현자들의 연회’에는 코스로 서빙됐던 당시 만찬장 풍경이 묘사돼 있는데요... 대부분의 코스 메뉴에 꿀이 사용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시대부터 양봉기술이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출처: 123rf

오늘날 꿀은 '성스런 음식'이나 '부유층의 전유물'로 간주되진 않습니다. 다만 달콤한 천연 감미료의 지위는 여전히 누리고 있습니다. 특히 벌로부터 얻은 ‘천연꿀’은 귀한 식재료이자 약재로 활용됩니다.


천연 벌꿀은 말 그대로 꿀벌이 꽃으로부터 채밀한 꿀을 말합니다. 벌들은 수도 없이 꽃을 옮기면서 꿀을 모아둡니다.

이미지를 불러올 수 없습니다.

국내에선 천연꿀은 다시 ‘토종꿀’, ‘양봉꿀’로 나뉩니다. 


  # 천연꿀은 야생의 재래종 꿀벌이 채밀하고 자연 숙성한 것이죠.

  # 양봉꿀은 서양산 벌꿀을 활용해 양봉농가들이 인위적으로 생산한 것을 말합니다.


다만 재래종 꿀벌의 개체수가 줄고, 채집이 어려워지면서 시중에서 토종꿀을 구하긴 쉽지 않습니다.

출처: 유토이미지

통상 벌꿀은 80%의 설탕성분(포도당 40%, 과당 40%)과 17~18% 정도의 수분으로 구성됩니다. 설탕과 수분의 비율은 꿀의 종류나 기후에 따라서 조금씩 달라집니다. 꿀을 구성하는 나머지는 적은 양의 단백질, 소화효소, 아미노산 등이고요. 

이미지를 불러올 수 없습니다.

보통 꿀벌이 천연꿀 1㎏를 모으기 위해 무려 560만개의 꽃을 옮겨 다니며 일을 한다고 해요. 


벌이 힘겹게 모은 꿀을 인간이 가져가 소비하는 건 ‘약탈’이라는 이유에서 완벽한 채식주의자(비건)들은 육류와 함께 꿀도 섭취하지 않습니다. 


천연꿀은 어지간해선 상하지 않습니다. 수분 함량은 적고 설탕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구조를 지닌 덕분입니다. 게다가 벌의 소화효소까지 꿀 속에 섞여있어서 각종 박테리아가 성장하기 어려운 조건입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 이렇습니다.


#삼투압 현상 

설탕 함유량이 높으면 삼투압 현상이 강하게 나타납니다. 꿀 속에서는 수분이 미생물의 세포 바깥으로 흘러나오는 식으로 삼투압 작용이 이뤄집니다. 이 때문에 부패의 원인인 미생물이 번식하기 어려울 수밖에 없습니다.

#수분

물론 꿀에는 기본적으로 약간의 수분이 들어있습니다. 이 때문에 박테리아가 번식할 수 있지 않을까 싶은데요, 특별히 꿀 속의 수분은 설탕 분자와 달라붙어 있어서 활성도가 낮습니다. 다시 말해 미생물이 꿀에 든 수분을 끌어와 번식하기가 어렵다는 이야기입니다.

#밀도 

더구나 꿀의 밀도는 굉장히 높은 편입니다. 때문에 산소가 스며들기도 어렵습니다. 이래저래 미생물이 자라기 어려운 조건인 셈이죠. 

[리얼푸드=박준규 에디터]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