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투표, 꼭 해야 하나요?

조회수 2018. 6. 13. 09:0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100사연 100책
100사연 100책
책 속에 길이 있다고 합니다.
누구나 가지고 있는 고민과 사연.
그 사연에 맞는 책을 추천해 드립니다.
"세 번의 대선과 세 번의 총선에서 투표를 했습니다. 그런데 투표를 할 때마다 가장 고민되는 것은 누구를 뽑을지가 아니라 투표를 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입니다. 누구를 뽑아도 다를 것 없는 것 같고, 이걸 해서 무슨 소용이 있나 하는 회의가 들어요. 이번에도 투표를 하기는 하겠지만 투표, 꼭 해야 하나요?"
- 익명님
투표는 민주주의의 꽃이라고 합니다. 선거는 축제라고 하더군요.

종종 다른 의미의 꽃이 되고, 다른 형태의 축제가 되어버리는 일도 일어나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거와 투표는 민주국가의 일원으로서의 국민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기에 포기하거나 그만두어서는 안 됩니다.

많은 분들이 정치인들의 행태에 실망하기도 하고 분개하기도 합니다.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하는 행보에는 분노를 드러내고요. 하지만 이러한 '국민의 생각'을 전할 수 있는 수단이나 방법은 극히 제한되어 있습니다. 평소라면 기껏해야 소주잔을 탁하고 내려놓으며 시작되는 신세한탄 만을 나눌 수 있을 뿐입니다.

선거, 투표는 정당하게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하고 또 강력한 행동입니다. 특정 정당이나 후보가 좋다거나 마음에 들 때만 투표를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자신이 선택한 후보가 당선되지 않았다고 해서 투표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것도 아니고요.

물론 국민의 뜻과 의지가 신중하게 뽑은 한 표, 한 표로 올바르게 전해진다면 그것만큼 기쁜 일은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투표는 누군가를 뽑는다는 '행위로써의 의미'만을 갖는 것이 아닙니다. 투표는 행위인 동시에 상징입니다.

'선거권'이라고 하는 투표를 할 수 있는 권리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권리에는 책임과 의무가 따른다는 것은 외면하곤 합니다.

투표, 선거 권리인 동시에 의무이기도 합니다.

극단적인 경우 그 의무를 소홀히 했을 때 생겨나는 불이익에 대해서는 불만을 표시하거나 불평해서는 안 됩니다. 계속해서 권리를 요구하기 위해서라도 책임과 의무에 충실해야 하는 것이죠. 스스로 내팽개친 권리는 누구도 되돌려주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정치가 잘 되어가는지 어느 쪽이 옳은지를 밖에서 알아보기란 쉽지 않은 일입니다. 앞서 투표는 '상징'이라고 말씀드렸지요. 투표가 상징하는 것 가운데 하나는 '관심'입니다.

"우리는 정부와 의원 여러분이 무엇을, 어떻게, 왜 하고 있는지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습니다."

높은 투표율은 그러한 국민의 관심을 반영합니다.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이나 후보가 계속해서 낙선했다고 해도 투표를 할 의미가 사라지거나 옅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얼마만큼의 지지를 얻어 뽑혔는가만큼 중요한 것이 얼마만큼의 지지를 얻지 못했는지를 알리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투표를 할 지 말 지 고민하는 분들에게 추천드리고 싶은 책,
'주제 사라마구'<눈먼 자들의 도시>입니다.
이야기는 한 도시의 곳곳에서 갑작스럽게 '백색 실명'이라는 증상이 발견되고 빠른 속도로 확산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어떤 병적인 소견도, 물리적인 변화도 없는 상태에서 시야가 완전히 하얗게 변해버리는 현상. 마치 밤이 없는 것처럼 되어버리는 것이 백색 실명의 증상입니다.

처음에는 새로운 질병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고 실명된 사람들을 격리하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점점 더 많은 사람이 실명에 이릅니다. 급기야 마지막에는 단 한 사람을 제외한 모든 사람이 실명하게 되죠.

사회는 말 그대로 혼란의 구렁텅이에 내던져진 것처럼 망가져 갑니다. 지시도, 명령도, 규칙도, 질서도 없는 무법천지가 펼쳐지는 거죠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에 익숙해지면서 사람들은 권력을 다시 나누고, 익명성을 바탕으로 한 범죄를 저지르기 시작합니다. 실명 상태를 근거로 자신들의 일탈을 정당화 시키기는 거죠.

사람들은 모르고 있지만, 단 한 사람은 이 모든 것을 지켜보고 있었습니다. 지켜보는 이가 없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증언할 증인을 세우는 것처럼요.

이야기 속의 '백색 실명'은 처음에 갑자기 시작된 것처럼 갑자기 나아지기 시작합니다. 사람들은 폐허나 다름 없는 도시를 보며 공포스러웠던 실명 상태를 떠올리지요. 그리고 은연 중에 실명 사태는 하나의 터부가 되어 사람들의 기억 밑바닥에 봉인됩니다.

이야기의 마지막에 그 모든 것을 지켜봤던 사람과 그녀의 남편은 이런 대화를 나눕니다.
"왜 우리가 눈이 멀게 된 거죠. 모르겠어, 언젠가는 알게 되겠지. 내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고 싶어요. 응, 알고 싶어. 나는 우리가 눈이 멀었다가 다시 보게 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나는 우리가 처음부터 눈이 멀었고, 지금도 눈이 멀었다고 생각해요. 눈은 멀었지만 본다는 건가. 볼 수는 있지만 보지 않는 눈먼 사람들이라는 거죠."
'볼 수는 있지만 보지 않는 눈먼 사람들'이라는 말을 다르게 보면, 할 수 있지만 하지 않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이 이야기의 교훈이 정치적인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그러나 이 이야기를 통해 '본다'는 것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하는 기회를 가질 수는 있을 겁니다. 투표도 할 수 있을 때 해야 합니다.

과거, 세계 곳곳에서 투표라는 권리를 얻기 위해 투쟁했던 이들이 그토록 바라던 것을 우리는 태어나면서부터 지니고 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투표는 '국민들이 기대하며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됩니다. 그 가치를 잊어서는 안 됩니다.
기억하세요. 투표는 승자와 패자를 가르는 심판의 과정이 아닙니다. 더 나은 미래를 생각하는 사람들의 의지와 뜻을 나누는 진정한 의미의 축제인 겁니다.
글 | 플라이북 에디터 서동민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