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해외취업한 韓청년들이 정부에 하는 쓴소리

조회수 2018. 2. 13. 16:00 수정
음성재생 설정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재생시
별도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우리가 매일 보고 듣고 먹고 느끼는 모든 게 경제입니다.
출처: gettyimagesbank

지난해 청년실업률은

9.9%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말 

정부는 3년간 1만 명을 

'취업 수출'하겠다는

청사진을 밝혔습니다.


경기가 좋은 선진국이나

성장률이 높은 아시아·

아프리카 등 신흥국에서

일자리를 구해보자는 

구상입니다.


문제는 

실현 가능성인데요.


외국어, 문화, 비자,

차별, 임금, 직업 안정성

나라마다 다른

유·무형의 장애물이 

존재합니다.


출처: gettyimagesbank

하지만 과연 

이 같은 장애물을

획일화된 정부 정책으로

극복할 수 있을까요?


매일경제는 일본, 미국, 

영국, 아프리카 등지에 

취업한 한국인 청년들과의

이메일 인터뷰를 통해


현지 취업 시장 분위기와

정부에 대한 정책 건의 등을 

들어봤습니다!


출처: gettyimagesbank
일본 IT기업 엔지니어
(36·고려대 졸업)
한국 기업에 만연한 부조리와 폐단이 일본 기업에도 원형 그대로 보존돼 있다. 보이지 않는 차별이 많다. 양질의 일자리도 많지 않다.

정부가 나서서 일자리를 알아봐 준다고 해도 블랙컴퍼니를 가려내기 힘들다.

출처: gettyimagesbank
아프리카 국제기구
(30·서강대 졸업)
새 정권이 들어설 때마다 단기적으로 청년실업률을 낮추는 데만 집중하다 보니 인턴이나 봉사단 등 길어야 1년간 해외에 나가 있는 프로그램만 만든다.

해외 취업 경험을 온·오프라인으로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어주면 좋겠다.

출처: gettyimagesbank
영국 국제기구 연구원
(31·동국대 졸업)
영국을 비롯한 유럽에서 취업을 하기 위해선 '인맥'이 필요하다. 한국의 개념과는 다르다. 스스로를 세일즈함으로써 생기는 비즈니스 인맥이다.

하지만 한국 정부가 지원하는 해외 취업 프로그램에는 이런 핵심 정보가 누락돼 있다. 공무원들이 한국 기준으로만 생각하다보니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것이다.

출처: gettyimagesbank
미국 보험사 연구원
(29·경희대 졸업)
미국 역시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 건 마찬가지다. 한상(韓商) 기업에 들어가는 게 그나마 현실적인 방안이지만 그 시장도 포화된 지 오래다.

실제로 취업을 준비할 때는 공공기관이 아닌 사설 업체를 찾는다. 쓰는 비용에 비해 성과는 미미하다. 한국 청년들이 가장 많이 가고 싶어하는 나라가 미국인 만큼 정부가 단순 컨설팅 이상의 역할을 해줘야 하는 게 아닐까. 

지금까지

해외 각지에 취업한 

한국 청년들의 고충을 

들어봤는데요.


관련 프로그램과

교육과정에 대한

정부의 정책 보완이 

필요해보입니다.

이유섭 기자 /

신경희 에디터 


관련 기사 : "해외 보내놓고 정부는 나몰라라…청년들, 눈물의 귀국"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